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6,996건 검색되었습니다.
700만년전 인류 조상 얼굴 복원
과학동아
l
200505
포이티에대 마이클 브루네 교수팀은 추가로 발굴한 치아와 턱 화석을 같은 잡지에
발표
했다. 브루네 박사는 “새로 발견된 치아 화석들은 투마이가 어금니와 함께 작은 송곳니를 갖고 있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며 “이것은 투마이 화석이 유인원이 아니라 인류의 조상이라는 증거”라고 설명했다 ... ...
얼음에 수소 저장한다
과학동아
l
200505
10억분의 1m) 크기의 빈 공간에 수소 분자를 가두는데 성공했다고 ‘네이처’ 4월 7일자에
발표
했다.수소는 석유를 대체할 차세대 에너지로 각광받고 있지만 저장하기가 쉽지 않았다. 지금까지는 영하 252℃나 350기압 등 저온·고압으로 압축해 저장하는 방법이 쓰였다.연구팀은 100기압 이하에서 물에 ... ...
보이는 대로 믿지마
과학동아
l
200505
아니라 뇌의 복잡한 분석과정을 통한 고도의 ‘인식작용’인 것이다. 끝으로 1966년에
발표
된 리차드 그레고리 박사의 ‘눈과 뇌’라는 책의 한 구절을 인용한다.“우리는 본다는 사실에 너무 익숙해 시각체계라는 것에 우리가 풀어야 할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는 사실을 쉽게 납득할 수 없다. 그러나 ... ...
식물도 조각퍼즐을 좋아한다
과학동아
l
200504
세포가 조각퍼즐처럼 서로 맞물려 자라는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셀’ 3월 11일자에
발표
했다.세포가 이처럼 배열된 것은 연약한 잎의 강도를 높여주기 위해서다. 수백년 전에 돌을 서로 맞물려 지은 성벽이 여전히 건재하듯이 단순한 6면체 형태의 세포가 모인 것보다 조각퍼즐처럼 요철이 맞물린 ... ...
밥 먹으며 상대 마음 헤아린다
과학동아
l
200504
개발하고 있다고 3월 16일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오레일리 신기술컨퍼런스에서
발표
했다.그가 만든 시제품의 작동원리는 거짓말탐지기와 비슷하다. 즉 포크와 나이프에 전극을 설치한 뒤 전기저항을 측정하는 것. 전류는 포크를 집은 왼손에서 몸을 거쳐 나이프를 잡고 있는 오른쪽으로 흐른다. ... ...
부드러운 남자는 집게손가락이 길다
과학동아
l
200504
검사해 두 조사를 비교한 후 이와 같은 경향을 알아냈다고‘생물심리학’ 3월호에
발표
했다.허드 박사는 “이번 연구는 손가락 길이가 엄마 뱃속에 있을 때 태아가 받은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의 양과 관련된다는 이전 연구결과를 뒷받침한다”고 밝혔다. 태아기에 테스토스테론에 많이 ... ...
황금 주파수를 잡아라
과학동아
l
200504
볼 수 있다. 일본정부가 위성DMB서비스를 실시하면서 2.3GHz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겠다고
발표
해 같은 주파수 대역에서 휴대인터넷서비스를 하려던 정부 정책에 비상이 걸린 것. 이미 2003년 한국과 일본은 디지털TV ‘전파 월경’ 논란을 한차례 겪은 상황이었다.주파수 배정을 둘러싼 반목은 기업 ... ...
세균 사탕발림에 놀아난 면역계
과학동아
l
200504
표면을 코팅함으로써 숙주와 공존하는 전략을 개발했다고 ‘사이언스’ 3월 18일자에
발표
했다.대장에 흔한 세균인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Bacteroides fragilis)는 푸코스라는 당분자를 만들어 세포표면을 코팅한다. 연구자들은 세균의 게놈에서 이 당분자를 만드는 유전자를 제거했다. 그럼에도 ... ...
차세대 정보통신기술 흐름 한자리에
과학동아
l
200504
지난 3월 10일 막을 올린 ‘세빗(CeBIT) 2005’ 취재를 위해 찾은 독일 북부 도시 하노버의 하늘은 수개월간 계속된 우기로 먹구름만이 잔뜩 끼어 있었다. 구(舊)동독과 서독을 ... 보여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해 뇌와 모바일 기기를 결합하는 기술을 향후 1~2년 안에
발표
할 것을 예견했다 ... ...
태양보다 150배 이상 무거운 별은 없어
과학동아
l
200504
도널드 피거 박사팀은 태양 질량의 150배 정도가 정답이라고 ‘네이처’ 3월 10일자에
발표
했다. 지금까지는 별의 최대질량에 대해서는 전혀 알려져 있지 않았다. 연구팀은 허블망원경을 이용해 우리 은하에 속해 있는 아치 성단의 별들의 질량을 관측해왔다. 아치 성단은 밀도가 높고 커서 아주 크고 ... ...
이전
409
410
411
412
413
414
415
416
4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