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6,064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리와 사랑에 빠진 탄소나노튜브의 대부 임지순
과학동아
l
200210
캘리포니아 버클리대 물리학
박사
1980년-1982년 MIT
박사
후 연구원1982년-1984년 AT&T 벨연구소
박사
후 연구원1984년-1986년 벨커뮤니케이션 연구소 연구원1986년-현재 서울대 물리학부 교수1991년 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최우수논문상 수상1995년 제5회 한국과학상 ... ...
기후 변화 기록한 화가
과학동아
l
200210
책임자인 프랭크 올드필드
박사
는 “비록 일부 지역에 한정된 것이기는 하지만 카무포
박사
의 연구결과는 매우 신뢰할만한 것”으로 평가했습니다.최근 화가들이 카메라와 같은 도구를 이용했다는 사실이 화제가 된 적이 또한번 있었습니다. 영국 화가 데이비드 호크니는 지난해 19세기 고전주의 ... ...
뇌세포 하나도 수를 셀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210
오직 하나의 신경세포만 필요하다는 것이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의 얼 밀러
박사
팀은 이같은 내용을 원숭이의 뇌세포 연구를 통해 밝혀 ‘사이언스’ 9월 6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신경세포가 개별적으로 어떤 개념을 다룰 수 있는지 알아내기 위해 원숭이에게 다양한 형태와 모양, 그리고 ... ...
사정 현상 조절하는 신경세포 분리
과학동아
l
200210
사정을 조절하는 신경세포를 발견해 ‘사이언스’ 8월 30일자에 발표했다.트루이트
박사
팀은 쥐의 척수 하단부에 자리잡고 있는 특정 신경세포를 주목했다. 실험결과 이 신경세포의 활성을 제거하면 성행위를 하는데는 아무런 문제가 없지만 결코 정자를 내보내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팀은 ... ...
다이아몬드 반도체 개발
과학동아
l
200210
탄소 결정 구조가 완벽하기 때문에 전자나 정공이 지나다닐 틈이 없다. 이스버그
박사
팀은 불순물인 보론을 첨가해 정공이 지나갈 수 있는 틈을 만들어줬다. 그 결과 만들어진 다이아몬드 필름은 기존의 실리콘이나 갈륨 반도체에 비해 속도가 두배나 빨랐다.물론 이번의 다이아몬드 반도체가 ... ...
1. 자연이 온실가스 증가 막을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210
이산화탄소의 10%밖에 흡수하지 못할 것이라고 밝혔다.미국 워싱턴대의 제프리 리키
박사
팀은 4월 ‘네이처’에 아마존 열대우림의 강물과 습지에서 낙엽 등이 썩는 과정에서 숲이 흡수하는 만큼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즉 열대우림의 이산화탄소 흡수와 배출량은 균형을 ... ...
자가조립하는 나노 네트워크
과학동아
l
200210
도선으로 이상적이라고 생각돼 왔다.일본의 최대 통신회사 NTT의 요시카주 호마
박사
팀은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해서 자가조립이 가능한 나노 연결망을 만들려고 했다. 연구팀은 먼저 반도체 식각 기술로 너비 1백nm, 높이 3백nm 크기의 실리콘 기둥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된 나노 구조물을 제작했다. ... ...
고소득 국가 소비량 적정 수준보다 높아
과학동아
l
200210
화학자 · 유전학자 1963년 쿄토(京都) 대학 화학과를 졸업, 67년 캘리포니아 대학원 화학
박사
과정을 수료하고 스위스의 바젤 면역학 연구소 주임연구원, 81년 미국 매사추세츠 공과대학 교수가 되었다86년에 전미국 과학아카데미 외국인 회원이 되었으며 면역의 다양성에 관한 연구로 87년 노벨 생리 ... ...
레이저로 고통 없이 치아 치료
과학동아
l
200209
충치 부위를 제거하는데, 이로 인해 치아가 고르지 못하고 심지어 균열이 일어났다.로드
박사
연구팀은 펨토초(${10}^{-15}$초) 레이저를 이용했다. 그 결과, 치아의 건강한 조직을 손상하지 않으면서 치석이나 충치 부위를 제거하는데 성공했다.펨토초 레이저는 정전기로 치석 등을 제거한다. 펨토초 ... ...
파도소리 비밀 밝히는 기포 물리학
과학동아
l
200209
미 샌디에고 소재 캘리포니아대 스크립스 해양학 연구소의 그랜트 딘과 데일 스토크스
박사
는 실험실과 실제 바다에서 파도가 부서지면서 생기는 기포의 크기 분포를 처음으로 면밀히 분석했다. 그들은 파도가 부서질 때의 장면 수천장을 찍어 기포의 수를 크기에 따라 조사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 ...
이전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