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리광학
광학
물리학
뉴스
"
물리
"(으)로 총 5,294건 검색되었습니다.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9) 화학의 두 문화를 통합한 존 로버츠
2017.01.03
반응 메커니즘과 그 과정에 생기는 중간산물까지 이해하는 쪽으로 바뀌었다. 로버츠가
물리
유기화학이라는 분야의 개척자로 불리는 이유다. 로버츠는 학부생을 위한 유기화학 교재를 비롯해 NMR 분광학, 분자궤도이론 등 다양한 분야와 수준의 교재를 집필했다. 로버츠 역시 글쓰기의 중요성을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7) 과학자들의 키다리아저씨 조셉 버만
2017.01.01
사례들을 공론화해 압력을 넣기도 했다. ‘네이처’ 11월 17일자에 부고를 쓴 뉴욕시립대
물리
학과 유진 추드노프스키 교수 역시 1980년대 버만이 구해 준 러시아 과학자들 가운데 한 명이다. “내가 감옥에서 생을 마치지 않을 수 있었던 건 버만과 그의 동료들 덕분이다. KGB의 집요한 방해공작에도 ... ...
우주선에서 생을 마감해야 한다면?
동아사이언스
l
2017.01.01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면서 구심력을 만들어내야 한다(이 개념은 1960년대 미국의
물리
학자 로버트 버사드에 의해 처음 제안됐다). 하지만 전력이 끊기면서 회전이 멈추자, 수영장에서 수영을 하던 오로라는 수영장 물과 함께 공중에 떠오른다(무중력 상태에서는 물이 구 모양의 물방울로 둥둥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6) 극저온에서 새로운 물질 상태를 구현한 데보라 진
2016.12.31
넓히던 참이었다. ‘네이처’ 10월 20일자에 실린 부고를 쓴 세 사람 가운데 이론원자
물리
학자 존 본(John Bohn)은 진의 남편이다. 두 사람은 대학원시절 만나 결혼했고 같은 연구소에서 일하며 공동연구도 많이 했다. 천재 여성 과학자의 때 이른 죽음이 더 안타까운 이유다. ※ 필자소개 강석기. ... ...
2017년 새해 첫날, 당신에게 1초의 시간이 더 생긴다
과학동아
l
2016.12.31
장기적으로 지구의 자전 속도가 감소해 하루의 길이가 길어지게 된다. 영국 더럼대
물리
학과 리처드 스티븐슨 교수팀은 2016년 12월 ‘영국왕립학회보A’에 발표한 논문에서 조석력이 지구의 자전 속도를 100년마다 2.3ms(밀리초, 1ms는 1000분의 1초)씩 느리게 만든다고 분석했다(DOI:10.1098/rspa.2016.0404). ... ...
90돌 맞는 빅뱅이론…불변의 진리? 우주적 거품?
과학동아
l
2016.12.30
말로 빅뱅이론의 ‘지평선 문제’라고 한다. 이를 해결하려고 1980년 미국의 이론
물리
학자 앨런 거스는 초기 우주가 짧은 시간 동안 급격하게 커졌다는 급팽창 이론을 제안했다. 우주가 엄청 빠르게 팽창했다면, 엄청 먼 곳의 온도가 같다고 설명할 수 있어서다. 이석천 경상대 기초과학연구소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5)우주가 물질이 왜 더 많은지 실험으로 보여준 제임스 크로닌
2016.12.30
80년 노벨
물리
학상을 받았다. 1931년 시카고에서 태어난 크로닌은 1955년 시카고대에서 핵
물리
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58년 밸 피치의 영입으로 프린스턴대에 자리를 잡은 크로닌은 피치와 중성 케이온의 붕괴를 연구하다 1964년 CP대칭성 깨짐을 발견했다. 1971년 시카고대로 돌아간 크로닌은 197 ... ...
루비와 사파이어 바람이 부는 행성 발견
과학동아
l
2016.12.30
사파이어로 이루어진 구름이 대기를 덮고 있는 행성이 발견됐다. 영국 워릭대 천체
물리
학그룹 데이비드 암스트롱 연구원팀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케플러 망원경을 이용해 ‘HAT-P-7b’라는 거대한 가스 행성의 대기에서 반사되는 빛을 모니터링 했다. 그 결과 행성의 가장 밝은 지점이 시간에 따라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4) 생명과학에 보는 재미를 더해 준 로저 첸
2016.12.29
들어갔다. MIT에는 아버지와 삼촌들, 형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하버드대에서 화학과
물리
학을 공부한 첸은 돌연 화학에 염증을 느껴 영국 케임브리지대로 유학해 생리학을 연구한다. 그러나 그가 두각을 나타낸 건 화학 지식을 이용해 생리학 연구의 새로운 방법론을 개발하는 일이었다. 화학에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바빠 죽겠는데, 남을 도우라고?
2016.12.27
등으로 대표되는 ‘시간 기근(time famine)’ 속에 빠져 사는 것으로 유명하다. 다들
물리
적으로도 바쁘지만 그보다 더 큰 문제는 마음이 늘 바쁘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된 한 가지 재미있는 발견이 ‘효율성’이다. 예컨대 지금보다 더 효율이 좋아지면 마음의 여유가 생기게 될까? 지금보다 더 밥을 ... ...
이전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4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