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3. 토네이도 추적하는 기상 레이더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가뭄은 더욱 심각한 문제가 될지도 모른다. 기상을 이용한 수자원 관리 기술이 더욱
빛
을 발하는 이유다.이런 인식을 바탕으로 최근 우리나라도 기상을 이용한 수자원 관리 기술 개발에 뛰어들었다. 우리나라의 기상청에는 초당 1천2백80억번의 단위연산을 할 수 있는 슈퍼컴퓨터가 설치돼 있다. ... ...
빅뱅 신화에 도전하는 최신우주론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거리의 모습은 우주배경복사다. 물질과
빛
이 뒤엉킨 시기 이후 물질로부터 처음 분리된
빛
이 바로 우주배경복사다. 당시 3천K이던 우주배경복사는 현재 2.73K로 관측된다.4. 숨은 우주와 충돌로 탄생했을까물 위에 떠있는 이파리 같은 우리우주끈이론이 10차원(공간 9차원+시간 1차원)에서 기술된다면, ... ...
반물질을 로켓 연료로 사용하면?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문제는 아무도 반물질이 어디 있는지 모르기 때문에 입자가속기에서 양성자를 거의
빛
의 속도로 니켈로 만든 표적에 충돌시켜 만들어야만 한다는 점이다. 또 반물질을 만드는 과정이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든다는 점도 문제다. 현재 기술로는 8천만달러를 들여 1년에 1억분의 1g 정도만 만들 수 있다. ... ...
초미세 기계가 일으키는 초대형혁명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화학적으로 바뀐다. 그런 후 사진에서 현상을 할 때처럼, 반도체 기판을 현상액에 넣으면
빛
이 쪼인 부분의 감광재료가 녹는다. 따라서 그 아래에 있던 금속 부분이 바깥으로 노출된다. 이때 드러난 금속부분을 녹이고 다시 남아있는 감광층을 없애면, 실리콘 기판 위에 금속 패턴이 형성된다. 바로 ... ...
2. 가상과 실제 구분 안되는 디지털 여행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동이 튼 후 처음
빛
이 비추는 곳이 본존불상이라는 특성을 고려해 카메라의 앵글이 햇
빛
처럼 산등성을 타고 석굴암 내부에 들어가 본존불을 비추는 등 사실적 묘사와 함께 문화재를 자세하고도 생생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스토리보드를 제작해야 한다. 질감 표현은 콘크리트에 벽지 바르기문헌 ... ...
2 칩 속으로 들어간 생물학 실험실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제작한다. 그리고 반도체 표면을 감광재료로 덮은 후 마스크를 통해 특정 부분에만
빛
을 쏘인 후 현상용액으로 녹여 반도체 표면에 회로를 만든다.이 반도체 표면은 일종의 원판 역할을 담당한다. 실제로 LOC는 유리, 플라스틱과 같은 물질로 돼 있는데, 실험과정의 디자인이 새겨진 반도체 표면 위에 ... ...
달까지 거리 재는 21세기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레이저의
빛
‘총탄’을 망원경으로 달 표면에 설치된 반사경을 향해 조준한다. 이때
빛
이 달까지 갔다가 돌아오는 시간을 재서 지구에서 달까지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원리는 간단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쉽지 않은 작업이다. 달 표면에 있는 반사경은 여행가방 정도 크기라 ‘사격 솜씨’가 ... ...
크기 1.6광년 슈퍼개미의 비밀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보였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행성상 성운에서는 고리 가운데에 밝은 백색왜성이
빛
난다. 개미성운에는 백색왜성이 어디에 있을지 한번 찾아보자. 개미의 머리와 몸통이 연결되는 지점을 보면 밝은 별이 하나 눈에 띈다. 바로 이 별이 백색왜성이다. 개미성운으로 변신하기 전에 이 별이 태양과 ... ...
왜 극저온 상태를 얻으려 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이 정도의 온도에서 원자는 1초에 2cm 움직인다. 상온에서 기체는
빛
속도의 1천분의 1 정도로 아주 빠른 속도인 것과 대조된다.1997년 레이저 냉각법을 개발한 공로로 벨연구소의 스티븐 추, 미국 표준연구소의 윌리엄 필립스, 그리고 프랑스 파리대학의 클로드 코엔-타누지는 ... ...
3 광속으로 통신하는 손목형 단말기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4가닥 두께인 약 4백μm인 미세 거울로 구성돼 있다. 하나의 광섬유로부터 오는 광신호(
빛
)가 이 작은 거울에서의 반사를 통해 다른 광섬유로 이동하는 것이다.이같은 미세거울이 MEMS 기술로 제작되고 있다. 현재 MEMS 기술을 사용한 광스위치의 제작상 중요하게 다뤄지는 문제로 미세 거울의 구조와 ... ...
이전
410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