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포"(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고질적인 얼굴 반점 지우는 새 레이저요법과학동아 l1994년 04호
- 개발한 특수 루비 레이저 기기에서 나오는 짧은 파장은 비정상적으로 크게 착색된 세포인 이 반점을 지워낸다.미국 뉴저지주 로버트우드존슨 의대의 샌디 밀그라움 박사가 개발한 이 루비레이저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인정을 받았는데, 치료는 외래 과정에서 국부마취만으로 행해진다. 2백5 ... ...
- 2. 기형아치료 새 생물 창조 등 의학 육종학의 새 전기 마련과학동아 l1994년 03호
- 의해 일어난다. 그 힘은 세포 표면의 성질, 중력과 같은 일반적인 힘, 내적으로 생기는 세포질의 힘 등이 주요 요소가 될 것이다.생물의 형태형성은 화학물질의 작용과 물리적 힘의 기능을 포함한 매우 복잡한 과정으로 봐야 한다. 그러나 생물들이 만들어내는 다채로운 형상들은 생물이 가지고 있는 ... ...
- 3. 염색체의 DNA에 투과, 인위적 돌연변이 유발과학동아 l1994년 03호
- 인체장해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인체에서는 앞서 말한 공식이 항상 성립되지는 않는다. 세포가 손상을 받더라도 그로 인한 생물학적 이상이 인체에서 질병의 상태로 나타나기에는 그 외에 수많은 요인인 서로 얽혀 작용한다. 결국 인체가 방사선 피폭을 받았을 때 암이나 유전적 이상이 쉽게 ... ...
- 알레르기성 비염의 원인과 치료과학동아 l1994년 03호
- 붙지 못하도록 하는 약, 비만세포가 폭발해도 화학적 수용체가 나오지 못하게 하는 '비만세포막 안정제', 화학적 수용체가 나오더라도 코점막에 붙지 못하게 하는 항히스타민제 등 단계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약이 있다. 방식도 직접 뿌리는 것, 먹는 것 등 다양하다. 또 스테로이드 제제로 좋은 ... ...
- 인체는 다양한 카오스 실험실과학동아 l1994년 03호
- 시각중추에서 수백만개의 신경세포가 보여주는 행동이 혼돈임을 발견해낸 것이다. 신경세포집단의 복잡한 활동은 무작위적으로 보이지만 그 이면에는 질서가 숨어있다는 것이다. 요컨대 뇌의 복잡한 구조로 말미암아 혼돈은 필연적인 부산물로 나타난다. 뇌의 활동이 혼돈이기 때문에 뇌가 ... ...
- 생물- 대장균이 길러낸 인슐린으로 당뇨병 치료과학동아 l1994년 03호
- B세포를 증식시킨 것과 마찬가지로 다량의 동일한 항체를 구할 수 있다. 이러한 잡종세포를 하이브리드마라고 하고, 또 그것이 만들어낸 동일한 많은 항체를 단일클론 항체라고 한다.이밖에도 유전자를 이용한 기술에는 여러가지가 있다. 유전공학을 이용하여 특정한 중금속과 항원·항체 반응처럼 ... ...
- 1. 유전자 이상이나 염색체 숫자·순서 바뀔 때 나타나과학동아 l1994년 03호
- 일부러 돌연변이를 유도한다. 그 방법중의 하나는 유전자 이식 기법으로, 생쥐 생식세포의 염색체에 외부로부터 넣어준 DNA를 삽입시켜 이때 DNA가 마침 중요한 유전자 한 가운데에 삽입되면 유전 암호가 중간에 단절되므로 돌연변이가 될 것이다. 이 생쥐는 외부에서 넣어준 유전자를 대대로 ... ...
- 미생물 이용, 환경오염 막는다과학동아 l1994년 03호
- 작물에 유효한 물질로 바꾸어준다. 또 효모균이 만들어내는 생리활성물질 등은 뿌리가 세포분열을 좋게 해준다. 방선균은 광합성세균이 만들어내는 아미노산을 받아서 항생물질을 만들어 유해한 미생물들의 번식을 억제해주고 유효한 미생물들의 활동을 좋게 해주는 작용을 한다.이와 같이 유효한 ... ...
- 2. 형형색색 바이러스 세계과학동아 l1994년 02호
- 전자 현미경이 만들어지기까지 인간은 바이러스를 볼 수 없었다. 그 최초의 모습을 본것이 1938년. 막 개발된 전자현미경으로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를 ... ② 바이러스 주변에 소포가 형성된다.③ 껍질이 벗겨진 캡시드가 소포로부터 세포의 세포질로 들어간다.④ 핵산의 중심만이 남는다 ... ...
- 4. 사람에게만 서식하는 종류는 퇴치가능과학동아 l1994년 02호
- 세포 자체가 만들기 시작하는 물질. 항체 생산보다 일찍 시작하여 바이러스가 세포에서 세포로 퍼지는 것을 막아주는 초도단계의 방어기능을 맡고 있다고 볼 수 있다.인터페론은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 및 예방에 쓸 수 있으나 숙주특이성이 있기 때문에 쉽지는 않다. 사람에게는 사람인터페론만이 ... ...
이전407408409410411412413414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