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숙
완성
숙성
숙취
노숙
노련
노화
뉴스
"
성숙
"(으)로 총 426건 검색되었습니다.
신년사로 본 2015년 출연硏 화두
2015.01.04
목표를 내 건 기관도 눈에 띈다. 연구기관의 특기를 갈고 닦는데 주력하고 이런 기술이
성숙
되면 사회 곳곳으로 파급하는, 과학과 산업의 융합형 연구에 주력하겠다는 것이다. 한국기계연구원은 연구과제를 기획단계부터 철저히 강화할 예정이다. 기관의 강점을 살려 사업화 역량을 함께 ... ...
줄기세포 치료제 부작용 없앤다
2014.12.08
밝혀낸 줄기세포 성잘 조절 원리. 변형된 배아줄기세포전사인자가 성장조절 RNA의
성숙
을 방해하는 경우 줄기세포의 성장과 분화가 억제된다(오른쪽). - KAIST 제공 연구팀은 이 원리를 이용하면 부작용이 없는 줄기세포 치료제나 새로운 항암제 개발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줄기세포는 ... ...
유전 정보 전달하는 전령RNA, 이렇게 사라진다
2014.12.05
과정에 관여하는 새로운 효소를 찾고 그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4일 밝혔다. 전령RNA는
성숙
과정에서 긴 '아데닌(A)' 염기가 달린 꼬리를 갖게 되는데, 제 역할을 마치면 꼬리가 짧아지며 분해과정이 시작된다. 꼬리가 짧아진 전령RNA는 다양한 분해 효소에 의해 잘게 분해된다. 연구팀은 이전 ... ...
생의 진정한 목표는 꿈과 현실의 융합
동아사이언스
l
2014.12.02
갖춘다면 금상첨화죠.” “기술은 그 순간에만 최고를 영위할 수 있지만 인간적인
성숙
도는 사람을 영원하게 만든다”고 강조한 백 팀장. 힘들고 지친 이들이 언제든 쉴 수 있는 비영리 문화 공간을 운영하는 것이 새로운 꿈이다. 그녀가 바라는 대로 “과학과 예술이 소통할 수 있는 소통의 ... ...
노로바이러스가 장(腸)을 지킨다는데…
2014.11.23
발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쥐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된지 2주가 지나자 미
성숙
했던 섬모와 면역세포가 정상 수준으로 발달된 사실이 확인됐다. 섬모가 정상적으로 길어지고, 혈액내 면역세포 숫자가 크게 늘어났다. 이어서 연구팀은 쥐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된 쥐와, 그렇지 않은 쥐에게 ... ...
인생 최고의 가치는 ‘사람'과 '소통’
동아사이언스
l
2014.11.20
중요하거든요. 앞으로 무엇인가 되고 싶다는 꿈은 이제는 안 꿀 거예요. '스로가 좀 더
성숙
한 사람으로 익어가고 타인에게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할까'가 지금 저의 관심사입니다.” "여성과학기술인이 행복하게 일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점은 바쁜 중에도 자신을 돌아볼 수 있는 ... ...
남성의 상징, Y 염색체가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14.10.31
‘EIF2S3Y’ 유전자 2개만 남겼다. 그런데도 이 생쥐는 정상적으로 자라 정자를 만들었다.
성숙
한 정자는 아니었지만 인공수정을 통해 새끼를 만들 수 있었고 이 새끼들은 아무런 문제없이 자랐다. Y 염색체에 유전자 2개만 있어도 자손에게 유전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는 사실이 증명된 셈이다. 이 ... ...
금속성형 세계 최고 석학 타일란 알탄 교수
2014.10.22
색상을 얻을 수 있는지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 금속성형은 역사가 오래 돼 이미
성숙
한 연구분야 아닌가. 금속 제품의 역사가 오래된 만큼 대중들은 금속 성형이 친숙해 이미 더 이상 연구할 게 없다는 편견이 강한 것 같다. 하지만 이것은 사실이 아니다. 대중이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 ... ...
나노바이오융합기술 세계 최고 석학 루크 리 UC버클리 교수
2014.10.20
할 수 있다. - 이 분야에서 ‘핫이슈’를 꼽는다면. 이미 이 분야는 많이
성숙
된 상태다. 이 분야의 후배 연구자들을 위해 조언한다면 ‘핫 토픽’을 의식해서 연구하는 것은 별로 안 좋은 방법이다. 핫 토픽을 쫓지 말고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려는 노력을 하는 게 좋다. 쓰레기 더미에서 ... ...
비글 뼈, 5주 만에 재생 완료
2014.10.14
성장인자 대신 스스로는 활성을 내지 않지만 생체 내에 들어가면 화학반응이 일어나
성숙
한 약물로 전환되는 ‘전구약물’ 형태의 성장인자를 활용한 점이 핵심이었다. 실제로 이 방식으로 비글 개에 뼈와 연골을 만드는 성장인자 ‘BMP2’를 투여하자 5주 만에 뼈가 재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