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모
생김새
모양
외모
형상
외관
양상
d라이브러리
"
모습
"(으)로 총 6,40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논술로 미래 내다보는 안목 형성
과학동아
l
200202
하는 것도 자연스런 동작을 위해 잊지 말고 고려해야 할 점이다.공룡끼리 싸우는
모습
을 촬영하기 위해서 코모도나 도마뱀과 같은 현존 파충류를 분장시켜 싸우게 하는 경우에는 어떻게 할까. 역시 그대로 촬영해 재생한다면 어쩐지 어색하게 보일 것이다. 공룡이라면 몸무게가 상당해서 움직임이 ... ...
박치기 명수 거북선의 비밀
과학동아
l
200202
임진왜란의 역사를 읽다보면 제대로 저항 한번 못하고 처참하게 무너지는 육군의 무기력함에 심한 분노와 좌절감을 느낀다. 그래도 우리의 자존 ... 이순신 장군의 영광을 고스란히 물려받은 자랑스런 해군과 함께, 거북선과 판옥선이 우리 앞에
모습
을 나타내주기를 끈기 있게 기다려보자 ... ...
배달된 돌덩어리는 방사성물질?
과학동아
l
200202
보이지 않는 방사선을 직접 볼 수 있는 장치를 만들면 돼.슬기가 말하는 장치는 어떤
모습
일까. 그리고 돌덩어리는 과연 방사성물질일까.■ 왜 그럴까?!■■■ 안개상자에서 방사선 궤적이 보이는 까닭안개상자에서 방사선 궤적을 볼 수 있는 이유는 간단한 활동으로 확인할 수 있다. 먼저 5백mL용 ... ...
패러데이의 양초의 화학사
과학동아
l
200202
시대는 과학사에 있어서 독특한 시기였다. 18세기 후반의 산업혁명을 통해 사회 전분야의
모습
은 완전히 바뀌었으며, 수많은 새로운 직업이 창출됐고 또 그 직업의 대부분은 과학적 원리의 적용을 필수적으로 요구하고 있었다. 자연히 사회 전분야에 걸쳐 과학기술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대됐고, ... ...
크기 1.6광년 슈퍼개미의 비밀
과학동아
l
200202
전에 이 별이 태양과 같은 별이었던 것이다.그런데 허블우주망원경이 보여준 개미성운의
모습
은 이전에 예측했던 태양 최후의 시나리오에 도전장을 내민다. 개미성운이 보통 행성상 성운처럼 고리 모양이 아니기 때문이다. 왜 그럴까. 공처럼 생긴 별을 부풀린다 해도 공 모양이 돼야 하는데(물론 ... ...
1. 사이버 공간에서 탄생한 무령왕릉
과학동아
l
200202
무령왕릉 내부
모습
을 볼 수 있을 뿐 아니라 6세기 당시 막 무령왕릉 입구를 막은 직후의
모습
까지 그대로 복원한 것이다.벌써 30년이 지났건만 백제 역사 연구의 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중요성 때문에 단순한 무령왕릉 연구가 아닌 ‘무령왕릉학’이라고 불러도 좋을 만큼 연구 범위가 ... ...
항공우주재료공학
과학동아
l
200202
저녁을 먹으며 K군은 TV로 뉴스를 시청했다. 뉴스 중간에 미국의 우주왕복선이 발사되는
모습
이 눈에 띄었다. 발사광경이 인상적이라고 느끼며 또 한가지 궁금증이 들었다. 우주왕복선이 빠른 속도로 대기권을 통과할 때 발생하는 고열은 어떻게 견딜까. 우주 왕복선은 어떤 재료로 이뤄질까.이렇게 ... ...
추사 김정희가 세한도에 그린 가옥의 정체
과학동아
l
200202
따라서 전체적인 외관이 세한도의 집처럼 벽돌담에 박공지붕을 단촐하게 올린 단정한
모습
이다. 측면벽의 원형 창호 역시 벽돌담에 어울리는 요소다.벽돌과 나무의 절충식 구조벽돌이나 돌을 쌓아서 만든 구조를 조적조라 하고, 나무를 가로세로로 엮어서 만든 구조를 가구조라고 한다. 이 외에 ... ...
바람과의 맨몸 승부 - 첨단사이클의 질주
과학동아
l
200202
산물이다.바퀴는 기원전 수천년 전부터 인류역사와 함께 해왔지만, 지금의 자전거
모습
을 보인 때는 1870년에 이르러서다. 첫 모양새는 사람의 키만큼이나 큰 앞바퀴와 상대적으로 아주 작은 뒷바퀴를 가진 하이휠러(high-wheeler)라는 흑백사진 속의 자전거다.왜 하필 하이휠러는 그런 모양새였을까? ... ...
지옥에서 발견한 오렌지색 하늘 - 금성
과학동아
l
200202
금성을 방문하도록 해 체면을 살리고자 했다. 마리너 10호는 처음으로 광학적인 금성의
모습
을 4천여장 찍어 기상변화를 연구하는 자료를 제공했다. 반면 옛소련은 더욱 야심찬 계획을 수립했다. 온도계만 가져갈 것이 아니라 카메라를 사용해 한번도 보지 못했던 금성 표면을 찍어보자는 것. ... ...
이전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