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투영
반영
반향
영향
성찰
고찰
숙고
뉴스
"
반사
"(으)로 총 956건 검색되었습니다.
멕시코서 '最古最大' 마야유적 발견…"10m높이 1.4㎞ 인공고원"
연합뉴스
l
2020.06.04
[Takeshi Inomata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유적 발견에는 항공기에서 지상으로 레이저를 쏴
반사
돼 오는 빛을 분석해 지표면 형태를 파악하는 라이다가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폐허가 된 마야문명이나 잉카문명 등 고대 유적은 숲으로 변하거나 개발돼 현장답사 등으로는 발견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 ...
빛으로 습도 측정하는 수분 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5.26
특정 공간에서 다중간섭현상을 발생시켜 특정한 파장만 투과시키고, 다른 파장들은
반사
함으로써 원하는 데이터만 선별한다. 연구팀은 이 현상을 일으키기 위해 키토산 하드로겔을 금속 사이에 넣는 형태로 제작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주변 습도에 따라 실시간으로 투과되는 빛의 공진 파장이 ... ...
"추위보다 현생인류와 경쟁이 더 버거웠다" 슈퍼컴 밝힌 네안데르탈인 멸종 원인
동아사이언스
l
2020.05.26
농도 변화와 지구 자전축 변화에 따른 기후 영향, 빙하의 크기와 그에 따른 태양광
반사
율(알베도) 변화, 해수면 변화, 식물 분포 등의 데이터를 수집해 과거 유럽 지역 기후를 정교하게 재현하는 모델을 만들었다. 팀머만 단장은 e메일 인터뷰에서 “자전축 변화는 2만~10만 년마다 지구 기후를 ... ...
화산 폭발로 생긴 엘니뇨, 전지구 강수량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25
약 0.2도 감소했다. 화산 폭발로 성층권에 방출된 엄청난 이산화황 입자들이 태양빛을
반사
시켜 지표에 도달하는 태양열을 차단하기 때문이다. 화산 폭발은 이러한 냉각 효과와 함께 전 지구 육지 강수량을 감소시키는데 그 크기가 기후모델 시뮬레이션마다 달라 매우 불확실했다. 연구팀은 화산 ... ...
[팩트체크] 청색광은 망막을 얼마나 손상시킬까
과학동아
l
2020.05.23
것을 과학적으로 증명한 연구”라며 “인간의 망막이나 일반 렌즈도 청색광을 막거나
반사
시키는 기능은 없다”고 경고했습니다. 하지만 미국안과학회는 사람이 아닌 쥐의 망막세포로 실험했다는 점, 일상생활에서는 실험에서처럼 청색광이 망막에만 과도하게 집중되지 않는다는 점, 그리고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똑같이 힘든 상황에서도 잘 극복하는 사람의 공통점
2020.05.23
수영장 물과는 완전히 달랐다. 조금만 멀리 나가도 파도가 넘실거렸고 물은 차가웠다.
반사
적으로 어떻게든 배가 뒤집어지지 않도록, 어떻게든 빠지지 않으려고 안간힘을 썼던 것 같다. 그러다보니 아직 만나지도 않은 거친 물살을 만나게 될까봐 아예 앞으로 나가지 못하는 상황이 되고 말았다. ... ...
[표지로 읽는 과학]차세대 초정밀 라이다 가능성을 제시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16
FMCW) 라이다 기술이 개발됐다. 이 기술은 추가 레이저를 이용해 사물에서
반사
된 레이저의 파장을 변화시켜 그 파장 특성을 분석해 사물의 속도를 구한다. 이 기술은 큰 규모로 구현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하지만 연구팀은 새로운 광학 기술로 이를 가능하게 했다. 연구팀이 공개한 ... ...
언밸런스 다리의 주인은 누구일까?
팝뉴스
l
2020.05.14
서 있는 것일까? 그것도 아닌 것 같다. 그렇다면 앞에 있는 여성의 다리가 거울에
반사
된 것일까? 그럴 확률이 아주 높기는 하지만 다리가 너무 가늘고 또 남자 직원의 자세와 절묘하게 어울려서 헷갈리는 걸 어찌할 수 없다 ... ...
늘어나고 쪼그라들면 색이 바뀐다…웨어러블기기용 변형 감지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4.28
이 미세구조에 부딪히면 사방으로 흩어지고 서로 겹쳐지면서 특정한 빛의 파장만
반사
또는 흡수돼 색을 나타낸다. 나비나 풍뎅이, 비둘기 등 새의 깃털 등 동물에서 보이는 반짝이는 색이 구조색이다. 연구팀은 부드럽고 잘 휘어지는 재료인 폴리다이메틸실로세인(PDMS)을 이용해 최대 100%까지 ... ...
[프리미엄 리포트] 스마트폰 100배 줌해도 화질 선명한 이유
과학동아
l
2020.04.25
배열로 초점거리를 변화시켜 멀리 있는 피사체를 확대 촬영하는 방식이다. 피사체에서
반사
되는 빛이 굴절되는 정도를 바꿔 카메라에 상이 크게 맺히게 하므로 화질 저하가 없다. 하지만 렌즈 사이사이의 거리를 확보하는 것이 어려운 스마트폰과 같은 소형 촬영기기엔 적용하기 어려운 방식이다.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