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위치
소재지
공간
자리
현장
집
d라이브러리
"
곳
"(으)로 총 8,409건 검색되었습니다.
디지털... 노마드... 아이콘 다 빈치
과학동아
l
200609
나온 작품으로 보는 것이 옳다. 하늘을 나는 꿈은 인간이 창조주의 능력에 맞서려는 태
곳
적부터의 도전과제였다.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아테네의 명장 다이달로스가 밀랍으로 붙인 날개를 어깨에 걸고 크레타를 탈출하는 장면은 레오나르도가 도제 생활을 했던 피렌체의 대성당 종탑 부조에도 ... ...
2. 사람의 순간이동 정말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609
나타나는 상황을 떠올린다. 공간을 연속적으로 통과하지 않고, 한
곳
에서 사라지고 다른
곳
에서 나타날 수 있을까. 물체가 A에서 사라지는 ‘동시’에 B에 나타난다고 하면 질량보존의 법칙은 만족하는 것처럼 보인다.특수상대성이론에서 시공간을 감안하면 그렇지 않다. 한 관측자가 ‘동시’라고 ... ...
우주로 날아가는 999 기차역
과학동아
l
200609
3년3개월로 예상됐다. 건설 장소는 원작에서 언급이 없었지만 고층건물이 즐비한
곳
을 지나치는 장면을 고려할 때 도쿄 신주쿠(新宿)지역이 가장 적당해 보였다. 가장 높은 교각까지 무거운 자재를 운반하는 것이 공사에서 어려운 기술로 꼽혔다. 고층 크레인을 써야 한다.도쿄 마에다건설 본사에서 ... ...
정책 불협화음을 조화로운 선율로 만든다
과학동아
l
200609
확보, 정책의 투명성, 민주적 절차, 경제적 보상이었다.결과는 대성공. ‘내가 사는
곳
에는 안 된다’(Nimby)고 밀어내던 방폐장 부지를 4개의 지자체가 서로 유치하려고 경쟁을 벌인 것이다. 이로써 미제로 남을 뻔했던 국책과제가 마무리됐다.사실 이 회장은 산업자원부에서 갈등 조정의 달인으로 ... ...
바다에 이산화탄소 저장하기
과학동아
l
200609
역할을 한다대륙에 쌓인 눈이 오랫동안 다져져 만들어진 얼음층으로 고도가 낮은
곳
으로 흘러내린다대륙을 덮고 있는 거대한 얼음덩어리빙상의 일부가 바다 위로 뻗어 나온 덩어리빙붕이 바다로 떨어져 나와 생긴 얼음덩어리산꼭대기를 덮고 있는 얼음층바닷물이 얼어 만들어지며 아무리 ... ...
머리카락보다 작은 미로를 탐험한다
과학동아
l
200609
m)의 좁은 크기지만 신경세포접착단백질이 잘못되면 A라는 목적지로 가야할 신호가 B라는
곳
에 도착할 수 있다. ‘뉴로리긴’(neuroligin)이라는 신경세포접착단백질이 잘못되면 정신지체나 자폐증이 생긴다.신호를 전달받는 수상돌기에는 가시같은 것(spine)이 붙어있다. 그런데 가시의 모양이 ... ...
동요나라 과학메들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9
네로고양이는 정말 말썽꾸러기다. 집안 가구에 긁힌 자국이 나는 것은 고양이가 이
곳
이 자기 영역이라는 것을 알리려는 본능 때문이다. 소파나 가구 처럼 눈에 띄는 물체는 고양이의 영역표시 대상이다. 차라리 발톱 자국을 낼 수 있는 장난감 기둥을 마련해 주자. 고양이는 너무 오래 쓰다듬는 것도 ... ...
미래의 자동차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8
미래에는 자동차가 인공지능을 갖고 있어요. 목적지만 불러 주면 알아서 척척 원하는
곳
까지 갈 거예요. 그럼 사람을 무얼 할까요? 편안하게 바깥을 바라봐도 되고 책을 읽거나 게임을 즐길 수도 있지요.자동차 안은 사람의 몸에 맞춰 더욱 편안한 공간이 될 거예요. 운전자의 기분에 맞춰 자동차가 ... ...
궁궐의 모든 것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8
붙였습니다.‘성균관’, ‘홍문관’, ‘예문관’ 등이 대표적이었지요. 음식을 만드는
곳
인 ‘수라간’ 처럼 궁궐의 살림을 담당하는 건물은 ‘간’, 과학이나 학문을 연구하는 건물은 ‘각’ 을 붙이는 등 모든 건물에는 그 역할에 맞는 이름이 있었답니다. 장영실이 발명한 물시계인 ... ...
'윙' 날개소리는 모기의 구애법
과학동아
l
200608
세네라데다. 영국 그리니치대의 곤충행동학자인 가브리엘라 깁슨 박사는 모기는 어두운
곳
에서 소리를 이용해 짝짓기 한다는 연구논문을 ‘커런트 바이올로지’ 7월 11일자에 발표했다.깁슨 박사는 수컷과 암컷 모기 한 마리씩을 가는 철사로 각각 묶어 이들이 날개를 움직여 내는 소리가 짝짓기와 ... ...
이전
410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