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4,292건 검색되었습니다.
수면이론의 코페르니쿠스적 전환 수면은 세균의 세포벽에 있는 물질(SPU)때문
과학동아
l
198701
따라 면역력도 떨어져 병에대한 저항력도 약해지는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이런 발상이
최초
로 공개된 것은 지난 84년 여름이었는데 모두가 '수면이론의 코페르니쿠스적전환'이라며놀랬다고 전해진다.그리고 85년 여름 미국 시애틀에서 열린 수면연구학회에서는 항암작용을 하는 인터페론이나 ... ...
PART2 로보토피아의 실현 새로운 산업사회와 메카트로닉스
과학동아
l
198701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우주 개척의 첨병, 메카트로닉스1981년 4월 12일 여명, 사상
최초
의 우주 왕복선 콜롬비아호는 지구이륙 후 6초만에 시속 3만2천킬로미터의 무서운 속도로 우주궤도를 향하여 질주하고 있다. 왼쪽 조종석에서 까마득히 멀어져가는 지구촌을 내려다(혹은, 치켜다?)보고 있는 ... ...
화산 분출물이 계속쌓여 만들어진 한라산
과학동아
l
198701
수 있다.그리고 75만년의 연령을 보이는 산방산용암이 해수면 바로 위에 있는 것이므로
최초
의 화산활동은 75만년 전보다 훨씬 전일 것은 확실하다. 제주도의 최고봉인 백록담용암의 연령이 약 2만5천년을 보이므로, 제주도의 현재와 같은 전체 모습은 약 75만년 ~ 2만5천년 사이에 만들어진 것임을 알 ... ...
원시지구의 마그마는 바위도 녹이는 초고압 초고온이었다
과학동아
l
198701
태고의 지구내부는 오늘날보타 훨씬 뜨거웠다고 생각된다. 더 연구를 진전시키면 맨틀이
최초
에는 액체였는지 고체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가능성도 있다.미국 컬럼비아 대학 '라몬트 도허티'지질관측소의 데이빗 워커박사는 "맨틀의 진화는 어려운 수수께끼다. 그러나 이런 실험으로 지하에서 ... ...
한반도 남부에서는 처음
과학동아
l
198701
한반도의 전라·경상지역에서 지표채집의 극소수예가 있었을 뿐 구석기문화층이 발견된
최초
의 경우이므로 앞으로의 전면발굴을 통해 한반도남부의 후기구석기시대 문화양식 및 일본과의 연계성을 밝히는데 하나의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한편 구석기유적이 발견된 지하퇴적층 상부에서는 ... ...
PART1 하이테크에서의 일본의 기술력 세계제일은 시간문제인가
과학동아
l
198701
역할을 했지만 일본은 기술격차를 줄이는데 주력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현재 '세계
최초
' 라든가 '세계 최고수준'의 제품이 나오는 것을 보면 그 기술격차는 상당히 줄어든 것만은 분명하다. 부품에는 강하고 시스템에는 약해미국과 일본의 기술수준을 비교한 재미있는 예를 하나 들어보자. (그림 ... ...
디지탈 신호란 어떤 것인가
과학동아
l
198612
할 수 있다. 기계식 혹은 진공관식 계산기의 비합리성은 1950년 '노이만'에 의해
최초
로 개발된 디지탈컴퓨터 EDVAC의 출현과 더불어 말끔히 해소되었다. 이 시기를 전후하여 비로소 컴퓨터란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며 이후30년이라는 짧은 세월동안 노이만의 아이디어를 기초로 급격한 ... ...
베르너 폰 브라운
과학동아
l
198612
로케트를 완성했다. 길이 1.4m, 직경30㎝정동의 소형이었지만 이것이야말로 그 연구소에세
최초
로 만들어진 역사적인 로케트였던 것이다.A는 Aggregat, 즉 조립(組立)의 머리문자를 딴 것이다. 페네문데에 5천명의 과학자 모여1936년8월에 발트 해(海)에 떠있는 '우세돔'섬(島) 북동쪽에 자리잡은 ... ...
오존층 파괴 계속 경고
과학동아
l
198612
학회에서 오존층 감소로 영향을 받는 생물에 대해 검토했다. 그 결과 오존층이 감소될 때
최초
로 직접 피해를 보는 제1후보는 플랑크톤이라고 발표하였다.그들은 종전에 탄광에서 개스폭발을 미리 알아내는 한가지 방법으로 카나리아를 사용한것과 비겨 플랑크톤이 오존층파괴의 지표생물이라고 ... ...
세계
최초
로 전자현미경 칼라화상 개발
과학동아
l
198612
쿄또대학의학부의'오가와 카즈오'교수팀은 전자현미경의 화상을 칼라로 보는데 세계
최초
로 성공했다.연구팀은 텔레비젼에서 이용되고 있는 형광물질을 칠한 유리에 전자선을 쏘아 화상을 만드는 기술에 착안했다. 그것은 전자현미경의 시료에 전자가 닿으면 시료에서 약한 빛이 나오는 ... ...
이전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