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금
오늘날
오늘
현존
기존
존재
생존
d라이브러리
"
현재
"(으)로 총 11,770건 검색되었습니다.
눈으로 보는 뇌의 목소리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정밀하게 뇌 활동을 관찰할 수 있는 기술이다.]아쉽지만 fMRI가 개발된 지 20년이 지난
현재
까지도 fMRI를 대체할 만한 새로운 뇌기능영상 기술은 개발되지 않고 있다. 미래의 뇌기능영상 기술은 어떻게 발전하게 될까? 우선, fMRI나 뇌자도는 초전도체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냉각 시스템을 갖춘 매우 ... ...
성적도 오르는 즐거운 동아리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앞으로는 더 많은 친구들의 학습에 도움을 주기 위한 활동으로 영역을 넓힐 계획이다.
현재
2학년인 3기 학생들은 친구들이 수업시간에 볼 수 있도록 새로운 화학Ⅰ교과서의 실험을 동영상으로 촬영하고 있다. 각종 과학축전에도 참여해 과학이 생소한 지역 주민들에게도 과학 체험 기회를 제공할 ... ...
잡생각 많은 당신, 걱정하지 마세요!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수화를 배워 사람의 언어 능력을 모방할 수는 있지만 이들이 이야기하는 건 언제나
현재
의 일일 뿐”이라며 “아마도 사람은 시공간을 넘나들며 사고하기 위해 언어를 발명했을 것”이라고 설명한다.정신분열증은 디폴트 네트워크의 과열 상태최근 신경과학자들은 디폴트 네트워크가 뇌가 ... ...
Part 1. 6가지 가정으로 예측해 보는 ‘만약에 지구가’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등이 일부 파장을 흡수해 실제로 지상에서는 빨간색인 685nm 파장이 가장 많이 도달한다.
현재
지구의 식물은 여기에 적응해 이 파장의 빛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엽록소(클로로필 a와 b)를 지니고 있다.만약 태양이 밝은 푸른 빛을 내는 별이고 생명이 태어날 수 있게 적당히 거리가 떨어져 있다고 ... ...
Part 1. 과학자들이 탐내는 생체모방 명품 7선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연구팀은 지금까지 발표된 것보다 1000배 큰 표면구조를 만들 계획이다.한편 에어드롭은
현재
메마른 사막 지역에서 1㎤ 부피의 대기에서 하루 11.5ml의 물을 얻고 있다. 사막딱정벌레가 사막의 오아시스가 될 날도 머지 않았다.[제임스다이슨상을 받은 에어드롭. 공기 중에 있는 수증기를 모아 ... ...
시조새는 여전히 진화의 증거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결함이 아니라 현 교과서에 수록된 내용이 지나치게 단순화되면서 생긴 것이다.
현재
교과서에 나온 것처럼 말은 5500만 년 전 개 크기의 동물인 ‘하이라코테리움’에서 단순히 몇 단계를 거쳐 곧바로 진화한 것이 아니다. 훨씬 복잡한 과정을 거쳐 진화가 진행됐다는 화석 증거가 쏟아져 나왔다. ... ...
대한민국 블랙아웃 초비상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호기 화력발전기(100만kW)가 고장과 화재로 멈췄다. 이들의 전력생산량은 360만kW에 달한다.
현재
전국의 전력공급량은 지난해 5월에 비해 9% 정도 줄어든 6341만kW다. 하지만 전력소비량은 지난해보다 173만kW나 늘어났다. 지난해보다 더위가 빨리 찾아오면서 에어컨과 선풍기를 가동하는 등 냉방 수요가 ... ...
몸속 구석구석 3D로 본다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과연 게임이 사람에게 도움이 되는 기술일까 의심이 들었어요.”하지만 신 교수는
현재
연구실에서 개발하고 있는 생체 영상 기술이야말로 사람을 살리는 기술이라고 강조했다. 병을 빨리 진단하고 치료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신 교수는 “공학의 매력이 바로 이런 것”이라면서 “공학자는 ... ...
성적표 사용 백서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1등이 될 수도 있다. 이 과목을 집중적으로 공부해 3등급으로 올려놔야 한다. ② 영어I은
현재
2등급 마지막 선에 있다. 기말고사도 중간고사와 같은 난이도로 출제된다면 기말고사에서 100점을 받아도 1등급으로 올리긴 어렵다. 중간고사가 쉽게 출제돼 2등급 구분 점수가 92점 내외고, 1등급 구분 ... ...
GIST 정자호 입학사정관 인터뷰 - “중요한 것은 ‘What’이 아니라 ‘How’”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뽑습니다. 물론 모집인원을 늘려달라는 요청이 많습니다. 하지만 교수 1인당 학생 비율(
현재
1:10), 강의당 학생 수 등 교육의 질적인 측면과 강의실, 실험실, 기숙사 등 교육 환경적인 측면에서 GIST의 강점을 유지하면서 모집정원을 200명까지 순차적으로 증원할 계획입니다.일부 제출서류의 명칭과 ... ...
이전
406
407
408
409
410
411
412
413
4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