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지"(으)로 총 12,166건 검색되었습니다.
- ➍ 서갑양 기계항공공학부 교수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여러 가지 스케일(규모)이라는 의미입니다. 자연계는 단일 스케일이 아니에요. 나노단위부터 마이크로까지 다양합니다. 나무를 보면 굵은 줄기가 있고 작은 가지, 잎까지 각 스케일이 다 의미가 있죠. 곤충의 날개도 그렇고요. 이런 것을 연구하려면 멀티 스케일로 해야 하죠. 도마뱀은 벽을 자유롭게 ... ...
- 하루에 2cm, 기후를 지키는 움직임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주면 온도가 낮아진 파란색 물이 아래로 침강하는 것을 볼 수 있어요. 자, 그리고 또 한가지. 밀도차를 발생시키는 다른 원인이 있어요. 뭘까요? 힌트. 심층해류는 지중해나 홍해에서도 발생해요.아! 염분 때문인가요? 두 곳 모두 염분이 높은 곳이잖아요.정답! 염분이 높을수록 바닷물의 밀도는 ... ...
- 사랑의 묘약, 있다? 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사랑하는 사람은 누구일까?어…, 엄마?딩동댕~. 바로 엄마가 이 사랑의 묘약을 가장 많이 가지고 있단다. 호르몬 중에 ‘옥시토신’이라는 호르몬이 바로 사랑의 묘약이야. 옥시토신은 아이를 낳고 기를 때 중요한 역할을 하지. 잠깐!사랑의 묘약, 쥐 혈액에서 처음 발견하다1968년 미국 ... ...
- 변 기자의 우주에서 가장 추운 취재기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4호
- 해왕성이 태양에서 훨씬 멀리 떨어져 있는데 천왕성이 가장 추운 이유는 뭘까?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해왕성 내부에서 방사능 붕괴가 일어나 열을 많이 내놓기 때문이라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수성은 태양과 가장 가까이 있지만, 대기가 없어서 극한의 추위와 더위 사이를 오르내린다.금성 ... ...
- [매스 미디어] 돌고래는 수학 천재? 돌핀수학동아 l2013년 04호
- 적응 정도를 파악할 예정이다.영화 속 주인공 다니엘은 자기 힘으로 꿈을 찾아 떠나가지만, 제돌이는 사람들의 도움을 받아 자연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과연 다니엘은 꿈을 찾을 수 있을까? 또 제돌이는 거친 바다에서 잘 적응할 수 있을까? 4월에는 돌고래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 보자 ... ...
- [생활] 수학탐정 M 로슬린 성당의 비밀을 밝혀라!수학동아 l2013년 04호
- 한다.역시 열쇠는 클라드니 도형이었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일정한 규칙과 순서로 가지런히 정리된 클라드니 도형이라면, 바로 음악으로 연주할 수도 있지 않을까? 그렇다면 이것이 바로 로슬린 성당과 가장 잘 어울리는 음악을 대표하는 ‘악보’가 분명하다!실제로 조사를 더 해 보니, 미첼 ... ...
- 4화 평행우주에서 찾은 사랑수학동아 l2013년 04호
- 단계의 추적 방지 시스템을 가동했으니 걱정 마세요. 데카르트 님, 주의할 점은 딱 한 가지입니다. 혹시 이곳에 당신이 존재한다면 절대 당신과 마주쳐선 안 됩니다.”폴 일행은 우주선 밖으로 나왔지만 어디로 가야할지 막막했다. 그때 피타가 소리를 질렀다.“피타피타!”“어!? 광고 영상 속 저 ... ...
- [수학뉴스] 만약 김연아 선수가 수학을 공부했다면?수학동아 l2013년 04호
- 운동을 얼마나 많이 하는지를 보여 주는 지표가 된다. 연구팀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두 가지 측정과 함께 수학과 읽기 능력을 평가하는 시험을 진행했다.그 결과, 운동을 많이 해서 신체 균형도가 높게 나타난 학생들이 수학과 읽기 시험을 더 잘 통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의 경우 2.4배, 읽기의 ... ...
- [수학뉴스] 300년 전 뉴턴이 낸 문제, 새로운 해답 나왔다수학동아 l2013년 04호
- 그런데 최근, 세르비아 베오그라드대 물리연구소 밀로반 주바코프 박사 팀이 무려 13가지나 되는 새로운 해법을 찾았다고 발표했다. 연구팀은 지금까지 밝혀진 3가지 경우를 컴퓨터로 시뮬레이션 하면서 새로운 운동이 만들어질 때까지 조건을 바꿔 주었다. 그 결과 이전과 다른 새로운 반복 운동이 ... ...
- 도로시의 카오스 여행기 혼돈에 빠진 오즈를 구하라!수학동아 l2013년 04호
- 하고, 전혀 예상치 못한 불규칙한 신호를 만들기도 한다.이렇게 단순한 구성 요소가 여러 가지 방식으로 상호작용을 하는 체계를 ‘복잡계’라고 한다. 뇌의 행동은 언뜻 무질서해 보이지만, 질서와 혼돈이 균형을 이루며 스스로 새로운 패턴을 만들어 낸다. 예측 불가능해 보이지만, 이 새로운 ... ...
이전407408409410411412413414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