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난
사건
생각
사색
재해
재앙
난리
뉴스
"
사고
"(으)로 총 4,532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제 유전자치료도 편집의 과학?
2014.06.30
제시 겔싱어라는 18살 소년이 유전자치료를 받은 뒤 급격한 면역반응으로 4일만에 죽는
사고
가 나면서 제동이 걸렸다. 이 사건으로 유전자치료 연구는 크게 위축됐지만 다시 전열을 재정비해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유전자치료 임상이 늘면서 현재 1700여명이 임상을 받았거나 임상을 진행하고 ... ...
공항엔 얼마나 일찍 도착하는 것이 좋을까?
수학동아
l
2014.06.30
최적의 공항 도착시간에 관한 연구결과를 자신의 저서 에 실어 발표했다. 엘른버그 교수는 비행기를 놓치지 않기 위해 공항에 일찍 도착하는 사람도 있는 반면, 시간낭비를 줄이기 위해 시간에 딱 맞게 공항에 도착하는 사람도 있는 점에 주목했다. 여기에 ... ...
"이젠 공학자가 나설 때"
과학동아
l
2014.06.27
구축할 수 있다.” 한국공학한림원은 세월호 참사를 비롯해 끊임없이 터져 나오는 안전
사고
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기 위해 ‘안전한국을 위한 제언’이라는 제목의 정책연구 보고서를 26일 발표했다. 공학한림원은 세월호 참사가 터지기 전인 2013년 유비쿼터스형 국민 중심 안전망을 구축할 ... ...
당신의 ‘파도 지수’는 몇 점?
과학동아
l
2014.06.27
최근 이안류는 한반도 바다의 ‘단골손님’이 됐다. 지난해에만 이안류로 인한
사고
가 10건 발생했고 구조된 사람만 546명에 이른다. 해운대의 경우 해저지형이 독특해 이안류가 자주 발생한다. 다른 해수욕장과 달리 해운대 중심부에는 골짜기가 뻗어 있는데, 해안가에 도착한 파도에 남아 ... ...
“구글X 프로젝트, 100만분의 1 성공확률에 도전”
동아일보
l
2014.06.26
구글의 혁신을 이끈 프로젝트는 모두 이들의 손에서 시작됐다. 1년에 수십만 명이 교통
사고
로 죽거나 다친다. 환경오염이나 질병도 전 세계가 함께 해결해야 할 ‘난제’다. 스미스 부사장은 “구글X 프로젝트는 영화나 역사 속 영웅들처럼 인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다”며 ... ...
[과학단신] 원자력硏 헝가리 국제 공동워크숍 등
과학동아
l
2014.06.23
이반 토트(Ivan Toth) MTA-EK 연구위원 등 해외 전문가 20여 명이 참석했다. 양 기관은 원전
사고
발생시 압력용기 내부의 압력파 전파 현상 연구, 원전 안전성 정밀평가 기술 개발 등에 대해 주제발표를 하고 원자력 안전 분야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 한국연구재단은 24일 오후 1시30분 충남 ... ...
재난로봇 경진대회 결선, 누가 나가나
과학동아
l
2014.06.20
2011년 3월 16일,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닷새 뒤인 이날 도쿄전력 기술자 50명이 고(高)방사능이 가득한 원전 현장에 투입됐다. 방사능 피폭 위험을 감수하고 이들이 현장에 들어선 이유는 딱 하나. 이들을 대신해 일할 로봇이 없었기 때문이다. 이 사실을 알게 된 미 국방부 산하 ... ...
방사성 세슘 다 잡는 신물질 개발
과학동아
l
2014.06.16
가능하다. 연구팀은 “6개월 정도면 실용화가 가능할 것 같다”며 “원전
사고
시 발생한 방사성 세슘을 제거하는 것은 물론 핵연료 재처리시 발생하는 방사성 세슘을 처리하는 데에도 활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앙게반테 케미 측은 이 연구 성과의 중요성을 인정해 VIP 논문으로 선정했다. ... ...
튜링 테스트 통과한 ‘유진 구스트만’과 대화해보니
과학동아
l
2014.06.13
뉴런)를 만든 뒤 뉴런 수를 인간의 두뇌 구조에 맞춰 늘려가다 보면 결국 진짜 뇌처럼
사고
할 수 있는 인공두뇌가 만들어진다. 스위스 로잔공대는 인공두뇌를 개발하기 위해 10년째 ‘블루브레인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유럽연합(EU)은 2013년 ‘인간두뇌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영화 그녀 ... ...
아시아의 과학 대중화 길을 찾다
과학동아
l
2014.06.12
제공 일반 대중의 과학적
사고
와 이해를 증진시키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아시아 지역 과학 대중화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말레이시아한림원과 공동으로 12~13일 양일간 서울대 호암교수회관 목련홀에서 국제워크숍을 개최하고 아시아 각국의 과학 대중화 ... ...
이전
407
408
409
410
411
412
413
414
4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