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뉴스
"
작은
"(으)로 총 5,528건 검색되었습니다.
뜨거워지지 않는 '스마트워치' 나올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8.10
복사는 떨어져 있는 물체 사이에서 열이 전달되는 현상이에요. 물질을 이루는 가장
작은
단위인 원자들이 열로 인해 부르르 떨리면서 전자기파를 내보내면서 이때 열도 함께 전달되는 것입니다. 원자는 뜨거울수록 더 많이 떨려요. 그래서 온도가 높으면 전자기파도 많이 내보냅니다. 적외선이나 ... ...
입자물리학의 70년 '요새' 최대 가치는 '다양성과 존중'
과학동아
l
2024.08.10
한국 CERN팀 연구원들과 함께 포즈를 취했다. 과학동아 제공 6월 9일 스위스의
작은
국경 마을 메헝(Meyrin). 화창한 하늘 아래로 펼쳐진 보리밭 사이사이 붉은 양귀비꽃이 흔들렸다. 유럽핵입자물리연구소(CERN)의 '최첨단 지하 실험실'이 지하 100m에 묻혀있다곤 상상하기 어려운 목가적인 풍경이었다. ... ...
야생 바다사자 도움으로 '미지의 세계' 바다 지도화
동아사이언스
l
2024.08.09
연구팀은
작은
네오프렌 섬유 조각에 카메라와 센서를 달고 바다사자의 등에 부착해 해저 지형을 파악했다. Nathan Angelakis 제공 해저 지형 정보는 쓰나미 같은 자연 현상 예측이나 해양 보존 등 여러 분야에 활용되지만 탐사가 까다로워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가 있다. 호주 연구팀이 야생 ... ...
화성 거주 가능성 높였다…기온 10도 높이는 방법 찾아
동아사이언스
l
2024.08.08
결과를 7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화성 대기에
작은
입자들을 주입하는 것으로 수개월 내에 화성 기온을 10℃ 이상 올릴 수 있다는 점을 발견했다. 얼음을 액체로 바꿔 물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는 의미다. 이 계획을 실현하려면 ... ...
주사 바늘로 수술없이 뇌질환 진단 '생분해성 전자 텐트'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8.08
mm) 좁은 공간에서도 파손되지 않고 고르게 펼쳐질 수 있다. 전자 텐트는 두개골의
작은
구멍을 통해 주사 바늘로 주입된다. 이어 두개골과 뇌 사이 공간에서 손바닥 크기 대면적으로 스스로 펼쳐져 뇌 전체를 덮는다. 진단이 끝난 후에 자연스럽게 체내에서 분해돼 사라지기 때문에 제거하지 ... ...
성인 키 1m 불과 역사상 가장
작은
호미닌 화석
동아사이언스
l
2024.08.07
추정한 키는 성인이 100㎝였다. 키가 106㎝로 추정된 리앙부아 호모 플로레시엔시스보다
작은
것이다. 특히 새로 발견된 치아는 호모 플로레시엔시스 것보다 작고 형태도 약 130만 년 전에 인도네시아 자바섬에 도착해 100만 년 이상 살던 초기 '호모 에렉투스'의 것과 매우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 ...
한국에만 있는 '5형 일본뇌염', 기존 백신으론 방어 못해
동아사이언스
l
2024.08.05
주로 7월 말에서 10월 말 사이에 발생하며 최근 서울에서도 일본뇌염의 매개체 중 하나인
작은
빨간집모기가 발견되기도 했다. 일본뇌염은 특별한 치료 방법이 없어 백신 접종을 통해 예방해야 한다. 5형 일본뇌염바이러스는 2010년 이후 한국에서만 보고되는 신종 바이러스다. 아직 다른 나라에서는 ... ...
'추천 시스템' 효율·정확도 높인 AI 훈련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8.05
신경망이 과거 지식을 활용하도록 하는 방법이 제안됐다. 신경망 대신 상대적으로
작은
프롬프트만 변경하면 되므로 훈련 비용을 줄일 수 있다. 프롬프트 방식은 학습할 작업에 따라 프롬프트의 수를 최적화할 필요가 있다. 각 작업별로 프롬프트를 따로 생성하면 유사한 작업에서 지식이 분산돼 ... ...
"달에 희박한 대기 생긴 주된 이유는 운석 충돌"
동아사이언스
l
2024.08.04
있는 칼륨(K)과 루비듐(Rb)을 분리하고 동위원소들 간의 비율을 분석했다. 토양을 아주
작은
분말로 만들고 산성용액에 녹여 칼륨과 루비듐을 분리 정제하고 질량분석기를 이용해 동위원소 간 비율을 측정했다. 칼륨은 세 가지 동위원소 형태로, 루비듐은 동위원소 형태로 존재하며 동위원소들은 ... ...
바다온도 딱 '1℃' 올라가자 서해는 '야광충' 명소 됐다
과학동아
l
2024.08.03
상승하던 해수면 온도 변화 20년 치를 단 1년 만에 이룬 수치"라고 말했습니다. 흔히
작은
변화들이 쌓이다가 돌이킬 수 없는 큰 변화를 초래하는 임계점을 '티핑 포인트(Tipping point)'라고 부릅니다. 2023년부터 관측된 가파른 해수면 온도 상승은 기후변화의 티핑 포인트일까요. 예상욱 한양대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