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스미디어] 히든 피겨스수학동아 l2017년 04호
- 했다. 그중 가장 돋보인 건 캐서린 존슨이다.캐서린은 해석기하학★에 뛰어났다. 대학 시절 캐서린의 능력을 높이 산 교수에게 일대일 수업으로 해석기하학을 배웠기 때문이다. 우주선의 궤도를 계산하려면 지구의 중력은 물론 지구가 약간 납작한 타원형 구체라는 사실과 지구의 자전 속도를 ... ...
- Intro. 모순이냐 진리냐? 역설 정복의 꿈수학동아 l2017년 04호
- 가까운 미래에 인공지능이 수많은 직업을 대체할 것이다. 언젠가는 인공지능 로봇 이발사에게 인간이 머리를 맡길 날이 올지도 모른다. 그런데 스스로 머리를 자를 수 없는 사람들의 머리만 잘라주는 이발사는 끝없이 자라나는 자신의 머리를 어떻게 할까? 평생 자신의 머리를 자를 수도, 자르지 않 ... ...
- Part 1. 역설의 정체를 밝혀라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이발사의 역설’에서 이발사는 머리를 자를 수도 없고 자르지 않을 수도 없다.스스로 사고할 수 있는 인간을 상식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끌려가게 만드는 역설의 정체가 궁금하다. 직관력 퀴즈, 10초 안에 답하라! ‘왠지 이 답이 맞을 것 같아.’논리적으로 문제를 분석하지도 않았는데 머릿속에 ... ...
- Part 3. 인공지능도 역설을 이해할까?수학동아 l2017년 04호
- 미해결 난제는 인공지능도 해결하기 어렵다. 과연 그런 문제가 남아있을까? 김병한 연세대학교 수학과 교수는 아직 참거짓을 판단할 수 없는 명제인 ‘골드바흐의 추측’과 ‘연속체 가설’을 예로 들었다.공리★ 시스템이 기본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증명 없이 참으로 인정하는 명제.인간만이 ... ...
- Part 3. 기후 빙하기의 끝은 매머드의 끝?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남아 있던 종보다 좀 더 오래 살았지만 결국 멸종했지요.2016년 3월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교 러셀 그라함 교수가 이끄는 공동연구팀은 섬에 갇힌 털매머드들의 멸종 원인이 ‘물’이라는 사실을 밝혀냈어요. 연구팀이 매머드 화석을 채취한 세인트폴 섬은 빙하기가 끝난 이후 바닷물이 들어차면서 ... ...
- Intro. 올겨울, 더 독해지고 빨라졌다! 독감의 습격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지난 12월, 전국의 초등학교는 독감으로 몸살을 앓았어요. 교실에는 빈자리가 하나, 둘 늘어났고 병원은 반대로 독감에 걸린 아이들로 가득 찼죠. 3, 4일씩 앞당겨 방학에 들어간 학교도 있었답니다. 학생뿐만 아니라 일반 성인들도 1월까지 유난히 기승을 부리는 독감에 시달려야 했어요. 올겨울, ... ...
- Part 1. 학교를 강타한 독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독감 유행의 기미가 보이기 시작한 건 작년 11월 말이었어요. 11월 마지막 주에 독감으로 의심되는 환자가 1000명 당 13.3명을 기록하면서 독감 유행 기준(8.9명)을 넘어섰죠. 한 주 뒤인 12월 첫째 주에는 2배로 늘어난 34.8명, 그리고 둘째 주에는 61.8명, 셋째 주에는 86.2명을 기록하며 점차 심각해졌답니 ... ...
- Part 4. 바이러스는 변신의 달인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변화무쌍 돌연변이로 더 강력해진 독감독감은 2400년 전 고대 그리스의 의사인 히포크라테스가 언급했을 정도로 아주 오래된 질병이에요. 하지만 아직도 완벽히 막지 못해요. 왜냐하면 돌연변이가 잘 일어나기 때문이랍니다. 독감 바이러스에 돌연변이가 일어나면 HA와 NA의 모양이 바뀌어요. 돌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스타인버그의 추측수학동아 l2017년 03호
- 20대였던 프랜시스 구드리입니다. 이 문제를 동생인 프레데리크 구드리에게 알려줬고, 대학생이던 동생은 오거스터스 드모르간 교수에게 이 문제에 대해 물었습니다. 드모르간은 문제가 흥미로워 동료 수학자인 윌리엄 해밀턴에게 그 내용을 적어서 편지를 보냅니다.1852년 10월 23일에 쓴 편지가 ... ...
- [DJ CHO의 롤링수톤] 외계인의 친구, 지기 스타더스트수학동아 l2017년 03호
- 찾은 것이니 우리를 공격할 수도 있으니까요!이런 생각에서 2016년 3월 미국 콜롬비아대학교 데이비드 키핑 교수팀은 외계인 침략에 대비해 지구를 숨길 방안을 냈습니다. 행성이 항성 앞을 통과할 때 빛이 어두워지는 현상을 이용해 외계 행성을 찾는 방법을 역이용하는 아이디어였습니다. 행성이 ... ...
이전4084094104114124134144154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