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속
지속
퍼짐
속편
결과
뒤
후편
뉴스
"
계속
"(으)로 총 6,502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무아무아’에 대한 하버드대 과학자들의 분석
동아사이언스
l
2018.11.11
인공 신호도 나오지 않았다. 그러나 좁은 대역의 신호만을 분석했고 아직까지 분석은
계속
되고 있다. SF영화 '스타트렉'처럼 전파가 아닌 공간전송을 시도하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이야기도 있다. ▲외계생명체가 있다면, 그들이 수백만년에 걸쳐 오무아무아를 보낸 이유는 무엇일까. =모른다. 한 ... ...
머리 속 맴도는 '수능금지곡' 걱정없이 듣는 법
수학동아
l
2018.11.11
영국 연구팀이 선정한 귀벌레 현상이 가장 강력한 곡이다. REX 제공 귀벌레 처치 방법
계속
맴도는 귀벌레 현상에서 탈출할 수 있을까요? 어떻게든 피하려고 했는데, 이미 중독이 됐다고 절망하지 마세요. 완벽한 퇴치는 불가능하지만 귀벌레를 쫓아낼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한 사람들도 있습니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열정에 도리어 먹히다
2018.11.10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눈 때문에 자전거를 타는 것이 위험한 겨울에도
계속
해서 자전거를 타는 모습을 더 많이 보였다. 강박적 열정이 장기적으로 큰 해가 되는 부상 위험를 높였다는 것이다. 도박을 단순히 즐기는 정도가 아니라 ‘중독’에 빠진 사람들 역시 그렇지 않은 ... ...
사람 腸 모사한 미니칩으로 장염 원인 밝혀내
동아사이언스
l
2018.11.09
미세한 필터를 이용해 장 모사 장기칩을 두 층으로 제작했다. 먼저 위층에는 죽지 않고
계속
증식하는 세포(암세포)로 만든 장 상피세포를 넣고 키워 융모 모양의 구조까지 갖춘 장 내부 환경을 만들었다. 상피세포는 서로 단단하게 결합돼 아래층에는 혈액에서 분리한 면역세포를 키워 장 외부의 ... ...
어린이 사시약시,뇌발달 저해
과학동아
l
2018.11.08
겪었다. 연구팀은 사시약시 환자의 경우 시력이 약한 눈으로 들어온 시각 정보를 뇌가
계속
해서 무시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다. 차우 연구원은 “사시약시가 뇌에서 집중력과 연관된 부위의 발달에 영향을 미쳤다는 뜻” 이라며 “사시약시와 부동시약시를 각각 치료하는 방법이 달라야 할 ... ...
적층식 전자회로, 출고전 오류 100%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7
기대된다. 안 연구원은 “앞으로도 차세대 반도체 소자의 미세형상 측정 기술을
계속
연구해 나갈 것”이라며 “반도체 분야의 검사계측 핵심 기술 개발 및 측정 표준 확립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 연구성과는 과학저널 ‘네이처’가 발행하는 온라인 학술지 ... ...
지구 건강에 모처럼 희소식…북반구 오존구멍 10년내 완전 복원
연합뉴스
l
2018.11.07
이 보고서 작성에 참여한 미국항공우주국(NASA) 과학자 폴 뉴먼은 오존 고갈 물질이
계속
증가했다면 2065년께 지구 오존층의 3분의2가 파괴돼 엄청난 재앙이 초래될 수 있었다면서 "우리는 이를 중단시켰다"고 했다. 지구 상공 10~40㎞에 펼쳐져 있는 오존층은 태양의 위험한 자외선으로부터 지구 ... ...
김유항 교수 AASSA 회장 재임
동아사이언스
l
2018.11.06
김유항 인하대 명예교수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종신회원인 김유항 인하대 화학과 명예교수(사진)가 아시아과학한림원연합회(AASSA) 회장 재선에 성공했다고 6일 밝혔다. ... 말했다. 이번 총회에서는 기존 AASSA 사무국을 맡았던 과학기술한림원이 2024년까지 역할을
계속
하기로 정했다 ... ...
“흡연자 심장질환 발병률, 정상인 수준으로 내려가려면 16년 걸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5
담배를 피우지 않은 사람보다 70% 증가한 것을 확인했다. 또 담배를 끊은 지 5년이 지나면
계속
담배를 피우는 사람보다 심장질확 발병률이 약 38%가량 감소했으며, 담배를 끊은 뒤에도 최대 16년까지 심장질환 발병률이 일반인보다 높은 것을 확인했다. 덩컨 연구원은 “담배를 짧은 기간 동안 ... ...
KAIST 과학로켓 ‘우리새-2호’ 2차 발사도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8.11.04
밝혔다. 이어 “거기서 멈추지 않고 이후에도 과학로켓의 규모를 키우는 등 로켓 개발을
계속
이어나갈 것”이라며 “최종적으로는 초소형위성(큐브샛)을 우주로 쏘아올릴 수 있는 소형로켓 독자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지난달 28일 진행된 1차 발사는 우리새-2호의 첫 ... ...
이전
407
408
409
410
411
412
413
414
4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