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낙원
이상향
유토피아
무릉도원
이상국
도원경
이상
d라이브러리
"
이상세계
"(으)로 총 5,539건 검색되었습니다.
4. 사람에게만 서식하는 종류는 퇴치가능
과학동아
l
199402
바이러스를 물리치기 위한 연구는 어디까지 와 있을까. 발달된 의학은 많은 바이러스의 예방약을 내놓고 있지만, AIDS 등 아직도 퇴치에 근접하지 못한 바이러스도 부지기수다.천연두바이러스는 인간이 퇴치한 최초의 바이러스다. 1796년 영국의 제너가 처음으로 종두법을 개발한 이래, 세계보건기구 ... ...
기초과학 연구의 상징 SSC 건설계획 중지
과학동아
l
199402
거대과학은 사멸하는가. 게놈 계획, 우주정거장(프리덤)과 함께 거대기초과학의 상징물로서 세계 과학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던 초전도거대가속기(SSC) 건설이 중지됐다. 작년 말 미국 상하양원협의회에서 SSC건설을 중지하기로 결정한 것. 전체 길이 87km 중 14.7km의 굴착공사가 진행되던 상황에서 이 ... ...
물질과 결합 핵융합의 수백배 에너지 방출하는 반물질(反物質)의 실체
과학동아
l
199402
물질과 반물질이 충돌하면 모든 것이 사라지고 엄청난 에너지 덩어리만 남는다. 소립자 수준에서 원자 수준으로 진전되고 있는 반물질 연구. 인간의 세계관까지 뒤바꿔놓을 반물질의 실체를 알아보자.단지 35mg만 있으면 우주왕복선과 같은 물체를 우주공간에 쏘아올릴 수 있다. 미국 공군연구소에 ... ...
사라진 이산화탄소의 행방은?
과학동아
l
199402
인간이 대기로 날려보낸 이산화탄소 가운데 59%만이 대기중에 남아 있을 뿐 나머지 41%는 어디론가 사라져 버렸다. 도대체 이산화탄소는 어디로 갔을까? 이것이 우리가 풀어야 할 수수께끼다.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의 미래에 대해 관심이 있는 과학도라면 야망을 품고 도전해 볼 만한 수수께끼가 하 ... ...
설치류로부터 배우는 것
과학동아
l
199402
세계에 있는 포유동물의 절반은 거의 모든 지역에서 서식하고 있는 토끼목(目)-이 목(目)에 속하는 동물들을 설치류라고 부른다-에 속한다. 우리 인간들은 실험실에서 사육하면서 보호하고 있는 생쥐들과 쥐들로부터 항상 배워왔고, 또 아직도 배우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야생의 설치류로부터 ... ...
1. 생물 속에서만 생명얻는 '불완전 생물'
과학동아
l
199402
미생물보다 작은 바이러스는 생물과 무생물의 영역을 오가며 각종 질병을 유발한다. 감기·AIDS·암 유발의 원인, 바이러스의 정체는 근대에 들어와서야 조금씩 밝혀지고 있다.바이러스(virus)란 용어는 라틴어로 독(poison)이란 뜻이다. 그래서 한문을 사용하는 나라에서는 바이러스를 '병을 일으키는 ... ...
PART.2 쓸만한 타이틀을 찾아라
과학동아
l
199402
막강한 저장능력을 지닌 CD-ROM의 진수를 맛보기 위해서는 '영양가 있는' 정보의 수집이 필수적이다. 국내외에 나와있는 각 분야의 CD-ROM 타이틀에 대해 알아보자.하드웨어보다 소프트웨어가 훨씬 중요하다는 사실을 모르는 사람은 이제 없을 것이다. 하지만 아직도 하드웨어 중심적 사고는 팽배해 있 ... ...
지구과학- 운석충돌로 생성 직경 200km 넘는 것도
과학동아
l
199402
천체망원경이나 쌍안경으로 달을 보면 원형의 구덩이들이 보인다. 직경 2백km가 넘는 것 등 달에는 이러한 구덩이가 3천여 개 정도 있다. 아폴로 탐사로 인간이 달에 다녀왔지만 지상에서 보이는 달의 크레이터들은 아직도 인간의 호기심을 자극하기에 충분하다.천체망원경이나 쌍안경을 구입한 사 ... ...
백악기 절멸기에도 거의 모든 곤충 살아남았다
과학동아
l
199402
곤충은 이 세계에서 결코 사라지지 않을 것인가. 곤충류는 공룡과 같이 절멸이라는 운명을 맞지는 않는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주목을 받고 있다. 스미소니언 자연사박물관의 고생물학자인 콘라드 라반데이라는 "곤충류는 거의 멸종되지 않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1억년 이상 그 계통을 이어가 ... ...
인류 기원의 수수께끼 푼다
과학동아
l
199402
옛 DNA는 사라진 세계의 소식을 전달해주는 우편배달부다. 분자고고학은 옛 DNA를 통해 초기 인류의 기원이나 생활양식에 얽힌 궁금증을 풀어줄 것이다.1993년의 노벨화학상은 미국의 케리 멀리스에게 돌아갔다. 1983년에 창안한 중합효소 연쇄반응(PCR)기술이 유전공학 발전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된 것 ... ...
이전
407
408
409
410
411
412
413
414
4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