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화
이미지
영상
화상
초상
그래픽
사진
d라이브러리
"
그림
"(으)로 총 4,719건 검색되었습니다.
12월21일 월식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개기월식 중의 달과 주위 별의 추적촬영, 넷째는 적도의로 추적해 달의 공전에 따른 지구
그림
자의 모양을 나타내는 촬영법이다. 마지막으로는 망원경이나 장초점 망원렌즈를 이용한 확대촬영이다.여기서는 특별한 장비가 필요없이 손쉽게 카메라(B셔터내장) 삼각대 릴리즈만으로 촬영가능한 첫째와 ... ...
패키지화 정품유통 경향 두드러져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것들은 업무용
그림
그리기 기능을 강화한 것들이 주종을 이루고 있는데 하나
그림
한메
그림
그리기 크레파스 그리고 그래픽 에디터로 경북대학교 학생들의 작품인 '하늘'등이 있다.BBS 프로그램「호롱불」정보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컴퓨터 통신에 대한 관심도 증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 ...
91년 국내 화제의 발명품 총집합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전기방전해 물을 만들려면 막대한 장치가 필요하다. 중학교 교과서에는 그 원리를 담은
그림
만 나와 있고, 과학대사전에 그려진 합성장치는 수만볼트(V)가 걸리는 유도코일을 갖춰야 한다.그러나 네 여학생은 수소와 산소가 혼합된 유리파이프 끝에 달린 철사 양끝을 전자라이터로 방전하면 바로 ... ...
(3) 산업현장과 의학 연구에도 새지평 열어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현미경으로 관찰해야만 하는 현대 물리학의 출현 이후, 예술에서는 추상적 경향의
그림
이 대두되고 과학과 예술 두 분야는 이해할 수 없는 난해한 상태로 평행선을 그었다.예술이 재차 과학기술의 힘을 빈 것은 대체로 I960년대와 1970년대에 걸쳐서다. 처음에는 원리적 측면에서 협력하다가 나중에는 ... ...
(2) 영화도 가능한 스테레오 홀로그램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직접 홀로그램에 비추어서 반사돼 나오는 빛으로 영상을 재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일반
그림
과 같이 벽에 걸어서 입체영상을 관찰할 수 있다. 빛의 간섭현상과 레이저의 단파장 광선을 이용하는 반사식 홀로그램의 제작 방법은 투사식과 거의 비슷한 광학적 배열이지만, 다른 점은 피사체를 ... ...
프로그래밍언어의 행진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물론 설화에 의한 것이긴 하지만.옆
그림
을 보면 컴퓨터시대의 새로운 바벨탑이 있다. 이
그림
은 컴퓨터 과학자인 진 새멋이 혼란스럽게 발표된 프로그래밍언어를 비유해서 표현한 것이다. 수많은 국제회의와 첨단기업들간의 암투로 점철된 프로그래밍언어의 세계가 이 속에 고스란히 녹아있다. ... ...
대덕시대 개막으로 재웅비 꿈꾸는 스무살 KAIST 고뇌와 도전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가르치는 교수가 된다'. 행정가들이 머리 속으로 그렸던 산학협동의 결정체 KAIST란
그림
은 그러나 실현되지 못했다. 오히려 기술개발로 연결될 아이디어를 창출해 내야할 연구소와 과학기술전문 인력을 만들어내야 할 대학원이 서로 자기 정체성을 찾지 못하고 방황할 수밖에 없었다. 거세어진 ... ...
(1) 2차원 평면에 살아움직이는 실물이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힘에 따라서 재형성되는 파동은 더 강해지기도 하고 상대적으로 더 약해지기도 한다.
그림
을 통해서 이해해 보면 (
그림
1-a)에서는 두 파동의 최고점이 겹치게 돼 파동은 더욱 커져서 새로운 파동이 형성된다. 이를 추가(constructive)간섭이라 부른다. (
그림
1-b)에서와 같이 두파동의 최고점과 최저점이 ... ...
세월따라 다양한 모습 선보인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뒤로 숨기도 하고 다시 나타나서 자기의
그림
자를 목성에 드리우기도 한다. 또 목성의
그림
자속으로 숨기도 해 목성이 거느린 귀염둥이 자식 같기도 하다.이 네개의 위성들은 일찍이 갈릴레이가 발견했다 해 '갈릴레이 4대위성'이라고 한다. 이들 네개 위성은 80년대에 보이저 1, 2호에 의해 그 자태가 ... ...
마차를 발명해낸 절름발이 왕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새끼염소)로 불려지고 있다. 키드는 고대 그리스에서는 새끼염소자리로 불려졌고, 성좌
그림
을 보면 노인의 가슴에 안겨 있는 새끼염소로 돼 있다.이들 중 제타 별은 이 별자리에 있는 두 개의 비정상적인 식쌍성 중의 하나다. 그것은 태양보다 1백배 정도 큰 오렌지색의 거성과 그 주위를 돌고 있는 ... ...
이전
406
407
408
409
410
411
412
413
4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