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오리지날
원시
최초
고유
자체
정통
원조
뉴스
"
본래
"(으)로 총 423건 검색되었습니다.
[영상뉴스] 해저 보행로봇 ‘크랩스터’ 30일간의 기록
과학동아
l
2014.05.27
돈을 주고 개발했지만 효용성은 크게 떨어졌다’고 혹평하기도 했다. 하지만 크랩스터는
본래
구조작업용 로봇이 아니라 해저탐사용 로봇이다. 그럼에도 크랩스터 팀은 매일 밤 세월호 침몰 현장 인근 해역에서 밤을 지새며 힘을 보탰다. 구조용 해양로봇이 전무한 현실에서, 지금까지 개발한 ... ...
습관의 뇌과학
2014.05.26
제2의 천성으로 제1의 천성을 파괴한다. - 블레즈 파스칼 단어 가운데는
본래
가치중립적이지만 쓰임새는 한 쪽에 치우친 것들이 있다. 예를 들어 냄새라는 말은 대체로 악취를 가리킨다. 즉 ‘화장실 냄새’는 자연스럽지만 ‘커피 냄새’보다는 ‘커피 향’이 즐겨 쓰는 표현이다. 습관도 ... ...
본격화되는 ‘생물자원전쟁’ 韓 참전 시기는?
과학동아
l
2014.03.28
일반 라일락보다 작고 꽃도 조밀하지만 향기는 오래간다. 장난 같은 이름을 가진 이 꽃은
본래
우리나라 토종식물인 ‘수수꽃다리’로, 1947년 미국으로 반출돼 ‘미스김라일락’이란 이름으로 특허 등록된 뒤 현재 우리나라로 역수입되고 있다. 생물자원에 대한 인식이 부족했던 시절 이처럼 ... ...
'엘사'의 왕국은 '샐러드볼'이다
과학동아
l
2014.03.16
대비돼서 일까. 샐러드볼이나 용광로는
본래
다문화사회를 표현한 말이다. 개인은
본래
개성을 추구하는 존재인데 현실의 우리는 그럴 수 없다. 굳이 다른 문화권에서 온 사람이 아니라도 어떤 개성도 추구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겉모습을 개성있게 꾸며보려고 돈을 들여 여러 물건을 사도 ... ...
사람마저 살처분 하는 세상 오나
동아사이언스
l
2014.02.02
묘사가 몇 군데 눈에 띈다. 영화에서 감염자를 가리는 데 이용되는 수포 증상은
본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게서는 찾아볼 수 없다. 이에 대해 경희대 정용석 생물학과 교수는 “헤르페스바이러스가 일으키는 증상을 영화적 흥미를 위해 차용한 것 같다”고 말했다. 또 전문가들은 48시간 ... ...
선천적 시력 장애, 유전자 치료로 고친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1.19
환자는 글자를 읽을 수 있는 수준까지 상태가 개선됐다. 맥라렌 교수는 “시력이
본래
는 정상이었다가 유전병 때문에 안 좋아진 환자들을 치료하기 위해 유전자 치료를 사용한 첫 사례”라며 “다른 망막 관련 질환에도 유전자치료법이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중섭 화백의 주도면밀함, 과학으로 밝혀요."
동아사이언스
l
2013.12.08
연루돼 옥고를 치르던 중 밥풀, 나무 조각 등을 이용해 만든 조각물도 현재 이 곳에서
본래
모습을 되찾아가는 중이다. 감옥에서 구할 수 있는 모든 재료들을 이어붙인 작품이다 보니 시간이 흐를수록 벌레와 곰팡이가 생기고 썩는 부위가 늘어난 것. 이 조각물의 경우 위해충훈증기를 이용해 ... ...
요술인가, 마법인가…최첨단 프린팅 전쟁
동아사이언스
l
2013.12.04
만든 인공신체 기관을 삽입하는 데 성공한 두 번째 사례로 기록됐다. ‘프린팅’은
본래
문자나 이미지를 종이와 잉크를 이용해 복제하는 것을 가리킨다. 하지만 30여 년 전, 3D프린터가 등장하면서 최근 프린팅의 개념이 크게 바뀌었다. 전세계의 연구자들이 프린터로 다양한 재료와 방식을 ... ...
신라가 망한 이유 알고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3.11.13
노동동?노서동고분군, 황남동의 대릉원 등을 중점으로 설명한다. 이들 고분군 지역은
본래
대릉원과 연결된 넓은 무덤 구역으로 도로만 제외하면 동일한 구역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노동동고분군(사적 제38호)에는 4기의 고분이 남아 있는데 봉황대 금령총 식리총 등 3기는 발굴 조사되었고 1기는 ... ...
과학기술문화 교류 흔적 고스란히 담긴 무덤
동아사이언스
l
2013.11.12
노동동⋅노서동고분군, 황남동의 대릉원 등을 중점으로 설명한다. 이들 고분군 지역은
본래
대릉원과 연결된 넓은 무덤 구역으로 도로만 제외하면 동일한 구역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노동동고분군 - 이종호 박사 제공 노동동고분군(사적 제38호)에는 4기의 고분이 남아 있는데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