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아래"(으)로 총 4,259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진이 불러온 참극의 현장어린이과학동아 l20080530
- 발생했어요. 이번 지진은 지각을 이루는 여러 개의 판 중에서 유라시아판과 인도판이 충돌해서 일어났어요. 인도판이 유라시아 판 아래로 파고들면서 밀어올리는 과정에서 커다란 에너지가 분출돼 지진을 일으킨 거예요. 지진의 위력은 원자폭탄 252개가 폭발한 것과 맞먹을 정도로 컸어요. 또한 지진의 근원지가 지하 10㎞로 얕았기 때문에 피해가 더욱 커졌 ...
- 지구 곳곳, 무엇을 먹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080514
- 패스트푸드점이 없는, 차드 패스트푸드 음식점인 맥도날드와 버거킹, KFC, 피자헛이 하나도 없는 이 나라는 아프리카의 이집트 아래에 있는 차드예요. 차드인 한 사람이 일 년간 먹는 고기의 양은 14.1㎏밖에 되지 않아요. 호주 사람들이 차드 사람보다 7.5배나 많은 고기를 먹는 셈이지요. 이번엔 만난 가족은 차드 동쪽의 브레이드징 난민촌에 사 ...
- 아찔 아찔~! 놀이기구는 진화한다(2)어린이과학동아 l20080430
- 허공을 14번이나 가로지르지만 보물을 빼앗기는커녕 마음의 평정심만 빼앗긴다. 위로 올라갈 때는 하늘로 튕겨져 올라갈 것만 같고, 아래로 내려올 때는 꼭 맞은편으로 굴러 떨어질 것만 같다. 빠른 속도로 왔다 갔다 하다 보면 이러다 360。로 한 바퀴 훌렁~ 돌아 버리는 건 아닌가 하는 조바심이 든다. 이게 바로 바이킹을 타는 묘미이자 스릴! 그래 ...
- 아찔 아찔~! 놀이기구는 진화한다(1)어린이과학동아 l20080430
- 있도록 특별한 장치를 만들어 냈다. 자석의 같은 극은 서로 밀어 내고 다른 극은 서로 당기는 힘을 이용한 모터가 바로 그것. 열차의 아래쪽에는 영구자석을, 레일 위에는 전기가 흐를 때만 자석이 되는 전자석(6)을 붙여 놓고, 전기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게 만들었다. 그 결과 전기만 조절하면 자석끼리 밀고 당기는 힘이 생기면서 열차가 앞으로 나갈 ...
- 우주도 식후경, 잘 먹겠습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080414
- 읽었나요? 기사를 열심히 읽은 ‘어린이과학동아’ 독자들에게 우주인이 먹는 것과 똑같은 우주식품 ‘이롬 생식바’를 드립니다. 아래 퀴즈의 정답과 이름, 주소, 연락처를 적어 hsr@donga.com으로 보내 주세요. 정답자 중 추첨을 통해 20명에게 드립니다. 한국우주식품으로 개발된 것이 아닌 것은 무엇일까요? ① 밥 ② 김치 ③ 된장국 ④ 김치 ...
- 이색 체험~ 가면축제어린이과학동아 l20080414
- 전시관 관람을 마친 후 우리들은 서로 작별 인사를 나누었어요. 비록 짧은 시간이었지만 ‘어린이과학동아’ 독자라는 공통점 아래 함께 즐거운 추억을 만들 수 있었답니다~. 또다른 나의 모습, 가면 가면이 쓰인 것은 원시시대부터입니다. 사냥 대상인 동물에게 가까이 다가가기 위해 변장을 하거나 종교적인 의식에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하고 ...
- 에이~,요! 식물도 힙합을 즐긴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080414
- 위해서 움직이고 있어요.” 뭔가 의아한 사뿐히 양. 닥터고글에게 질문한다. “어? 그런데 무초는 왜 움직이는 거죠? 그저 잎사귀를 위아래로 움직이는 게 무슨 이득이 있다고?” “살아가는 데 굳이 이득이 없는 그런 움직임을 보이는 이유는 아직 밝혀 내지 못했어요. 앞으로 많은 과학자들이 풀어야 할 숙제죠. 그런데 저는 두 사람을 보면서 이런 생각 ...
- 둥둥~ 한강에 뜬 인공섬어린이과학동아 l20080414
- 유럽우주국의 화성탐사선 ‘마스 익스프레스’는 화성의 그랜드 캐니언이라고 불리는 ‘마리너 계곡’의 사진을 보내 왔어요(맨 위, 아래 사진). 유럽우주국의 과학자들은 그 사진을 조합해 깊이가 8㎞나 되는 균열 지대의 입체 사진을 만들었어요. 그 결과 예전에 이 곳에 많은 양의 물이 흘렀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혀졌어요. 물이 있으면 생명체가 있을 가능 ...
- 날씨는 요술쟁이!어린이과학동아 l20080313
- 온도는 3만℃ 정도라고 해요. 이 때 열에 의해 공기가 급격히 팽창하면서 나는 소리가 바로 천둥이랍니다. *과냉각 : 액체가 어는 점 아래에서도 여전히 액체로 남아 있는 현상. 장려상 아름다운 날_김택수 무지개가 두 개나 떴어요! 한여름에 한 줄기 소나기가 시원하게 쏟아진 후 하늘에 펼쳐진 무지개의 모습이 정말 아름다워요. 무지개는 햇빛이 공기 ...
- 눈 깜짝할 사이에 영화 한 편이 뚝딱!어린이과학동아 l20080313
- 이용하는 만큼 이익이 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답니다. [소제시작]“꼭꼭 숨어라 집게발 보인다~” 소백산에서 희귀종 발견[소제끝] 아래 사진은 얼핏 보면 사마귀 같기도 하고 바다에 사는 게 같기도 하지만 사실은 숲에 사는 ‘사마귀게거미’랍니다. 사마귀게거미는 우리나라와 일본 남쪽 지방에만 사는 몸 길이 0.8㎝의 작은 거미예요. 50여 년 전에 처 ...
이전4134144154164174184194204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