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현
가망
d라이브러리
"
가능
"(으)로 총 13,08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 '달 토끼' 사는 외계 위성 존재할까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있다. 다만 행성이 지구의 약 2.5배로 다소 크기 때문에 암석 이 아니라 기체로 돼 있을
가능
성이 높다. 하지만 만일 케플러-22b가 위성을 가지고 있다면? 골디락스 영역에 존재하는 암석 위성이라는 최적의 조건이 완성된다. 외 계 행성보다 먼저, 외계 위성에서 생명을 찾게 될 날이 올까. 쌍둥이 ... ...
바다로 간 제돌이 “잘 살고 있어요.”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춘삼이(암컷), 삼팔이(암컷)는 2011년 쯤에 성 성숙 표지인 배의 반점을 확인했다.짝짓기가
가능
하다는 뜻이다. 이들이 속한 무리에서도 건강한 새끼가 태어날지 주목된다.한편 삼팔이는 서귀포시 성산항 가두리에서 야생 적응 훈련을 받던 2013년 6월 22일, 홀로 그물을 빠져나갔다. 위치추적장치나 ... ...
‘중력파’ 검출 바이셉2 연구, 사실은 잡음?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신뢰도가 크게 흔들릴 것”이라며 “연구팀이 찾아낸 중력파의 흔적이 진짜 흔적이 아닐
가능
성이 커지는 것”이라 설명했다.6일 발표된 플랑크우주망원경의 관측 데이터에서 빠진 영역은 이르면 올해 10월 완성된다. 연구의 최종 성공 여부는 그 때 확실해질 것이다 ... ...
배터리가 필요 없는 무선 심장박동기 등장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많이 연구되고 있다. 이들은 인체에는 무해하지만 아주 짧은 거리 안에서만 충전이
가능
하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방송이나 전자렌지에서 쓰는 장거리 전자기파는 인체에 피해를 입혔다.연구팀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 전화기의 원리를 이용했다. 종이컵 두 개에 실을 연결해 말을 하면 파동이 ... ...
도심형 무인기 드론이 뜬다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4월 11일 오후 대전 KAIST 본관 앞 잔디밭. 옹기종기 모여 앉아 있는 학생 중 한 명이 ‘과일을 먹고 싶다’고 말하자 다른 친구가 바로 스마트폰을 켜고 주문을 한다. 잠시 ... KAIST 교수는 “지금의 기술 발전 속도를 본다면 길어도 10여 년 이내에 현실에 등장할
가능
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 ...
백년 묵은 시계를 꺼내다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복원은 간단치 않은 작업이었다. 정 대표는 먼저 먼지를 털어낸 다음 원상태로 복구가
가능
하도록 시계를 여러 각도에서 촬영하고, 모든 부속품의 크기를 측정했다. 그리고는 시계에서 진자와 숫자판, 크고 작은 톱니바퀴와 축들을 하나씩 떼어 수리 장소로 옮겼다. 시계탑 꼭대기에서 10여 m 늘어져 ... ...
인텔 ISEF2014 한국대표 동행기 “도전정신은 우리가 세계 최고”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갔다. 이 양은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해 플라스틱 생산이
가능
하다는 걸 직접 보여준 것이 심사위원으로부터 좋은 반응을 끌어냈다”고 설명했다. 이 양은 “이번에 수상한 덕분에 특별상을 준 세계경제포럼에 직접 초대받은 것이 무엇보다 기쁘다”고 말했다 ... ...
아르키메데스의 기구한 운명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회전과 대칭이동을 시켰을 때 같아지는 것들을 제외하면 총 536가지의 다른 배열이
가능
하다는 것을 밝혀냈다. 배열의 개수인 536으로부터 5월 36일을 연상한 수학자들은 36일이 5월 31일 이후 다섯 번째 날이므로 6월 5일을 아르키메데스의 날이라고 부르자는 제안을 내기도 했다. [이탈리아의 줄리오 ... ...
공부의 적❷ 스마트폰 공부를 잘하려면 스마트폰을 버려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어린이는 한달 중 보름 동안 뇌가 정지한 것과 같다"고 말했어.초등학생 때를 무한한
가능
성을 만들어 가는 시기라고 하지? 그건 뇌가 어릴 때 다양한 신경세포 회로를 만들면서 무럭무럭 발달하기 때문이야. 뇌의 신경세포 회로가 촘촘하게 엮이며 자신의 능력과 잠재력을 키워가는 거지. 뇌의 ... ...
Part 2 수학으로 세운 승부 전략!
수학동아
l
2014년 06호
누가 뭐래도 H조의 최강팀이다. 많은 축구전문가들이 벨기에와의 경기에서 승리할
가능
성은 희박하다고 보고 있지만, 경기 결과는 경기가 끝나지 않고서는 알 수 없는 법! 한·일 월드컵에서 우리나라는 강팀 이탈리아와의 경기에서 2:1로 이긴 기록이 있다. 예상을 깨는 반전이 스포츠의 재미이듯, ... ...
이전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