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근처
인접
인근
부근
이웃집
옆집
근방
뉴스
"
이웃
"(으)로 총 424건 검색되었습니다.
[김치, 인류의 유산]“도시화·핵가족화·서구화도 못 바꾼 한국인 일상 속 구조화된 전통문화요소”
동아일보
l
2013.11.11
이웃
과 돈독한 정을 쌓아나갔다. 1974년 12월 10일자 동아일보엔 힘들여 담근 김치를
이웃
과 나눠 먹으며 “남는 것은 없다만 주고받는 정은 남는다”고 한 어머니 말씀을 소개한 미혼 여성 독자의 글이 실리기도 했다. 전통문화가 만들어낸 김치냉장고 김장 스트레스가 여성에게만 있을 것 같지만 ... ...
야구장에 '뚜껑' 덮으니, 투수들은 '뚜껑' 열리네
동아사이언스
l
2013.11.03
박병호 선수에게 돌아가게 됐다. 올 시즌 박 선수의 홈런 개수는 37개. 그런데
이웃
일본 프로야구의 홈런왕인 야쿠르트 스왈로스 소속 블라디미르 발렌틴 선수는 '60개'나 쳤다. 두 리그의 최다 홈런 개수가 2배 가까이 차이나는 이유는 뭘까. 일본 프로야구팀 오릭스 버팔로스의 홈구장인 ... ...
올해 노벨상 가져다준 힉스입자, 우리도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0.21
밝히는데 한 몫을 할 것으로 보인다. 지금까지 7명의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를 배출한
이웃
일본은 ‘ATLAS 팀’에서 자국 검출기를 운용해 2012년 6월 힉스 입자의 존재를 실험적으로 확인하는데 기여한 바 있다. 한국 CMS팀이 제작해 2018년부터 직접 운용할 검출기 ‘기체전자증배기(GEM)’는 ... ...
[에디터칼럼] 한글과 노벨상
2013.10.09
생각은 전문가들의 '오만'이고, 공급자 중심 사고다. 노벨상 수상자를 다수 배출한
이웃
일본은 다른 분위기다. 노벨과학상 수상자 중에 영어를 전혀 못하는 사람도 있을 정도다. 2008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인 마스카와 도시히데 일본 교토산업대 교수가 대표적이다. 영어를 못해 대학원 입학이 ... ...
해외여행 잘못 갔다가 '헤롱'거린다면 이 방법이...
동아사이언스
l
2013.10.07
한 두시간 차이나는
이웃
나라가 아닌 예닐곱 시간의 시차가 나는 유럽이나 미주를 여행하거나, 여행을 마치고 돌아오는 경우 가장 힘든 것은 시차적응. 바로 ‘시차증(jet lag)’ 이다. 시차증은 몸 속 생체시계는 한국 시간에 맞춰져 있는데, 비행기를 타고 전혀 다른 시간에 놓여 낮밤에 적응하지 ... ...
2100년 평양서 키운 귤 먹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9.29
지금과 같은 속도로 지구 온난화가 지속된다면 금세기 말
이웃
일본은 바닷물에 가라앉게 될 것으로 보인다. 또 북한 평양에서 재배한 귤을 먹을 수 있게 될 것이다. UN 산하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협의체(IPCC)는 27일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기존 보고서보다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인 ‘IPCC WGI(제 ... ...
보이지 않는 위협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동아사이언스
l
2013.09.13
흘러나온 ‘방사능 오염수’로 전 세계가 두려움에 떨고 있다. 특히 가장 가까운
이웃
인 우리나라 국민의 불안감은 심각하다. 인터넷에는 갖가지 ‘후쿠시마 괴담’이 떠돌고 있다. 방사성 물질에 오염됐을까 걱정한 나머지 아예 생선을 먹지 않는 이도 늘고 있어, 추석 대목인데도 수산물 ... ...
[자연과학]원전재앙의 땅 위에서 카르페 디엠을 외치다
동아일보
l
2013.09.06
315쪽·1만5000원 돌베개 지구 종말 이후의 세상을 그린 영화 ‘더 로드’의 한 장면 같다.
이웃
나라에서 벌어진 대재앙인데도 나와는 상관없는 일이라고 생각했는데…. 3월 11일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2주년을 앞두고 나온 두 권의 책을 읽고 처음으로 원전 사고의 공포를 실감했다. 대지진과 ... ...
타미플루에 쓰이는 ‘글리칸’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9.06
교수는 “이제 막 걸음마를 뗀 갓난아기 정도”라고 평가했다. 조 교수는 “
이웃
일본만 하더라도 관련 학회를 열면 연구자들이 1000명 이상 참석해 빈자리를 찾아보기 힘들지만 우리나라는 10분의 1에 불과하다”며 아쉬워했다. 또 그는 “미국이나 일본에 비하면 뒤처진 게 사실이지만 ... ...
왕릉을 앞뒤로 배치한 까닭은?
동아사이언스
l
2013.08.26
동원상하릉이다. - 이종호박사 제공 다음해에 왕릉 앞에 인선왕후 능을 써서 좌우로
이웃
한 다른 쌍릉과는 달리 앞뒤로 나란히 쌍릉을 이룬 동원상하릉이다. 이와 같은 형태는 조선왕릉 가운데 성북구의 의릉(경종)과 더불어 2개뿐이다. 그러므로 효종릉에서 아래를 내려다보면 멀리 왕비릉의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