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4,360건 검색되었습니다.
컴퓨터가 블랙홀의 정체 밝혀
과학동아
l
198905
그러나 이러한 작은 δ값들에도 불구하고 현대의 정밀한 관측 기술은 태양 표면 부근에서
빛
이 (그림1)처럼 약 1$\frac{3}{4}$˝(1˚=3600")의 각도 만큼 휜다는 사실을 검증해내고 있다.컴퓨터로 풀어낸다. 1962년 '아노워크 데서 미스너'(Arnowitt Deset Misner)는 상대론을 '휜 3차원 공간+1차원시간'으로 나누어 ...
생물의 갖가지 형태가 갖는 의미
과학동아
l
198905
상황을 판단할 수 있을까? 잠복할 나무로 올라가는 길목을 찾는데는 온 살갗에 퍼져 있는
빛
감각점을 활용한다. 사냥감을 찾는데 있어서도 마찬가지다. 즉 모든 짐승의 살갗샘에서 흘러나오는 낙산(lactic acid)의 냄새가 진드기에게 '초소에서 밑으로 떨어지라'는 신호로 작용하는 것이다. 진드기는 ... ...
카메라 탄생 150년 기술진보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198905
셔터와 렌즈, 두 부분이 핵심을 이루는데 이와 아울러 필름의 감도와 광량에 따라
빛
을 조절하는 노출계로 구성된다.카메라의 셔터는 두가지로 분리된다. 하나는 렌즈셔터이고, 또 하나는 포컬플랜셔터이다. 렌즈셔터의 경우는 최고속도가 1/5백 초가 고작이며 최저1초까지 저속셔터가 작동한다. ... ...
기술사
과학동아
l
198905
그러나 모든 사회구조가 그렇듯 피라밋의 하층구조를 튼튼히 할 때 귀족적인(?) 학문도
빛
을 발할 수 있다. 산업현장의 대중적 기능 기술인이 뒷받침해줄때 '큰 과학'이 될 수 있는 것이다.연구실에 있는 박사가 산업현장 기술사가 하는 일을 못하듯 기술사도 박사가 하는 일을 할 수 없다. 열처리의 ... ...
랩톱컴퓨터/제2의 PC혁명
과학동아
l
198905
, 플라즈마표시(Plasma Display) 등 3가지 기술이 있다.액정표시는 다른 디스플레이와 달리
빛
을 발사하지 않고 반사하므로 크기가 클수록 시각이 제한되고 대비(Contrast)비율이 낮아져 백라이팅(Backlighting)을 갖추어야 한다.플라즈마는 밝기가 뛰어나고 대비 비율이 높아 해상도는 우수하나 가격이 비싸고 ... ...
「꿈의 재료」아모르포스
과학동아
l
198905
반도체가 매우 많이 쓰이고 있다.이 태양전지에서 성공의 중요한 관건은
빛
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전기로 바꿀수 있느냐하는 점이다. 그런데 현재 소형 전자계산기 손목시계 등에 쓰는 아모르포스실리콘은 효율이 10%정도에 불과하다. 따라서 태양전지에 남아있는 숙제는 낮은 효율을 어떻게 하면 ... ...
수퍼노바 1987A로부터 확인
과학동아
l
198904
년전 수퍼노바 1987A를 관측한 칠레의 '케로 톨로로' 관측소에서 수퍼노바 1987A로부터 오는
빛
의 파동을 포착함으로써 이루어 진 것.이 중성자별은 또 목성의 질량과 비슷한 반성(伴星)도 갖고 있는 것처럼 보였다. 중성자별을 확인케 해준 수퍼노바 1987A는 지난 87년 5월에 가장 밝았으며 지금은 ... ...
대기권 밖의 망원경
과학동아
l
198904
이러한 관측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그것은 1백70억년에 걸쳐서 지구에 도달한
빛
을 관측함으로써 1백70억 광년 떨어져 있는 은하를 관측할 수 있기 때문인데 이로 인하여 그처럼 오래 전에 형성된 우주의 초기 모습을 있는 그대로 볼 수 있으며 은하가 형성되는 방법에 대해서도 알 수가 있다. ... ...
지진 The Earth Trembles
과학동아
l
198904
줄어들게 될 것이다.어떻게 장기적인 지진예보를 가능하게 할 수 있을까? 간섭계(
빛
의 파장을 측정하는 기계)와 레이저를 이용하여 지진을 유발하는 지질학적 판의 미소한 이동을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이 이미 개발되었다. 이러한 측정을 바탕으로 하여 과학자들은 형성되고 있는 왜력의 크기를 ... ...
과학에세이 인공지능의 허와 실
과학동아
l
198904
흉내내고 있을 뿐이라고 생각해볼 수도 있다. 그래서 인공지능이란 것은 잘 살펴보면 '
빛
좋은 개살구'나 '속 빈 강정' 같은 연구가 아니냐는 혹평을 하는 사람도 있다.자기 스스로가 지금 하고 있는 일이 무엇인지도 모르고 그저 복잡한 프로그램에 지시된대로 움직이는 컴퓨터가 설혹 매우 뛰어난 ... ...
이전
408
409
410
411
412
413
414
415
4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