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신나는 진화 체험! 다윈展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3호
내년 한 해 동안 가장 주목 받을 인물은 누구일까요? 바로 진화론의 창시자 ‘찰스 다윈’이랍니다. 내년인 2009년은 다윈의 탄생 200주년이자‘종의 기원’이 출간된 지 150년 ... 나머지는 친구들이 직접 와서 경험해 보면 되겠지? 우리 모두 다윈과 진화론에 관한 한
박사
가 되어 보자고~ ... ...
“나비와 함께 훨훨~!” 나비
박사
석주명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3호
나비연구에도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고 들었어요.지난 1월에는 국립산림과학원 권태성
박사
가 경기 포천시 국립수목원과 파주 고령산의 나비를 조사해, 남방계 나비가 크게 증가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어요. 제가 정리해 놓은 기초자료가 없었으면 불가능했을 거라고 하더군요. 그 말을 듣고 참 ... ...
내 공룡 친구는 어디에?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3호
뒷받침하는 증거가 되기도 했단다.경북 의성은 공룡 유치원천연기념물센터 임종덕
박사
연구팀은 2008년 5월 경북 의성에서 세계 최대의 용각류 아기 공룡 보행렬을 발견했어. 이 곳엔 용각류 아기 공룡과 육식공룡 등 20여 마리의 공룡이 남긴 100여 개의 발자국이 뚜렷하게 남아 있었지. 마치 아기 ... ...
지구온난화의 비밀을 밝힌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3호
미국 동부 연안을 따라 내려오면서 바닷물에 녹아 있는 온실가스의 양을 측정한 권영인
박사
님은 11월 19일 현재 미국 플로리다에서 중남미로 떠날 준비에 바쁜 날을 보내고 있답니다. 장비 고장이나 궂은 날씨 때문에 어려움이 많지만 꿋꿋이 항해를 계속하고 있다는 소식을‘어린이과학동아’에 ... ...
백두대간 종단열차를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2호
있다. 보호 작전이 필요한 산천어‘백두대간보호지역 생태계조사’에 참여한 송호복
박사
팀은 백두대간인 덕유산과 지리산 계곡 상류에 우리나라의 고유종인 버들치, 금강모치와 함께 산천어가 산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산천어는 어린 송어가 바다로 가지 못하고 민물고기로 남은 것인데 원래 ... ...
쏴아아아~ 강이 거꾸로 흐른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2호
“이 괘씸한 녀석아! 어서 잘못했다고 말해!”냥냥이와 함께 여유롭게 논길을 지나던 닥터고글의 발길을 붙잡는 소리가 들린다. 추수가 끝난 논에서 농부아저씨 한 분이 꼬마에게 야단을 치고 있었던 것. 억울한 표정으로 눈물을 글썽거리는 꼬마를 보니 뭔가 사연이 있는 것 같은데…. 사건 의뢰 - ... ...
꿈꾸는 로봇들의 축제, 로보월드 2008!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1호
모습과 행동을 무척 자연스럽게 흉내내고 있었어요. 우리는 최고의 로봇 과학자 유범재
박사
님의 도움으로 이 로봇들을 취재했어요. 걷고 춤추고! 마루안녕하세요! KIST 인지로봇연구단의‘마루’예요. 2005년에 처음으로 개발된 네트워크 기반 휴머노이드이지요. 저는 팔을 움직이면서 동시에 ... ...
다윈의 흔적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1호
볼까요? 여행을 시작하며… ‘어린이과학동아’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저는 권영인
박사
라고 해요.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20년 동안 연구했고, 동해에서 미래의 에너지원인 가스하이드레이트를 발견하기도 했답니다. 여러분이 이 글을 읽고 있을 때면 전 이미 장보고 호를 타고 바다를 ... ...
“와글와글~!”시끄러워지는 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0호
몬터레이만 수족관학 연구소의 키스 헤스터
박사
는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와 바다의 산성도, 그리고 바다의 소음 흡수력 관계를 알아 보는 실험을 했어요. 실험 결과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가 바다에 흡수되면 바다의 산성도가 높아지고, 그 결과 바다의 소리 흡수 능력이 줄어들었지요. 그만큼 바다가 ... ...
뾰로롱~! 파도야 사라져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0호
일종의 파동이기 때문에 가능한 거죠?맞아요. 프랑스 프레넬연구소의 스테판 에녹
박사
는 파도를 음의 굴절률로 휘게 하는 메타물질의 특성을 가진 구조물을 만들었답니다. 수조를 이용한 실험에서 북쪽으로 들어온 파도가 대부분 구조물에 방해받지 않은 상태로 남쪽으로 빠져 나갔다고 해요 ... ...
이전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4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