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리
대표자
대표원
대신
정치 위원
대리자
사절
d라이브러리
"
대표
"(으)로 총 7,190건 검색되었습니다.
강 돌고래가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단순포진(單純泡疹) · 대상(帶狀)포진 · 구제역(口歸疫) 등의 아프타성(性) 구내염이
대표
적이다이 밖에 마진 · 풍진 · 수두 · 헤르팡기나 등에서도 나타난다 바이러스로 인해 발병하는 수막(髓膜)의 염증 원인 바이러스는 엔테로바이러스라고 총칭되는 폴리오 · 에코 · 콕사키바이러스가 많으며 ... ...
'아이디 2.0' 오픈아이디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라이프팟, 아이두 등 10여개로 아직 그 수가 많지는 않다.하지만 최근 설치형 블로그의
대표
주자인 텍스트큐브가 오픈아이디를 채용하면서 그 수는 급속도로 확산되는 추세다.외국의 경우 지난해까지 주로 오픈소스나 소규모의 웹 2.0 기업에서 오픈아이디를 채용하는데 그쳤지만 올해 들어 ... ...
화성으로 향한 피닉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집합조직을 가진 강대가 제조되었다방향족 탄화수소 유도체에 속하는 아민류의 총칭
대표
적인 화합물에 아닐린이 있다일반적으로 염기성 화합물이지만 지방적 아민에 비해 염기성은 약하다방향 고리에 아미노기가 직접 결합하지 않은 화합물, 예를 들면 벤질아민 등에서는 지방족에 가까운 ... ...
펄서 발견자, 과학전도사로 거듭나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받았고 올해 6월 대영제국의 데임 작위를 받기도 했다. 그는 연구 외에도 여성과학자를
대표
해 대중 강연을 하며 학생들에게 역할모델로 다가가고 있다. 버넬 교수는 “취미로 별과 우주에 관련된 시 400~500편을 수집했는데, 가끔 우주와 시를 갖고 강연을 하면 많은 여학생이 찾아온다”고 말했다.1 ... ...
거짓말을 멈출 수 없는 이유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이미지를 좋게 하려는 거짓말이나 악의가 있는 거짓말과 다르다. 병적인 거짓말쟁이의
대표
적 사례는 반사회적 거짓말쟁이다. 이들은 스스로 사실을 말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사기를 치면서 쾌감을 느끼기도 한다. 이들은 거짓말을 하면서도 심장이 쿵쾅쿵쾅 뛰거나 식은땀이 흐르는 생리적 변화가 ... ...
PART1. 향기란?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8호
향기가 나면 우리의 코는 반응하기 시작한다. 꽃, 향수 등에서 나는 좋은 냄새를 향기라고 하니 결국 향기도 코로 맡는 냄새의 하나. 그런데 과연 냄새는 코로 맡는다고 말해도 되는 걸까?냄새를 맡는 것은 냄새분자의 움직임에서 시작된다. 냄새분자는 사람이 숨을 쉴 때 코로 들어가 코 윗부분에 ... ...
PART2. 향기의 힘!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8호
향기는 메시지를 싣고“음~, 부드러운 향기. 나를 부르는 것 같기도 하고 아닌 것 같기도 하고. 어디 한번 가 볼까?”수컷 나방이 향기에 끌려 날아들었다면 암컷 나방의 향기 신호 보내기는 성공!사람들이 언어로 생각을 전하듯 생물들은 향기로 이야기를 한다. 굳이 향기가 아니라도 소리나 몸짓으 ... ...
로스웰 사건의 실체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액세스 시간과 기억장치 사이에 상관관계가 없는 기억장치에 대한 액세스 미국의
대표
적인 민간 연구·개발기관 1948년 미공군의 원조로 설립된 미국 최초의 본격적인 두뇌집단이다기술자·수학자·물리학자·프로그래머·기상학자·OR(operation research) 전문가·경제학자·역사학자·심리학자·사회학자 ... ...
터치스크린 열풍 속으로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액정이 깨지는 위험이 있지만 필름 타입은 웬만한 충격에도 끄떡없다. 이 기술이 적용된
대표
적인 사례가 충격방지 노트북이다.최근 미국에서 판매하기 시작한 아이폰은 이들보다 한 단계 더 진보한 터치스크린 기술을 적용했다. 소위 ‘멀티터치’라는 기술로 여러 손가락을 동시에 접촉해도 ... ...
PART2 있다! 없다! BEST 5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지급하는 특훈교수로 임명했다.기계공학과의 오준호 교수는 KAIST의 자랑이자 대한민국
대표
로봇인 휴보를 개발했고, 화학과의 유룡 교수는 2000년 나노다공성탄소물질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2. 학과가 없다!KAIST는 정부의 강력한 지원을 받으며 연구 중심의 대학으로 설립된 만큼 학사운영도 다른 ... ...
이전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4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