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끈
선
라인
실
열
행렬
끄나풀
d라이브러리
"
줄
"(으)로 총 6,865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 중심을 들여다보기 위한 항해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진동적인 자극을 받아서 더 큰 진폭으로 진동하는 현상 기타의
줄
을 튕기면 그
줄
의 진동으로 생긴 음이 기타의 몸체로 들어가 진동함으로써, 우리 귀에는 원래 소리보다 더 크게 들린다 이 경우도 공명의 한 예이다 그래서 기타의 몸체를 울림통 또는 공명통이라고 하는 것이다 물론 공명은 소리의 ... ...
'알몸 검색기' 백스캐터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90일 동안 백스캐터를 설치해 시험 운영한다. 백스캐터는‘후방산란 X선 검색기’를 짧게
줄
인 말이다. 백스캐터는 영상에 나타난 사람이 알몸으로 보여‘알몸 검색기’라고 부르기도 한다.미국의 인권단체는 알몸이 노출된다며 반대했고 미국과학공학회사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얼굴과 중요부위는 ... ...
[제 1 화]여인의 초상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지적하시려고 절 부르셨어요?”감박사가 CD를 바꿔 끼며 되물었다.“대통령님 별명이 뭔
줄
아나?”내가 치료하는 노인들 별명도 기억하기 바쁘다.“여럿 있지만 문장형 하나와 단어형 하나가 제법 유명하지.”감박사는 대화도 문어체로 한다. 문장이면 문장이지 형은 무슨 형. 수수께끼는 내 체질에 ... ...
곱고 예쁜 피부로 얼짱이 되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일반 비누보다 세정력이 강하다. 평소에 여드름용 비누를 쓰는 것은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어 좋지 않다.❼ (X) 스테로이드 성분의 약은 내성이 생길 수 있지만 항히스타민 성분의 약은 부작용이 적다. 의사 처방에 따라 알맞은 약을 쓰는 것이 좋다 ... ...
신궁 주몽에서 찾은 힘의 원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3호
힘이 둥근 아치구조를 따라 옆으로 나누어진다. 그 결과 다리에 가해지는 힘의 세기가
줄
어들어 무거운 물체가 놓여도 잘 버틸 수 있다. 이런 아치 구조는 다리뿐만 아니라 우리 몸의 발바닥이나 갈비뼈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모두 우리 몸의 무게를 효과적으로 잘 견디기 위한 구조이다.매일 아침 ... ...
마침내 밝혀진 눈물의 비밀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눈물은 샌드위치처럼 세 겹으로 구성돼 있다. 미국 오하이오주립대 켈리 니콜스 교수는 눈물이 아주 얇은 3개의 층으로 이뤄졌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 안과 분야 권위지인 ‘안과와 시 ... 아니라 다른 눈 질환의 원인을 밝히는데도 이번 연구결과가 크게 도움을
줄
것”이라고 주장했다 ... ...
PART1 과학으로 디자인한 콘셉트카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자동차가 고속으로 달릴 때 공기저항을
줄
이는 에어 스포일러(air spoiler)나 소음을
줄
이는 머플러, 연료주입구에도 감성적인 요인을 고려해 디자인한다. 이런 요소들이 합쳐지면 자동차가 ‘현대적이다’ ‘고풍스럽다’같은 감성을 갖는다.자동차 중에서 감성 디자인을 적용한 대표적인 사례는 ... ...
'외과의사 봉달희'따라잡기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점이 같다. 의사가 한
줄
의 처방전을 쓰기 위해 엄청난 고민을 하는 것처럼 작가는 한
줄
의 대사를 쓰기 위해 엄청난 고민을 한다. 차이점은 감정적인 부분이다. 의사는 환자 앞에서 자신의 감정을 철저히 숨긴다. 수련과정이 저절로 사람을 그렇게 만든다.응급상황에서는 다른 의료진 앞에서도 ... ...
비스타 반길 것인가, 외면할 것인가?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소프트웨어 개발자도 웹사이트를 제작하듯 3차원의 미려한 화면을 만들 수 있게 해
줄
기술을 내장했다.학생들도 게임을 만들 수 있는 아키텍처 ‘XNA’가 함께 등장했다. 이렇게 만든 게임은 MS가 개발한 가정용 비디오게임기인 ‘엑스박스 360’에서도 돌아간다. 자본과 시간이 있어야만 가능했던 ... ...
우주인이 두려워하는 질병따로 있다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고독감몸에 뚜렷한 변화가 생기거나 통증을 주지는 않지만 그보다 더 큰 위험을
줄
수 있는 병이 있다. 바로 ‘마음의 병’이다. 소수의 사람과 오랜 시간동안 고립된 공간에서 생활하는 일이 그리 쉽지만은 않다. 임무 수행 기간이 길수록 우주인은 작은 일에 쉽게 흥분하고 임무를 포기해 버릴 ... ...
이전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