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8,276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진도 폭풍처럼 몰아친다
과학동아
l
201004
이하의 작은 지진은 일어났지만 규모 7.0 이상의 큰 지진이 발생한 적은 없다.세스 스테인
교수
의 주장처럼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는 ‘작은 지진’은 큰 지진의 여파가 지나가며 일으키는 여진일 수 있다. 또 암반이 응력을 견디는 능력에 따라 오랫동안 소리 없이 응력을 쌓아 두다가 한꺼번에 큰 ... ...
올해 한국과학상에 강현배 씨 외 4명 수상
과학동아
l
201004
다양한 신물질을 만드는 소재과학을 개척한 공로가 인정됐다.생명과학 분야 수상자인 오
교수
는 상피세포에서 수분과 전해질 분비를 조절하는 염소이온 채널 유전자인 ‘아녹타민1’을 최초로 발견해 난치병인 낭포성섬유증 치료에 획기적 전기를 마련한 공로를 인정받았다.교과부는 또 40세 ... ...
세계 최대 달 모자이크
과학동아
l
201004
대상작의 높이는 2.5m, 폭은 6.9m에 이른다.심사위원장인 김천휘 충북대 천문우주학과
교수
는 “지난해보다 우수한 작품이 많이 출품됐다”며 “대상작은 대형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달의 크레이터(운석충돌구덩이)나 산맥 등 여러 지형이 뚜렷하게 드러난다”라고 밝혔다.모든 당선작은 ... ...
아폴로 박사 조경철을 그리며
과학동아
l
201004
들어와 국민에게 별과 우주의 꿈을 키워준 사람”이라고 기자에게 말했다. 홍
교수
의 말처럼 조 박사는 아무것도 없는 천문학의 불모지에 모든 것을 버리고 찾아와 홀로 사람을 키우고 터를 닦고 씨를 뿌린 과학자였다. 조 박사는 미국 유학을 가 처음에는 정치학을 공부하려고 했다. 그러나 공부를 ... ...
한방과 양방으로 다스리는 척추측만증
과학동아
l
201004
척추의 각을 교정시켜 고정한 뒤, 그 부분을 모두 굳힌다.을지병원 정형외과 배상욱
교수
는 “수술은 대개 성장이 끝날 무렵 척추의 휜 각도가 45° 이상일 때 필요하다”며 “환자가 성장기 청소년이라면 3개월에 1번씩 X선 촬영으로 만곡이 커지는지 살피고, 만곡이 20~40°일 때는 보조기를 1~2년 동안 ... ...
인간이 감당할 수 있는 친구 수는 150명
과학동아
l
201004
영국의 진화심리학자 로빈 던바는 ‘인간의 두뇌가 관리할 수 있는 친구의 수가 150명 정도’라는 이론을 1992년 발표했다. 던바가 말한 친구의 의미는 사람 사이의 관계를 모두 알고 있는 경우다.1년 이상 지속적으로 만나며 정보를 교환하고 대화하는 관계를 뜻한다. 1년에 한두 번 카드나 주고받는 ... ...
팔색조 고분자의 화려한 변신
과학동아
l
201004
반면, 이 고분자막은 고온에서 작동하면서도 연료 투과현상이 현저히 감소했다. 이
교수
는 “외국기술과 당당히 경쟁할 수 있는 원천기술을 확보하는 것이 우리 연구의 최종 목표”라며 “독자적인 방법과 철학으로 관련 연구를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 ...
부끄러울 때 쥐구멍에 숨고 싶은 이유
과학동아
l
201004
안에서 있었던 편안한 기억 때문에 생긴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서울대 심리학과 곽금주
교수
는 “아이들이 구석으로 들어가려는 현상은 어머니와 결합된 상태를 더 많이 기억하고 있는 어린아이들에게 집중적으로 관찰된다”며 “아이가 성장하면서 개인 공간의 크기도 함께 커진다”고 설명했다 ... ...
신체화장애,몸과 마음의 관계
과학동아
l
201004
시절의 일화다. 주임
교수
는 굉장히 무서운 분이었다. 정신과 의국에 전설 같은 실화가 수없이 전해 내려올 정도였다. 선배들로부터 그런 얘기를 듣다 보니 수련의 생활은 공포와 함께 시작됐다. 그분 앞에만 서면 왜 그리 작아지던지. 압도적인 카리스마 앞에 몸을 덜덜 떨 때가 한두 번이 아니었다. ... ...
한반도 5~6년마다 큰 지진 온다
과학동아
l
201004
2월 25일 공군회관에서 열린 한반도 지진대응 포럼에서 전북대 지구환경과학과 조봉곤
교수
는 “한반도 지진안전 지대 논란을 서둘러 끝내고 과학적인 연구 방식과 대응기술을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한반도 지진을 연구하는 전문가는 30명 수준이고 연간 연구비도 30억 원이 고작이다 ... ...
이전
407
408
409
410
411
412
413
414
4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