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사성
뉴스
"
유사관계
"(으)로 총 649건 검색되었습니다.
[기고] 좋은 대학원을 만든 대학원생 노동자들의 노력
동아사이언스
l
2019.10.30
강태경 전국대학원생노동조합 수석부지부장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와 생물학연구정보센터(브릭)을 포함해 6개 전문연구정보센터가 30일 발표한 ‘이공계 대학원생 처우 개선을 위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한국 대학원생의 슬픈 자화상이 드러난다. 대학원생 중 62%가 하루 평균 근무시간이 10시 ... ...
머리 많이 쓰면 단명한다?
과학동아
l
2019.10.29
픽사베이제공 뇌세포가 과도하게 활성화되는 것이 수명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브루스 얀크너 미국 하버드대 의대 유전학과 교수팀은 뇌세포의 전기적 활동 정도가 노화와 수명에 영향을 미친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10월 16일자에 발표했다. 그동안 신경계 활 ... ...
정부, 액상형 전자담배 사용 중단 강력 권고
동아사이언스
l
2019.10.23
최근 액상형 전자담배로 인한 폐손상 및 사망사례가 잇따라 보고되자 정부가 액상형 전자담배를 사용하지 말 것을 강력 권고했다. 게티이미지뱅크 최근 액상형 전자담배로 인한 폐손상 및 사망사례가 미국에서 잇따라 보고되자 정부가 액상형 전자담배를 사용하지 말 것을 강력 권고했다. 보건 ... ...
[표지로 읽는 과학] 흡연과 당뇨병 관계 밝혀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9
네이처 제공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17일 담배 연기가 뇌의 모습처럼 일어나는 모습을 표지에 담았다. 흡연은 인체에 여러 가지 해를 미치는 나쁜 습관이지만, 가장 큰 부작용 중 하나는 2형 당뇨병에 걸릴 확률이 높이는 것이다. 2형 당뇨병은 몸의 인슐린 저항성이 커져 생기는 병이다. 흡연과 2형 당 ... ...
DNA가 밝힌 古代...기원전 2750년에도 사회적 불평등 존재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4
고고학자가 조심스럽게 유물을 발굴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제공 30년간 미제사건으로 남아있던 화성 연쇄살인사건의 유력한 용의자가 밝혀졌다. 용의자 색출의 일등공신은 DNA였다. 화성 연쇄살인사건에서 채취한 DNA를 분석해 교도소에 수감돼 있던 용의자를 찾아냈다. DNA 분석은 범죄 수사에 ... ...
뇌 속에서 ‘부작용 없이 살빼는 약’ 실마리 찾았다
2019.10.07
이른바 ‘살 빼는 주사’로 잘 알려진 삭센다(성분명 리라글루티드)가 비만치료제 시장에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글로벌 제약사인 노보 노디스크가 2015년 미국에 처음 선보인 이 약은 직접 자신의 몸에 주사를 놓는 방식의 주사형 비만치료제다. 몸에 들어있는 혈당조절 호르몬(GLP-1)과 유사 ... ...
레이저 쏘면 뇌신경 ‘ON’… 빛으로 동물행동 제어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27
광유전학 실험실의 모습. 오른쪽 사진은 뇌세포 속 물질을 조작하기 위해 쥐에게 빛을 비추고 있는 모습이다. 뇌에 빛을 비추면 세포 및 조직의 활성을 조절하고 관찰할 수 있다. 위키피디아·셀 제공 뇌과학의 혁명 ‘光유전학’ 주목 이달 21∼25일 대구에서는 뇌 과학자들의 올림픽으로 불리 ... ...
"전세계 인구 100명중 17명은 우울증. 광유전학이 치료길 열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09.25
차세대 뇌과학자로 꼽히는 하일란 후 중국 저장대 의대 교수는 24일 대구 북구 엑스코에서 인터뷰를 가졌다. 그는 마취제인 케타민가 우울증 치료제로 쓰이는 기전을 밝혔다. 고재원 기자 jawon1212@donga.com “우울증은 전세계 인구 100명 중 17명이 앓고 있을 정도로 사회적으로나 국제적으로 심각한 ... ...
인체 3차원 게놈지도 해독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09.24
정인경(왼쪽) KAIST 생명과학과 교수와 빙 렌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 분자생물의학과 교수 연구팀이 27개 인체 조직의 3차원 게놈 지도를 분석해 치매, 심혈관계 질환 등 포함한 2만7000여개의 유전변이를 예측하는데 성공했다. 오른쪽은 함께 연구에 참여한 이정운 박사과정생이다. KAIST 제공 ... ...
고양이도 개만큼 주인 잘 따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24
고양이는 주인과 유대감을 잘 형성하지 않는다는 통념과 달리 인간 아기나 개와 비슷하게 보호자와 유대감을 형성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안정 애착을 형성한 고양이는 주인을 안전기지 삼아 활달하게 주변 환경을 탐험하는 모습을 보인다. 오리건주립대 제공 고양이는 고독을 즐기고 주인과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