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체
그룹
team
소집단
선수
티임
편
뉴스
"
팀
"(으)로 총 4,913건 검색되었습니다.
부작용 없는 당뇨병 치료물질 찾았다
2015.08.16
차세대 당뇨치료제로 쓰일 것으로 기대된다. 류성호 포스텍 생명과학과 교수(사진)
팀
은 스웨덴 카롤린스카의대 연구진과 공동으로 혈당은 낮추면서 인슐린과 같은 부작용은 일으키지 않는 새로운 핵산물질 ‘IR-A48’을 새롭게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인슐린은 췌장에서 나오는 호르몬으로 ... ...
‘IT창의과학탐험대’, IT 연구의 최전선을 취재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5.08.12
반사경과 망원경을 둘러봤다. 이후 KAIST로 자리를 옮겨 항공우주공학과 심현철 교수
팀
의 드론 시연을 체험하고 우리나라 최초의 기상위성 천리안의 모형이 있는 국가기상위성센터를 다녀왔다. 이번 견학은 지난달 4회에 걸쳐 진행된 IT 관련 수업 내용을 현장에서 직접 체험한다는 취지에서 ... ...
충전속도 100배 빠른 이차전지 나온다
2015.08.12
배터리의 전기전도도를 1만배 이상 높이는 데 성공했다. - 포항가속기연구소 제공 연구
팀
은 리튬망간인산에 전체질량의 1%에 해당하는 미량의 은 나노입자를 첨가한 형태의 소자를 개발했다. 전기전도도가 매우 낮은 리튬망간인산 결정들 사이에 전기전도도가 가장 높은 금속 중에 하나인 은 ... ...
니코틴 중독 만드는 건 ‘마이크로RNA’
2015.08.12
연구는 많이 수행돼 왔지만 연구
팀
은 시각을 바꿔 마이크로RNA에 주목했다. 그 결과 연구
팀
은 이 부위에서 유전자 발현 정도를 바꾸는 여러 마이크로RNA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하베뉼라에 있는 여러 마이크로RNA가 니코틴 중독을 일으키도록 니코틴 중독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한다는 ... ...
이별 후 상처, 여성이 더 크지만 회복도 빨라
2015.08.12
지나 새로운 경쟁에 참여하려하면 옛 연애의 상실감을 느끼는 경향이 있다고 연구
팀
은 설명했다. 모리스 연구원은 “무기력증부터 심하면 자기 파괴적 행동까지 보이게 하는 이별후유증은 사람에 따라 짧게는 수주, 길게는 수개월까지 지속된다”며 “후유증의 양상을 추가로 연구한다면 심한 ... ...
난치성 신경질환치료 청신호… 뇌 세포 신경전달 과정 알아냈다
2015.08.11
이 연구결과는 화학분야 권위지인 ‘미국화학회지’ 7월 10일자에 게재됐다. 연구
팀
은 시냅스 소낭과 신경세포 막이 비눗방울 두개가 합쳐지듯 융합해 '막융합'을 형성하고, 이때 막융합이 빠르게 열리고 닫히며 신경전달물질의 분비를 조절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 IBS 제공 ... ...
구글·페이스북이 탐낸 비행기, 국내 연구진이 개발
2015.08.11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김승호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 고정익기연구단장
팀
은 자체 개발한 ‘고고도무인기(高高度無人耭)’인 ‘EAV-3’이 전남 고흥 항공센터에서 이륙해 고도 14.12㎞에서 비행하는 데 성공했다고 11일 밝혔다. 국내에서 개발된 무인비행기가 성층권에 도달한 것은 이번이 ... ...
휘는 태양전지 값싸고 친환경적으로 제조하는 방법 찾았다
2015.08.11
써 왔는데 이번 기술에는 이를 쓰지 않고 보다 친환경적인 방법을 택한 것이다. 연구
팀
은 독성 유기물 분산제 대신 용기를 회전시켜 얻은 기계적 에너지만으로 나노입자를 균일하게 분산시켜 박막형태로 만들어냈다. 이 방법으로 프린팅한 나노잉크는 대기 중에서 한 달 이상 안정한 상태를 ... ...
24시간 전기 만드는 ‘염분차 발전’ 기술 확보했다
2015.08.11
발전 핵심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정남조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팀
은 킬로와트(kW)급 염분차발전 설비를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친환경 대체에너지로 부상하고 있는 태양광과 풍력발전은 햇빛이나 바람의 변화에 따라 발전 효율이 달라지고 하루 종일 ... ...
신경질환 극복 청신호… 피부세포→신경세포 바꿨다
2015.08.09
화학물질만을 이용해 신경세포를 만든 것은 바로 이 논란을 피하기 위해서다. 두 연구
팀
은 암유발 유전자를 비롯해 다른 외부 유전자를 사용하는 대신 여러 화학물질을 섞어 적절한 시기에 세포에 처리해주는 방법으로 피부세포를 신경세포로 만드는 데 성공했다. 지안 교수는 “화학물질을 ... ...
이전
410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