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밥통
위장
Hugo
상부
윗쪽
꼭대기
자리
d라이브러리
"
위
"(으)로 총 10,184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늘부터 나도 발명왕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3호
특별한 크리스마트 트리고차영▶새롭게 태어난 스탠드김석환, 허준석▶어머니를
위
한 선물 카네이션 꽃김소희▶휴대전화 거치대김시환▶다용도 독서대이서진▶늘어나는 콘센트이윤화▶빙그르르 선풍기최진한▶재활용 철교“으악~! 어렵다 어려워~. ‘어린이과학동아’친구들의 아이디어는 정말 ... ...
민주화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일시적으로 높아지는 착각에 빠지기도 쉽다고 분석합니다. 한번 두 번 반복한 악플 행
위
가 다른 이들의 관심을 받고 그 관심이 자양분이 되어 점점 더 자극적인 악플을 달게 되는 것입니다. 사이코패스 성향과 중독 증상이 한꺼번에 발현되는 셈입니다. 민주화와 같은 신조어(엄밀히 말해 의미가 ... ...
PART 1. 중력 없는 세상에서 우리의 운명은?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물리 현상도 접할 수 있다. 비중이 다른 액체를 섞어도 층을 이루지 않는다. 기름이 물
위
에 뜨는 현상을 보지 못한다는 뜻이다.지구에서도 다른 물리·화학 반응을 만들어 낼 수 있어 새로운 발견이 이뤄질 수도 있다.한편, 천체 관측에서는 중력 렌즈 현상을 이용하지 못한다. 중력 렌즈는 뒤쪽 ... ...
PART 5. 우주에 퍼지는 시공간의 물결, 중력파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터널을 이용한다. 원자는 레이저와 달리 지구 중력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수직으로
위
를 향해 쏜다. 원자끼리의 경로 차이에 따라 생기는 간섭 무늬를 관측해 중력파를 검출하는 것이다. 거울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진동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어떤 과학자들은 물질의 파동인 물질파를 ... ...
호랑이 없는 한반도는 담비가 王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많은 밀렵꾼과 마주치게 됩니다. 따라서 담비가 안전하게 도로를 건널 수 있도록 도로
위
에 생태통로를 많이 설치하고, 담비가 사는 지역에는 새로운 도로를 무분별하게 내는 것을 막아야 합니다. 밀렵꾼이 올무나 덫을 놓지 않는 것도 중요하겠지요. 그렇다면 언젠가 우리 주변에서도 담비와 담비의 ... ...
날아라 공기로켓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3호
다음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링으로 조인다.➌ 발사대 고정봉에 고정 고무를 끼우고 몸체
위
로 고정시키면 주사기 발사대 완성!➍ 보조 날개 스티커를 모양에 따라 접고 양면 테이프를 붙인다.➎ 로켓 아래쪽 끝에 보조 날개 세 개를 붙인다.➏ 로켓을 발사대에 장착!3미션 수행하기공기 로켓 발사 비법 ... ...
부모님과 함께 보는 2013년 교과서가 바뀐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잘할 수 있느냐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 처음에는 걱정했다”고 말했어. 교과서가흥미
위
주로 돼 있어 수학 학습에 도움이 안 될 거라고 걱정한대. 하지만 수학 교과서와 수학 익힘책을 보면 생각이 달라질 거야. 학생 스스로학습을 잘 정리하도록 단원평가와 문제해결 영역을 꾸몄거든. 게다가 수학 ... ...
[수학뉴스] 물방울, 방정식으로 표현하다
수학동아
l
2013년 03호
.’ 구슬처럼 연잎
위
를 구르는 물방울. 이 물방울은 왜 나뭇잎을 적시지 않고 그
위
를 구르는 걸까? 독일의 막스 플랭크 연구소는 최초로 이런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는 물방울 구조 방정식을 발표했다.액체는 담는 그릇에 따라 그 모양이 달라진다. 하지만 액체를 구성하고 있는 미세한 엷은 막은 ... ...
가볍고, 견고하다! 텐세그리티
수학동아
l
2013년 03호
끝을 고무줄로 연결해 텐세그리티 구조를 만든 다음, 평평한 바닥과 신축성 있는 바닥
위
에 두는 실험이었다. 그 결과 바닥에 놓은 텐세그리티 구조는 세포처럼 납작해졌고, 신축성 있는 바닥에 놓았을 때는 공처럼 둥글해졌다. 이 실험 이후 생물학자들은 세포가 텐세그리티 구조로 되어 있다는 ... ...
물만 있으면 전기가 펑펑?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수 있는 유연함까지 지녔답니다.연구팀은 필름을 2x3㎝ 크기로 잘라 물기 있는 종이
위
에 올렸어요. 그러자 필름이 마치 춤을 추듯 이리저리 뒤틀리며 움직이기 시작했지요. 물을 흡수해서 팽창했다가 물이 증발한 뒤에 수축하는 과정을 반복하기 때문이에요. 게다가 압력을 받으면 전류가 흐르는 ... ...
이전
406
407
408
409
410
411
412
413
4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