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뉴스
"
인간
"(으)로 총 6,856건 검색되었습니다.
2024 한국과학상에 윤주영·선웅, 한국공학상에 조형희·백종범
동아사이언스
l
2024.12.12
치료 효과를 극대화해 국내 암 치료 연구 수준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선웅 교수는
인간
만능줄기세포를 활용해 체외 배양 환경에서 생체 특징을 모방한 미니척수 제작기법을 개발했다. 척수발달질환 연구 및 약물 독성 평가 시스템에 활용된다. 선천적 기형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발달장애인 ... ...
동물성분 완전히 배제한 줄기세포 배양 플랫폼 개발…첨단 재생치료 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4.12.12
보였다. XF-DISC에서 배양된
인간
장 줄기세포는 쥐 대장에도 성공적으로 이식됐다. 이식된
인간
장 줄기세포는 쥐의 대장 조직과 융합돼 손상 부위를 재생하고 염증 반응을 완화하는 데 효과를 보였다. 연구팀은 "사람의 세포가 동물 모델에 이식된 후에도 기능을 유지하고 조직 재생 효과를 발휘한 것 ... ...
청소년 SNS 금지에 전문가들 '갸우뚱'…"우회해 사용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4.12.11
금지 조치가 오히려 ‘생명줄’을 뺏는 부작용을 낳을 수 있을 것이란 우려도 표했다.
인간
행동 전문가인 리사 기븐 호주 RMIT대 연구·혁신역량학과 교수는 "소수 집단에 속하거나 외딴 지역에 사는 아동은 SNS가 커뮤니티를 위한 생명줄과 같은 역할을 한다"고 강조했다. 엄격한 사용 금지 조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23년 '이상 고온' 미스터리 열쇠는 '알베도'
2024.12.11
보인다. 다음은 에어로졸이 하층운 형성에 미치는 효과로, 최근 환경 규제로
인간
활동 유래 에어로졸 발생이 줄어 하층운도 덜 만들어졌다는 것이다. 끝으로 하층운 피드백의 등장으로 아직 실체를 파악하지 못한 상태다. 연구자들은 이들 메커니즘의 기여도를 명확히 밝혀야 2023년 이상 고온이 ... ...
뇌경색 후유증 치료하는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2.10
아직 없다. 연구팀은 뇌경색 후유증을 보이는 아급성-만성 뇌경색 동물 모델에 ‘
인간
중간엽 줄기세포 유래 유도 성상교세포(ghMSCs)’를 적용해 뇌 조직 재생과 신경 회로 회복을 촉진할 수 있다는 점을 입증했다. ghMSCs는 뇌경색 부위를 최대 4주간 감소시켰고 신경 손상을 완화해 동물 행동이 ... ...
피부에 좋다는 콜라겐, 암 전이 돕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10
재배치를 촉진한다. 이는 암의 악성화와 전이를 유도한다는 사실도 확인됐다. 연구팀은
인간
화 마우스(
인간
세포나 조직을 이식한 쥐)을 대상으로 디스에드헤린과 MMP9 간 신호전달 매개를 통한 콜라겐 리모델링이 면역 억제 및 혈관 신생을 촉진해 암세포 친화적 종양 미세환경을 형성하는 데 ... ...
'반물질 특급 수송 작전' 실행하는 입자물리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4.12.09
구성하는 입자의 차이를 연구하고 물질이 우주를 지배하게 된 이유, 보다 궁극적으로는
인간
을 비롯한 생명체가 존재하는 이유 등에 대한 단서를 찾고 있다. CERN 연구자들은 반물질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연구를 진행할 수 있도록 반양성자를 CERN 내의 다른 실험실과 독일 뒤셀도르프대로 옮길 ... ...
설탕보다 위험한 과당…간에서 종양세포 성장시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09
과당이 체내에서 일으키는 변화를 확인했다. 제브라피쉬와 생쥐, 간 세포에 성장한
인간
의 암세포가 활용됐다. 분석 결과 실험 대상체는 과당을 접했을 때 암세포와 종양세포의 성장률이 높아졌다. 흥미롭게도 고과당 식단을 섭취한 쥐는 무설탕 식단을 섭취한 쥐보다 종양세포가 더 빠르게 ... ...
英 규제당국 "
인간
배아 연구 제한 14일에서 28일로 연장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4.12.08
나오면서 기술적으로는 14일 제한을 이미 뛰어넘은 상태다. 과학계에서는 14일 이후의
인간
배아를 연구해야 난임, 유산의 원인을 파악하고 선천 질환 치료의 실마리를 얻을 수 있다는 목소리가 꾸준히 나왔다. 2021년 국제줄기세포연구학회(ISSCR)는 연구 가이드라인에서 '14일 이후 배아 연구 제한' ... ...
AI분야 노벨상 수상자 "초지능AI 5~20년 내로 개발…통제력 걱정"
동아사이언스
l
2024.12.08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인공지능(AI) 연구 성과로 올해 노벨상을 받은 수상자들이
인간
의 인지적 성능을 크게 능가하는 '초인적 AI'가 예상보다 빠르게 등장해 통제 불능에 빠지는 상황에 대해 우려를 제기했다. AI 기계학습의 기초를 다진 공로로 올해 노벨물리학상을 받은 제프리 힌턴 캐나다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