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DGIST] 더 빨리, 더 정확히, 더 많이 만능 AI 프로세서 개발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노이즈를 제거하는 등의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범용 프로세서 만들고파”2016년 궁 교수는 고대역폭 메모리(HBM·High Bandwidth Memory) 설계로 주목을 받았다. 2차원 평면에 메모리 셀이 깔린 일반적인 메모리와 달리 3차원 공간에 메모리를 쌓은 HBM은 적층 구조로 데이터를 많이 저장할 수 있다. ... ...
- 2020년 국회의원 선거 결과 만 18세에 달렸다?!수학동아 l2020년 04호
- 선거에 별로 관심이 없다고? 이런~! 한 표 한 표가 얼마나 중요한지 모르는구나? 2020년부터 만 18세도 투표할 수 있어. 정확히 말하면 생일이 선거일인 4월 15일이거나 이전인 만 18세지. 그래서 일부 고3 학생도 투표할 수 있어. 약 53만 2000명이나 된다고 하니 상당히 많지? 여기에 이번에 투표권을 ... ...
- [별 헤는 수학] 중력의 비밀을 밝히는 시민 천문학자, 그래비티 스파이수학동아 l2020년 04호
- 과정을 동영상처럼 볼 수 있게 했습니다.그래비티 스파이 프로젝트가 시작한 2016년부터 현재까지 1만 6000명 이상의 시민천문학자가 참여해 195만 7000개 이상의 신호에 대한 분류가 이뤄졌습니다. 최근에는 이탈리아에 설치된 중력파 관측 장치인 ‘버고’에서 발생하는 데이터까지 추가돼 시민 ... ...
- [지구사랑탐사대] 어과동 키즈, 지사탐 어벤저스 되다! 스파이더맨 이형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집중 분석해 김 교수님과 논문을 썼어요. 신종 운길깡충거미와 예봉게거미도 2017, 2018년에 연달아 발견해 논문을 냈어요. 미기록종으로는 시화외줄솔개거미, 왕어리두줄깡충거미를 발견했지요. Q 웬만한 거미는 다 만나 봤겠어요. 아직도 보고 싶은 거미가 있나요? 우리나라에는 약 900종의 거미가 ... ...
- [화장실의 변신 ④] 화장실이 돈이 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하하! 드디어 쾌변 성! 공! 오잉? 그런데 이건 뭐지. 똥을 싸니까, 물건을 살 수 있는 화폐를 주는 곳이 있네. 똥이 돈이 된다고? 배설물로 물건 ... 하고 톱밥으로 덮어 놓지요. 양동이가 차면 퇴비장에 뿌려 놓고 미생물이 분해할 때까지 1~2년 동안 묵혀둬요. 그럼 퇴비로 재탄생한답니다 ... ...
- [가상인터뷰]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이번에도 박쥐 탓?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바이러스를 지니고 살아. 그래도 괜찮은 이유는 우리의 특별한 면역 체계 덕분이지. 2016년 호주 연방과학산업연구기구 미첼 베이커 연구원팀은 박쥐가 염증 반응 물질인 ‘인터페론’을 항상 갖고 있다고 밝혔어. 인터페론은 보통 다른 동물들의 몸속에서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의 침입자를 ... ...
- 호주 산불로 파괴된 숲, 돌아올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이렇게 큰 산불이 일어난 주된 원인이 기후변화에 있다는 사실을 주목해야 해요. 2019년의 호주는 가장 뜨겁고 건조한 해를 보냈어요. 이는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인도양 다이폴이 유난히 심했던 탓이죠. Q 이번 산불은 호주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호주의 숲은 산불에 잘 적응되어 있어요. ... ...
-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이상한 분야의 1등이죠?) 키 3.96m에 폭이 5m가 넘는 정말 거대한 로봇이죠. 제작 기간만 10년이 걸렸다고 해요. 별로 쓸모는 없어 보이지만, 멋있으면 장땡이죠 ... ...
- [이달의 과학사] 조슬린 벨 버넬, 펄서를 발견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967년 11월 28일, 영국 케임브리지의 무라드 전파천문대에서 관측 중이던 대학원생 조슬린 벨 버넬은 여우자리 방향에서 특이한 전파 신호를 발견했어요. 전파 신호가 약 1.34초마다 맥박치듯 오고 있었죠. 혹시 외계인의 신호일까 생각한 그는 지도교수인 앤터니 휴이시와 함께 이 신호에 ‘작은 초록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화장실, 망원경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먼 곳에 있는 물체가 가깝게 보인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지요. 이 원리를 적용해 1608년, 기다란 원통에 두 개의 렌즈를 겹쳐서 만든 최초의 망원경을 개발했답니다. ... ...
이전4124134144154164174184194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