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틈
거리
틈새
관계
겨를
도중
d라이브러리
"
사이
"(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최종경선! 최초의 인류는 누구?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살았던 화석종입니다. 라미두스는 2009년에 전체 골격이 모두 공개됐고 그 해 말 ‘
사이
언스’에서 ‘올해의 발견’으로 선정할 정도로 인류학계에 큰 파장을 불러일으켰지요.다시 뒤집힌 가설 : 직립보행은 아니다?라미두스가 이렇게 큰 파장을 불러온 이유는 무엇일까요. 라미두스는 긴 팔과 큰 손, ... ...
Bridge. 뇌출혈부터 암까지 뱀독으로 정복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발생하는 흑색종을 죽인다. 흑색종은 멜라닌 색소를 만들어 내는 피부 세포인 멜라노
사이
트에 암이 생기는 병인데 이 효소가 암세포의 세포막 인지질을 파괴해 종양을 죽인다.또 서던 코퍼헤드로 불리는 미국텍사스살모사의 독에서 추출한 단백질은 동물실험 결과 유방암 세포의 성장을 70%나 ... ...
Part2. 크루즈, 보이지 않는 과학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국제적인 기준이 엄격합니다. 오염물 농도를 15ppm(우리나라 해역수질기준 1등급과 2등급
사이
에 해당) 이하로 정화한 뒤, 해상 약 22km 밖에서 시속 11km 속도로 달릴 때만 내보내야 합니다. 우리 배는 최고 5ppm으로 더 엄격하게 정화해 내보내죠.”최근 크루즈는 항해 중일 때뿐만 아니라 정박할 때도 ... ...
더블 쓰나미가 일본 덮쳤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강하고 일본에서 발생한 지진 중 가장 강력했다. 땅의 흔들림에 정신을 차릴 틈도 없는
사이
, 파고가 10m에 달하는 시커먼 바닷물이 초속 11m의 빠른 속도로 해안가로 밀려들었다. 자동차와 배가 함께 떠다녔다. 무너진 건물은 돛단배처럼 시내를 떠다녔고 콘크리트로 만든 건물도 앙상한 철근만 남고 ... ...
DNA오리가미로 나노로봇 만든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약간 변형한 나노박스를 만든 뒤 이 안에 나노 짐을 싣는데 성공했다고 과학저널 ‘
사이
언스’ 2월 17일자에 보고했다. 연구자들은 짐이 달라붙을 수 있게 끝이 돌출된 스테이플 가닥 12개가 박스 내부에 놓이게 DNA오리가미를 설계했다. 그리고 여기에 금나노입자나 항체 같은 나노입자를 붙이는 데 ... ...
자연치즈 모조치즈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성분도 들어 있어 영양학적 측면에서 논란이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가공치즈는 이 둘
사이
에 있다. 제조 과정에서 자연치즈의 숙성을 중지시키기 때문에 펩타이드와 아미노산이 자연치즈보다 적게 들어 있다. 하지만 섬유소나 비타민처럼 자연치즈에 부족한 영양분을 첨가할 수 있다.가격이냐 ... ...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 오류 논란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주도한 그란사소국립연구소는 성명을 통해 “오페라팀 연구에서 두 연구소 실험장치
사이
의 시간을 똑같이 맞추는(GPS 동기화) 과정에 문제가 있어 시간이 잘못 측정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발표했다. 연구소는 두 가지 원인을 제시했다. GPS 신호를 받아들이는 광케이블에 문제가 있었을 가능성과 ... ...
내 안에 고릴라 있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살펴봤다. 연구팀은 “15%의 유전자는 침팬지보다 고릴라와 더 가깝다”며 “종
사이
에 유전적 교류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우리 몸에도 고릴라의 유전자가 일부 섞여 있을지 모른다는 뜻이다 ... ...
너 자신을 알면 연애가 힘들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없었습니다. 다행히 다음 결과는 다소 위안이 됐습니다. 자기객관화와 상대객관화
사이
에 연관성이 있다는 겁니다. 상대방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정도가 심할수록 자기 역시 객관적으로 바라본다는 뜻이지요. 이런 경향은 여자보다는 남자에게서 높게 나타났습니다. 여자에게만 엄격한 잣대를 ... ...
음악, 수학으로 연주해!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알파라비(Al-Farabi, ca. 870~950)에서 진전이 생깁니다. 그는 “소리를 전달하는 것은 물체
사이
의 충격에 의해 공기가 순차적으로 밀리면서 전달된다”고 주장합니다. 하지만 그도 음의 높낮이가 생기는 원리를 알아내지 못합니다. 음의 높낮이는 공기층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가 아니라 단위 시간당 ... ...
이전
406
407
408
409
410
411
412
413
4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