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국가
국토
국민
겨레
민족
세상
배달나라
d라이브러리
"
나라
"(으)로 총 4,411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글화 시킨 컴퓨터 언어 「늘품」① 컴퓨터가 우리말을 알아듣는다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수 있도록 이와 같은 거북그림을 늘픔에 꾸며 넣었다. 사과전산기에 맞춰본 늘품 우리
나라
에서 흔히 구할수 있는 APPLEⅡ를 닮은 전산기(이를 사과전산기라고 부르겠다)에 늘품을 맞추었다. 사과전산기는 가장 많이 보급되었고 특히 어린이들이 많이 쓰기 때문에 여기에 맞추어 포스를 번역한 것이 ... ...
세계에서 가장 키큰 사나이 엉덩이뼈 수술받고 더 커져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나라
. 그러나 가브리엘의 경우 병원은 대단한 친절을 베풀었다. 가브리엘자신 "나는 이
나라
에서 어떤 불쾌한 일도 당하지 않았다. 모든 사람이 대단히 친절했다"고 털어놓기도 했다.물론 인종차별이라는 분위기가 있어도 특수하게 생긴 사람이나 불구자에게 동정을 느끼게 마련이라는 인간심성이 ... ...
PART3 위성체 2천년대 초에는 통신위성을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학계와 연구계에서는 이 분야의 연구가 확대되어야 한다. 선진공업국을 지향하는 우리
나라
로서 지금 급속히 부각되고 있는 우주기술분야에서 선두주자는 못될망정 낙오자가 될수는 없다. 지구와 그 주변환경만 느끼고 생각해 오던 기성세대의 굳어진 의식구조에 비해서 어린 학생들은 풍부한 ... ...
잇따른 경고-바다에 잠길 대도시들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상당수가 바다물에 잠길것이라는 경고가 잇따르고 있다. 최근에는 이 문제에 어느
나라
보다 민감한 네덜랜드(낮은 땅이라는 뜻)의 '델프트 수력연구소'의 부책임자인 '피엘 벨링가'씨가 사전대책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다가올 위험을 경고했다. '벨링가'씨에 따르면 21세기 말까지 지구의 ... ...
PART1 종속이냐 자립이냐 앞으로 10년이 선택의 갈림길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클뿐만 아니라, 앞에서 언급했듯이 군사기술의 핵심이 되기 때문에 선진국들은 다른
나라
에 기술이전하는 것을 꺼리고 있다. 앞으로 이대로 계속된다면 2000년대에 들어서면 우주기술은 선진국들만의 점유물이 되고 방대한 우주산업시장의 독점화는 날로 심화될 것이다. 지금 아프리카의 한 ... ...
PART2 발사체 96년에 실험발사를 목표로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0.06% 수준인 연간 2천억원의 규모의 연구개발이 투자되어야 한다. 이 시기가 되면 우리
나라
는 본격적인 우주산업국 위치에 있을 것이므로 연간수백억달러의 수출이 가능해 질 수 있을 것이다 ... ...
달력이 탄생되기 까지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과학의 역사가 배어있으며, 인류의 지혜가 전수되어온 과정이 얽혀있다. 각
나라
각 시기마다 무엇이 그 사회에서 중요한 일인가, 무엇이 중심적인 가치관인가에 따라 태음력과 태양력의 역사가 서로 다른 길을 걸어왔지만, 아무래도 그것은 인간의 경제적 활동과 뗄레야 뗄 수 없는 연관속에서 ... ...
중환자와 가족에게 더할수 없는 기쁨 로봇 간호원의 시대 열리다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비극을 로봇이 어느정도 막아줄 수 있다.세계 어느
나라
에서나, 특히 평균수명이 긴
나라
에서는 제대로 기동을 못하는 노인환자가 많다. 노인이 아니라해도 어떤 사고나 질병으로 누워서 생활할수밖에없는 사람들은 그야말로 골치거리이다. 본인도 주위사람에게 미안하고 간호하는 사람도 장기간 ... ...
과학기술계에도 대전환 있어야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무슨 물질을 하나 뽑아낸 것을 가지고는 세계최초의 성공사례 운운 하니까 국민들은 우리
나라
의 과학이 굉장한 수준에 도달한 것으로 착각을 하게 되는 것이지요. 현원복 과학잡지도 큰몫을 해줘야 할텐데 적자를 면키 어려운 실정입니다. 제가 아는 모과학잡지의 발행인은 그동안 과학잡지 ... ...
우리 고유의 한선(韓船) 황포 돛단배가 복원된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움직임이 처음 싹튼 곳은 충남 연포에 위치한 대한청소년요트학교. 여기서 우리
나라
고유의 범선으로 교육했으면 하는 바람과 아쉬움을 가진 몇몇 청년들이 한선의 자료를 찾아나선 게 계기가 되었다. 이때 40여년간 이 분야를 연구해온 김재근교수와 평생을 두고 뱃노래의 발굴에 매진해온 ... ...
이전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4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