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도"(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전투면역 세포 백혈구의 재발견, 뉴트로필 리턴즈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공대에 전기, 화학, 기계가 있다면 면역세포에는 B 세포, T 세포가 있다는 말이 있을 정도입니다. 손 대표 후천성 면역은 선천성 면역과 다르게 딱 한 놈만 잡습니다. 정상세포를 공격할 위협이 무척 낮지요. 게다가 한번 침입했던 침입자의 약점을 기억해 다음에는 더 빨리 침입자를 처리할 수도 ... ...
- Part 4. 그들은 더 완벽한 우주이론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있는 한국 연구팀 대표인 최수용 고려대 물리학과 교수는 “암흑물질의 질량이 수 TeV 정도라면 발견할 수도 있을 것”이라며 “지난해 6월부터 10월 말까지 실험한 데이터에서 현재 그 흔적을 찾는 중”이라고 말했다. LHC 실험은 2037년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새로운 가속기와 새로운 물리학유럽에 ... ...
- [Tech & Fun]소녀탐정 ㅊ씨의 S(cience)-File ➊명탐정 코난의 제트 코스터 살인사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따르면 2013년 우리나라 여성의 평균 키는 156.9cm입니다. 157cm로 계산해도 여유 길이가 17cm 정도입니다. 더군다나 이건 직선 거리를 따졌을 때니까 정말 17cm가 남으려면 범인이 완전히 안전 장치에서 벗어나 일자로, 즉 뒤에 앉은 신이치의 머리 따위는 신경 쓰지 않고 몸을 뻗어야 정확하게 피해자의 ... ...
- [Tech & Fun]‘착한 패딩’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인체에 영향이 없도록 금속을 아주 미세하게 만들어 섬유에 처리한다”고 말했다. 이 정도면 불쌍한 거위와 오리를 그만 괴롭혀도 되지 않을까. 천연 다운과 비교해 얼마나 따뜻한지 알아보기 위해 떨리는 마음으로 11월 30일, 서울 용두동에 위치한 한국의류시험연구원을 찾았다.“현재 기술로는 ... ...
- [Tech & Fun]시작은 절대 반이 아니야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위해 계획을 세워보라고 하면, 실제계획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시간과 노력보다 절반 정도로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전문가들조차 계획에 실패하는데, 초짜들이 단순한 동기부여만으로 좋은 계획을 세우기는 더 어려울 것이다. 심리학자들은 이런 현상을 ‘계획 오류’라고 부른다.계획을 ... ...
- [지식]김재경 KAIST 수리과학과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1호
- 모두 알고 있어야 하는 건 맞지만, 생물학 논문을 읽고 생물학자와 소통할 수 있을 정도의 지식이면 충분하다고 생각해요. 사실 저도 수능시험 이후로 생물학 책을 본 적이 없었어요. 고등학교 때 배운 생물 지식이 전부였어요. 그래서 박사과정 때 생물학과 신입생이 듣는 수업부터 차근차근 ... ...
- [수학동아클리닉]사라진 어진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6년 01호
- 경기전의 서쪽 땅과 부속 건물을 철거하고 일본인 소학교를 세우면서 원래 넓이의 절반 정도가 잘려 나갔습니다. 일본인 소학교는 다시 지금의 전주중앙초등학교가 됐습니다. 2004년에 경기전 부속 건물을 복원할 때 전주중앙초등학교가 지금의 자리로 옮겨온 것입니다.두 번째 관문을 넘은 여러분, ... ...
- [News & Issue]내가 쓴 화장품이…해안을 더럽힌다고?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연구결과를 2015년 9월 15일자 ‘해양오염회보’에 발표했다. DDT는 현재 사용이 금지됐을 정도로 독성이 심하고 잔류성이 큰 물질이다. 해양생물이 유해물질을 흡착한 미세플라스틱을 먹을 경우, 이 물질들은 순식간에 전신으로 퍼지게 된다. 플라스틱 제조 시 들어가는 비스페놀A, 프탈레이트와 같은 ... ...
- [Knowledge] 마치 누군가 설계한 듯한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너무 살살 잡으면 달걀을 떨어뜨린다. 게다가 달걀을 손가락으로 잡기 전에 어느 정도의 강도로 잡을지 이미 결정을 해야 한다! 이처럼 공학적으로는 어마어마하게 어려운 과제를 우리의 손은 별다른 노력 없이 척척 해낸다. 다시는 손을 무시하지 마시라.마치 누군가 의도적으로 설계한 것처럼 ... ...
- Part3.‘표준모형 너머’를 꿈꾸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지금까지의 관측 결과를 보면, 알 수 없는 이유로 초기 우주의 입자들 가운데 10억분의 1정도가 살아남게 되었고, 그것이 우리가 현재 보고있는 은하와 별, 행성 등을 구성하고 있다.물리학자들은 입자와 반입자가 서로 다른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이런 차이가 생겼을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지만 ... ...
이전4124134144154164174184194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