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밥통
위장
Hugo
상부
윗쪽
꼭대기
자리
스페셜
"
위
"(으)로 총 2,179건 검색되었습니다.
단백질 구조 해독 AI 만든 백민경 미 워싱턴대 연구원, 사이언스가 뽑은 최고 혁신 연구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1.12.17
속도와 높은 정확도로 생명과학의 판도를 바꿀 신기술로 주목받는다. 크리스퍼 유전자 가
위
로 시력을 개선시켰다는 연구 등 올해 인체 적용 성공에 대한 조짐이 보였다는 평가다. 이밖에 코로나19 항바이러스제 개발과 전자의 ‘무거운 형제’같은 입자로 고에너지 양성자 입자를 총돌시킬 때 ... ...
18일 영하15도 올 겨울 최강 한파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16
회전하며 찬 공기를 가진 기압골이 한반도로 점차 내려오며 17일 오전에는 한반도
위
에 자리잡을 전망이다. 18일 밤에도 찬 공기를 가진 2차 기압골이 한반도를 통과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16일 늦은 밤부터 북서쪽 찬 공기가 남하하며 강한 바람과 함께 기온이 떨어질 전망이다. 서울의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RNA 치료제의 부상과 우연한 인본주의
2021.12.16
원하던 동물행동학자의 길을 자의 반 타의 반으로 포기하고 바이러스학을 전공해 박사학
위
를 받았다. 이후 박사후연구원으로 미국에서 초파리의 행동유전학을 연구했다. 초파리 수컷의 교미시간이 환경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신경회로의 관점에서 연구하고 있다. 모두가 무시하는 이 ... ...
2020년 R&D투자 세계 5
위
…사회문제해결 R&D 평가체계 신설
동아사이언스
l
2021.12.15
가능한 ‘레벨4 이상 자율주행’에 대한 영향평가를 진행한 결과 해킹으로 인한 안전
위
협 및 개인정보 유출, 교통사고 발생시 책임 주체 등에 대한 논란의 지속적인 사회적 논의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이경수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5건의 관련 주요 정책 및 사업들이 성공적으로 ... ...
[인간·공감·AI]미생물 세계의 복잡한 퍼즐 AI로 푼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15
미국과 유럽에서도 생명과학 분야에서 AI와 같은 데이터과학의 중요성을 인정하는 분
위
기다. 스웨덴 국내총생산(GDP)의 30%를 담당하면서 이익의 80%를 기초과학에 투자하는 발렌베리 재단은 연구비 중 10%를 데이터 기반 생명과학에만 투자한다고 결정했다. 이 교수는 “노벨상을 주는 스웨덴처럼 ... ...
"화이자 코로나 치료제
위
중증·사망
위
험 89%줄여…오미크론도 효과" 최종임상 결과
동아사이언스
l
2021.12.15
변이 감염증도 치료 효능이 뛰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확실한 효능을 확인하기
위
해 화이자는 이번 주부터 오미크론 변이에 대한 시험도 진행할 예정이다. 화이자는 연말까지 18만여 명 분을, 내년 상반기에는 2100만여 명 분을 생산할 계획이다. 미국 정부는 이미 170만명 분을 선구매 했으며 ... ...
우주 날씨 관측하는 세계 첫 나노
위
성 편대 '도요샛' 내년 상반기 우주로
동아사이언스
l
2021.12.15
생성과 소멸에 대한 메커니즘은 현재까지 수수께끼”라며 “세계 최초로 시도되는 나노
위
성 4기의 편대비행 관측으로 지구 주변 우주환경 연구에 대한 새로운 지평을 열 것”이라고 밝혔다. ... ...
[기고]국회에 과학기술혁신특별
위
원회 설치를 건의한다
2021.12.15
국가과학기술
위
원회 전문
위
원과 국가연구개발사업 상
위
평가 분과
위
원장 및 총괄
위
원을 지내고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책임교수를 지냈다. 지난 2015년에는 제10대 출연연연구발전협의회총연합회(연총) 회장에 선출됐다 ... ...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회장에 이용철 전북대병원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1.12.14
무임소이사, 전북지회 부회장 등을 지냈다. 이 교수는 “학회가 더욱 발전하여 반석
위
에 올라갈 수 있는 기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해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가 명실공이 세계적인 학회로 자리매김하는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기장의 재발견
2021.12.14
오늘날 스
위
치그래스의 서식 범
위
는 중앙 멕시코에서 캐나다에 이른다. 연구자들은 스
위
치그래스가 다양한 기후에 적응할 수 있었던 게 사배체 게놈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기장속 두 종의 게놈이 합쳐지며 중복된 유전자 가운데 하나가 저온 적응 같은 새로운 기능을 갖게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