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상자
당첨자
수상작품
입상작품
계관 시인
스페셜
"
수상자
"(으)로 총 489건 검색되었습니다.
[Science토크] 면역항암제는 암 정복에 장밋빛 미래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1.20
● 폭발적 성장 면역항암제 시장...“아직 모르는 게 더 많다”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들의 연구결과를 이용한 면역항암제가 2011년부터 나오기 시작하면서 면역항암제 시장은 수년간 폭발적으로 성장했다. 제약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시장에서 ‘옵디보’의 2017년 매출은 49억4800만달러(약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황금돼지해에 생각해보는 과학자의 인복
2019.01.08
건 당연한 수순일 것이다. 이 경우 ‘2018년 화제의 인물’이 된 22세 대학원생 차오위안이
수상자
명단에서 빠질 일은 없을 것이다. 좌절을 딛고 일어선 청년 앞에서 차오위안이 밀러보다는 샤츠에 가깝다고 얘기했지만 그의 업적이 덜하다는 얘기는 아니다. 그래핀 두 장을 정확한 각도로 ... ...
[표지로 읽는 과학]'부자연 선택설'로 진화한 박테리아 효소
동아사이언스
l
2019.01.05
선택설’의 반대인 ‘부자연 선택설’을 달았다. 이번 연구는 2018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
인 프랜시스 아널드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교수가 주도했다. 생체 물질인 효소의 ‘방향적 진화’를 연구해 화학과 생물학을 결합한 공로로 노벨상을 받았다. 아널드 교수는 생명체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세놀리틱은 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을까
2018.11.28
분야인 면역항암치료 분야도 사실 언제 받느냐는 시기의 문제였기 때문에
수상자
발표 때도 의외라는 반응은 없었다.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매년 연말이면 ‘올해의 연구’를 선정하는데, 2013년 면역항암치료를 선정했다. 당시 기사를 보면 “1996년 (제임스) 엘리슨은 CTLA-4에 대한 항체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면역학자 찰스 서 교수의 죽음 뒤 일어난 일들
2018.11.21
조금만 응용하면 의약품 개발로도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올해 노벨화학상
수상자
가운데 한 명인 그레고리 윈터 박사는 바이러스(박테리오파지)에서 항체를 만드는 방법을 고안해 연 매출이 수조 원에 이르는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아달리무맙을 개발했다. 어쩌면 연구단의 실험장비로 ... ...
[과학게시판] 노벨과학에세이대회
수상자
발표外
동아사이언스
l
2018.10.24
서울과학고 2, 화학 부문), 신기준(서울과학고 1, 생리학·의학 부문) 등 3명이 차지했다.
수상자
에게는 6박 8일간의 유럽과학연수 특전이 주어진다. 지도교사인 김재영(한국과학영재학교), 조미연(서울과학고), 이일규(서울과학고) 교사에게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상인 최우수지도자상이 수여된다 ... ...
[과학게시판]노벨상
수상자
기조강연 外
동아사이언스
l
2018.10.21
■ 푸른색 발광다이오드(LED)를 개발한 공으로 2014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인 아마노 히로시 일본 나고야대 교수가 25일 오후 1시부터 경남 창원에서 개최되는 한국물리학회 가을학술논문발표회에서 기조강연을 펼친다. 아마노 교수는 ‘지속가능하고 스마트한 사회 실현을 위한 혁신적 ... ...
스티븐 호킹은 왜 노벨상을 받지 못 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3.14
같은 이론 물리학자들이 노벨상 경쟁에서 불리하다는 얘기는 공공연합니다. 노벨상
수상자
선정위원회가 주장을 검증하기 어려운 이론 물리학보다는 실험으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실험 물리학 분야를 선호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사실 노벨상 위원회로서도 검증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
2017.10.10
에드워즈는 2013년 타계했다.) 학술지 ‘네이처’ 4월 20일자에는 올해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인 미국 MIT 바이스 명예교수가 쓴 드레버의 부고가 실렸다. 이를 바탕으로 그의 삶과 업적을 살펴본다. 1931년 영국 비숍턴에서 태어난 드레버는 공학자인 삼촌의 영향으로 어릴 때부터 전쟁 잔해로 TV수신기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섹스와 젠더의 과학
2017.08.29
수상자
가운데 여성이 한 명은 아니었을 것이다. - 스탠퍼드대 제공 ● 여성 필즈상
수상자
가 한 명 뿐인 이유 남녀의 차이라는 고정관념의 대표적인 예인 ‘천재성’에 대한 글도 꽤 흥미롭다. 미국 뉴욕대의 심리학자 안드레이 심피언과 프린스턴대의 철학자 사라-제인 레슬리는 사람들이 알게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