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빙하 붕괴부터 세포분열까지! 별걸 다 예측하는 수학수학동아 l2013년 02호
- 카타스트로피 이론이 적용될 수 있는 영역은 어디까지일까?급격한 변화가 있는 곳이라면 어디나빙하학자들은 지구온난화로 인해 빙하가 녹으면서 갑자기 뒤집히고 붕괴하는 현상을 카타스트로피 이론으로 분석했다. 온도가 높아져 빙하가 녹으면 그 형태가 달라진다. 빙하는 안정적으로 떠 있는 ... ...
- PART 1. 글로벌호크, 한반도에 뜰까과학동아 l2013년 02호
- 돌고 돌아 같은 곳으로 돌아오려면 48시간이나 걸린다. 따라서 필요한 순간에 원하는 곳에 대한 정보를 장시간 얻는 능력은 고고도 무인정찰기만이 가능하다. 글로벌호크 1대는 한 번에 28시간 이상 비행하며 3000km의 동북아 전역을 감시할 수 있다.글로벌호크는 최강의 무인기인가구삼옥 ... ...
- 빙하가 숨겨 놓은 얼음 세계과학동아 l2013년 02호
- 포함해 8명으로 이뤄진 영국 탐험대는 지난해 말 마터호른 산을 탐험하며 빙하 속 깊숙한 곳으로 이어지는 동굴을 발견해 신비한 모습을 사진에 담았다.이번 탐험 대상은 마터호른 산의 고너 빙하다. 길이가 13km에 달하는 빙하로 알프스 산맥에서 두 번째로 크다. 탐험대는 빙하 위를 탐사하다가 ... ...
- [hot science] 작은 어항이 큰 불 낸다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얼마 못 버틸 겁니다. 빌딩을 지지하는 철근이 이미 열을 받아 휘어지기 시작했어요.곧 건물 전체가 붕괴할 겁니다.” 일촉즉발 상황. 100층이 넘는 초 ... 받은 소방관도 항상 위험에 노출돼 있다. 다시 한번 주위를 둘러보자. 지금 당신이 있는 곳에 불이 난다면 당장 무엇부터 해야 할까 ... ...
- 고독한 우주의 방랑자, 외톨이 행성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우리는 이것을 당연하게 여긴다. 그런데 2012년 11월, 태양계에서 불과 100광년 떨어진 곳에서 어느 별에도 속해 있지 않은 외톨이 행성을 발견했다는 발표가 나와 화제가 됐다. 사실 외톨이 행성이 발견됐다는 보도가 처음은 아니다. 그러나 이번 발견은 그 어느 때보다 확실한 증거를 보여주고 있다 ... ...
- 찜질한다고 몸이 건강해질까?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찜질방에 무슨 종류가 이렇게 많아?그런데 알고 보니 찜질방에도 여러 종류가 있더군요. 단순히 방바닥만 따뜻하게 데우는 게 아니라 옥, ... 정말로 몸의 내부를 덥히고 싶다면 운동을 해서 땀을 내는 게 가장 좋지만, 가끔 뜨뜻한 곳에서 몸을 지지는 것도 겨울을 나는 즐거움 아니겠습니까 ... ...
- ➋ 이재진 컴퓨터공학부 교수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알아요? 나도 아직 몰라요(웃음). 당연하다고 생각하지만 왜 그렇게 되는지를 가르치는 곳이 없어요. 제가 스탠퍼드대에서 석사과정을 할 때 ‘증명론(Proof Theory)’이라는 과목을 들었어요. 저와 제 친구 한 명이 함께 들었죠. 제가 친구보다 과제점수, 시험점수 모두 높았어요. 그런데 저는 B+, 친구는 ... ...
- [매스미디어] 수학으로 인간과 친해지길 바라~! 허당 몬스터들의 천국 몬스터 호텔수학동아 l2013년 01호
- 있다. 영화 속에서 드라큘라는 조니와 마비스를 떼어 놓기 위해, 조니에게 지하 깊은 곳의 방을 내어 주려 한다. 겉보기에도 엄청 큰 몬스터 호텔은 지하에도 방이 무수히 많은 것처럼 보인다.여기서 재미있는 사실은 20세기 독일의 수학자 데이비드 힐베르트가 만든 ‘힐베르트 호텔’은 진짜로 방이 ... ...
- [통계이야기 ] 미래 인기 직업, 인구통계로 밝힌다!수학동아 l2013년 01호
- 노인과 관련된 직업이 각광을 받을 예정이에요.사실 나이가 많아지면 당연히 아픈 곳이 생기고, 은퇴 후 사는 삶이 늘어나기 때문에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장소나 기회가 많이 필요합니다. 그러니 의사와 복지전문가가 촉망받을 겁니다. 또 노인과 젊은 사람 간의 갈등을 해결하는 관계전문가나, 은퇴 ... ...
- 2013 눈길을 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1호
- 그래서 온천수가 많이 나오는 일본에서는 따뜻한 물을 땅속에서 끌어올려 눈이 쌓인 곳으로 흘려보내지요. 온천수가 없는 나라에서는 제설차에서 도로에 쌓인 눈을 모아 따뜻한 물로 바꾸는 기술을 사용해요. 눈 끓인 물로 다시 눈을 녹이는 기술은 러시아에서 처음 개발했어요.우여곡절 끝에 ... ...
이전4134144154164174184194204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