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고
스페셜
"
다시 생각함
"(으)로 총 991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인간은 특별하지 않다
2020.10.15
있었다. 그러나 멘델의 유전법칙(1865)은 당대에 빛을 보지 못했고 35년이 지난 1900년에야
다시
재평가받을 수 있었다. 그 이후 20세기 초반 생물학의 가장 큰 숙제는 진화론과 유전학이 어떻게 조화를 이룰 것인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물리학자로서 나는 19세기 물리학의 눈부신 성취에 당연히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바이러스의 창 막는 박테리아의 방패
2020.10.13
사는 박테리아의 절반이 박테리오파지에 의해 죽는다. - 빈센트 피세티 “자, 여기서는 보
다시
피 같은 자리를 지키고 있으려면 계속 달릴 수밖에 없단다.” - ‘거울 나라의 앨리스’에서 ... 추가로 확인됐다. 지난해 가을 상륙해 농장 14곳에 퍼졌지만 다행히 수습됐는데 1년 만에
다시
바이러스의 ... ...
정은경 "거리두기 1단계 하향은 또 다른 방역의 시험대 시작"
동아사이언스
l
2020.10.12
말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가 조정되면서 방역당국 입장에서는 완화된 방역조치로
다시
코로나19 확산세가 고개를 들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올 상황이다. 정 청장은 “몇 가지 ... 수시로 자연환기를 시켜주시고 손이 많이 닿는 곳은 표면소독을 철저히 해주실 것을
다시
한번 당부드린다”고 ... ...
"추석 연휴 1차 위기 넘겼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2
신규환자 수는 97명이다. 이달 7일 114명을 기록한 후 나흘 연속 50~70명대를 기록한 이후
다시
100명에 육박했다. 하지만 방역당국은 감소 추세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판단했다. 윤 방역총괄반장은 “하루하루의 상황들은 계속해 등락을 반복하면서 유지될 가능성은 있다”며 “다만 전반적 추세 자체가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크리스퍼 혁명'은 지금도 진행중
2020.10.08
세균은 크리스퍼 RNA를 발현하고 캐스나인(Cas9)이라는 단백질도 발현한다. 이 세균을
다시
바이러스가 공격하면, 세균의 크리스퍼RNA와 캐스9 단백질은 그 바이러스가 해로운 ... 이유는 만들기 너무 쉽기 때문이다. 뭐든 쉬워야 범용화될 수 있다. 유전자가위는
다시
변화의 한가운데에 있다. ... ...
1시간에 어린이 45회, 어르신 22회 얼굴 만진다…"그래서 손씻기 중요"
동아사이언스
l
2020.10.08
더위를 피하기 위해 주로 이용했던 비말차단용 마스크 대신 KF80이나 KF94 마스크를
다시
선호하는 일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대해 이 분석관은 “KF80 이상의 마스크가 일반적인 면마스크나 덴탈마스크보다 보다 보호력이 우수한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일반 마스크, 덴탈 마스크의 보호력도 상당한 ... ...
노벨상위원회가 밝힌 화학상 수상자 공적
2020.10.07
갖고 있다. 박테리오파지의 DNA 서열 일부를 자신의 유전체에 저장해뒀다가 이 DNA가
다시
침입하면 저장해 둔 서열을 이용해 이 DNA를 제거하는 것이다. 크리스퍼는 바로 이렇게 ... 교수가 이런 시스템을 접하게 됐다. 샤르팡티에 교수가 개발한 유전자 가위 개념이
다시
금 그녀에게로 돌아간 것이다 ... ...
[노벨상 수상자 과거 인터뷰]샤르팡티에 교수 “크리스퍼 개발했을 때 가장 먼저 난치병 환자 치료 떠올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가위는 노벨상 수상 후보에 올랐지만 언제 수상할지 당시로서는 예측하기 어려웠다. 당시 인터뷰를
다시
소개한다. “‘크리스퍼(CRISPR-Cas9)’를 개발했을 때 난치병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을 치료할 수 ... 에이즈에 걸리지 않는다. 상가모 연구진은 에이즈 환자의 면역세포에서 CCR5 유전자를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블랙홀 존재 입증한 '특이점 정리' 미래 물리학을 예견하다
2020.10.07
처음 등장했다. 사진제공 위키미디어 그러나 이 흥미로운 연구결과는 20여 년 후에야
다시
주목을 받게 된다. 몇 가지 이유가 있는데 우선 2차 대전이 발발해 오펜하이머가 맨해탄 원자폭탄 계획에 참여하게 돼 연구를 접어서다. 그리고 너무나 유명한 사람이 되어버린 아인슈타인이 자신의 ... ...
노벨상위원회가 밝힌 물리학상 수상자 공적
2020.10.06
블랙홀의 존재에 관한 질문은 1963년 우주에서 가장 밝은 별인 퀘이사가 발견되면서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이후 거의 10년 동안 천문학자들은 처녀자리의 한 지점에서 발생하는 의문의 방사선 때문에 혼란스러웠다. 이 방사선은 결국 지구에서 10억 광년 이상 떨어져 있는 퀘이사(3C273)가 밝혀졌다.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