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2020, 똑똑한 고속도로가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18호
- 지금도 서울에서 대전 갈 때 종종 이 기능을 이용하지요. 맑은 날 고속도로에서 시속 100㎞로 달릴 정도로 성능도 뛰어나요.Q그럼 정말‘무인 운전’이 완성된 거네요? 지도나 내비게이션도 필요 없고 운전사도 없어지겠어요!A아니에요. 일반인이 안심하고 이용하려면 연구가 훨씬 더 진행돼야 해요. ... ...
- 우주의 비밀을 밝히는 거대강입자가속기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18호
- 거대강입자가속기가 가동을 시작했어요. 거대강입자가속기는 지하100m 깊이에 설치된 원형 터널로, 둘레가 27㎞나 될 정도로 거대하답니다. 이 터널에서 두 개의 양성자를 빛에 가까운 속도로 움직이게 한 뒤 정면으로 충돌시키면 빅뱅 직후의 우주와 같은 상태가 된다고 해요. 이 때문에 과학자들은 ... ...
- 으악! 내가 주워온 아이라고?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18호
- 된 거죠! 시스-AB형은 서양에는 거의 없고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주로 발견되는데, 확률은 100만분의 1이 채 안 돼요. 학교에서 하는 간단한 검사로는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당연한 씨나 당돌한 군이 몰랐던 거죠.”닥터고글의 설명을 들은 당돌한 군이 떨리는 목소리로 묻는다.“그럼 제 진짜 부모님이 ... ...
- 스트레스 NO! 즐겁게 등교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17호
- 받는 남 기자와 같은데?우릴 괴롭히는 스트레스의 정체는 뭘까?스트레스, 넌 누구냐?100m 달리기 출발선에 서면 팽팽한 긴장감이 느껴지지? 스트레스의 어원은 팽팽하게 죈다는 뜻에서 생겨났어. 1936년 호르몬에 관한 연구를 하던 캐나다의 셀리에 박사가 외부 자극에 적응하기 위해 신체가 긴장할 때 ... ...
- “공기 방울만 있으면 물 속도 OK!”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17호
- 깜짝 놀랄 만큼 신기하네요. 대체 얼마나 미세한 털이 얼마나 많이 나 있는 거죠?길이가 100㎛이며 폭은 1㎛밖에 안 되는 미세한 털들이 10㎛ 간격으로 빽빽하게 나 있답니다. 물 속에서 저는 천연 방수복을 입고 산소탱크를 짊어진 상태와 같다고 할 수 있어요. 이 공기 방울 속의 압력을 조절해 산소를 ... ...
- 있다? 없다? 별난 신종 생물을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17호
- ! 어린이과학동아 제공 100% 리얼 자연생태 추적기!멸종한 것으로만 알려진 공룡. 하지만 지금 이 순간 어딘가에서 거대한 덩치를 끌고 돌아다니며 심지어는 사람까지도 잡아먹는 거대 도마뱀이 있다? 없다? 두 가지 이상의 동물을 합성한 모습을 하고 있는 전설 속 동물 키메라. 과연 키메라와 같은 ... ...
- 월•E 가 밝히는 지구의 미래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15호
- 감지하고 청소기 흡입구같이 생긴 긴 관으로 쓰레기를 쭉쭉 빨아들인다. 파이로-유원은 100여 명의 사람이 1개월 정도 걸려야 겨우 청소할 수 있는 거대한 수조를 1주일이면 거뜬히 청소할 수 있다. “불가능한 탐사는 내게 맡겨”- 이브를 닮은 로봇기술이 점점 발전하면서 로봇은 인간의 보조 ... ...
- 푸와의 과학올림픽, 금메달은 누구?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15호
- 출발은 안 돼!결승 장면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출발하는 순간이 공정하지 않으면 안 돼. 100분의 1초 차이로도 우승자가 가려지는데 누가 먼저 출발한다면 불공평하잖아? 그래서 육상 출발대에는 부정 출발을 방지하기 위한 센서가 달려 있어. 선수가 발판에서 발을 떼는 순간의 압력 변화를 ... ...
- 100년 전 퉁구스카에선 무슨 일이?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14호
- 있습니다.시간을 거슬러 100년 전으로 취재를 오시다니 대단하시군요. 이 곳이 바로 100년이 지나도록 미스터리로 남아 있는 퉁구스카 대화재 현장이랍니다. 무려 1500㎞ 떨어진 곳에 있던 지질학자들이 지진이 난 걸로 착각했을 정도로 엄청난 폭발이 있었고, 불길이 얼마나 엄청났던지 유럽에서는 ... ...
- 21세기를 위협하는 전염병의 역습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14호
- 퍼지는 전염병인 콜레라, 장티푸스, 세균성이질이 많이 발생한다.우리나라 역시 지난 100년간 평균기온이 1.5℃ 상승하는 등 온난화의 영향을 받고 있다. 그래서인지 최근에는 열대성 전염병인 말라리아, 뎅기열의 발생도 늘어나고 있다. 말라리아는 2004년까지 꾸준히 감소하다가 2005년부터 다시 ... ...
이전4094104114124134144154164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