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근처
인접
인근
부근
이웃집
옆집
근방
뉴스
"
이웃
"(으)로 총 43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
동아사이언스
l
2013.12.23
IBM연구소에 들어가서는 반강자성체를 연구했다. 반강자성은 자성체가 특정 온도 밑에서
이웃
한 원자의 자기모멘트가 서로 상쇄돼 전체적으로 자성이 없는 상태가 되는 성질이다. 1970년대 들어 로러는 물질의 표면구조로 관심을 옮겼는데, 막상 연구를 하려하자 마땅한 실험도구가 없다는 ... ...
생명 과학의 역사를 송두리째 바꾼 주인공 알고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3.12.22
이 책이다. 그동안 잘못 알려져 있었거나 우리가 미처 몰랐던 참매의 생태는 물론
이웃
해 살아가는 새들의 모습까지 생생하고 귀한 사진을 통해 한반도 전역에서 번식을 하는 텃새로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 야생조류인 참매를 보존하고 우리 땅의 야생 생태계가 튼튼해지는데 도움이 될 ... ...
우리의 밥상은 과연 안전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12.17
이 때문에 ‘제2의 체르노빌 사태’라고 까지 불리며 주변 국가들, 특히 바로
이웃
하고 있는 우리나라 국민 대다수가 수산물 섭취를 피하는 사태까지 벌어지는 등 방사능 공포가 확산됐다. 일본 원자력재해대책본부는 8월 초 후쿠시마 제1원전의 1~4호기 원자로 주변을 흐르는 하루 1000톤의 지하수 ... ...
“버릴 熱은 없다” 에너지난 속 뜨거운 공생
동아일보
l
2013.12.17
t씩 이동하고 있다고 했다. 길이 1.5km에 이르는 파이프라인은 담 하나를 경계로 두고 있는
이웃
사촌 태광산업 석유화학1공장과 연결돼 있다. 태광산업은 생산 공정에서 발생한 폐열을 이 파이프라인을 통해 한화케미칼에 보내고 그 대가를 받고 있다. 박현수 한화케미칼 기술관리팀 매니저는 ... ...
낡은 아파트 층간소음 문제 해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2.13
아파트나 다가구 주택 거주자가 많아지면서 ‘층간소음’으로 인한
이웃
과의 갈등이 늘고 있다. 더군다나 실내 활동이 많고 난방 때문에 창문을 닫고 지내는 겨울철에 층간소음 문제는 더 심각해진다. 최근 한국환경공단이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층간소음 민원의 37%가 겨울철에 집중돼 있는 것으로 ... ...
한국의 김장, 인류무형유산 됐다
동아일보
l
2013.12.06
무형유산위는 이날 회의에서 “한국인의 일상에서 세대를 거쳐 내려온 김장은
이웃
간 나눔의 정신을 실천하고 연대감과 정체성, 소속감을 증대시킨 매개체”라며 “김장문화 등재는 자연재료를 창의적으로 이용하는 식습관을 가진 다양한 세계 공동체들의 대화를 촉진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 ...
집은 기다림과 자기 철학의 공간이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1.17
송승훈 선생은 이일훈 선생의 채나눔 철학을 이렇게 받아들이고 있다. “집 분위기는
이웃
에 위세부리지 않고, 주변을 비웃지 않으면 좋겠습니다. 각자 힘닿는 대로 할 수 있는 만큼 하고, 서로 그것을 북돋아줄 때 세상이 조금 더 나아지지 않을까 합니다.” 집 짓기는 기다림의 미학이며 자기 ... ...
[채널A]‘쌍둥이 블랙홀’ 존재 은하 최초 포착
채널A
l
2013.11.13
그런데 45억 광년 떨어진 우주에서 이런 블랙홀이 2개인 은하가 발견됐습니다. 서로
이웃
한 두 은하가 충돌해 합해지기 직전, 즉 은하의 진화 마지막 순간에 중심부에 있던 블랙홀이 포착된 겁니다. 계란 2개를 그릇에 담으면 흰자는 합쳐지지만 노른자는 따로인 것과 유사한 상태입니다. 수억 년 ... ...
[김치, 인류의 유산]“도시화·핵가족화·서구화도 못 바꾼 한국인 일상 속 구조화된 전통문화요소”
동아일보
l
2013.11.11
이웃
과 돈독한 정을 쌓아나갔다. 1974년 12월 10일자 동아일보엔 힘들여 담근 김치를
이웃
과 나눠 먹으며 “남는 것은 없다만 주고받는 정은 남는다”고 한 어머니 말씀을 소개한 미혼 여성 독자의 글이 실리기도 했다. 전통문화가 만들어낸 김치냉장고 김장 스트레스가 여성에게만 있을 것 같지만 ... ...
야구장에 '뚜껑' 덮으니, 투수들은 '뚜껑' 열리네
동아사이언스
l
2013.11.03
박병호 선수에게 돌아가게 됐다. 올 시즌 박 선수의 홈런 개수는 37개. 그런데
이웃
일본 프로야구의 홈런왕인 야쿠르트 스왈로스 소속 블라디미르 발렌틴 선수는 '60개'나 쳤다. 두 리그의 최다 홈런 개수가 2배 가까이 차이나는 이유는 뭘까. 일본 프로야구팀 오릭스 버팔로스의 홈구장인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