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d라이브러리
"
우리
"(으)로 총 11,111건 검색되었습니다.
현대인 깨우는 물리학 강의
과학동아
l
200912
저절로 수상작인 ‘최무영 교수의 물리학 강의’에 눈길이 쏠린다. 그리고 그의 책은
우리
의 기대를 저버리지 않았다. 기존에 나와 있는 물리학 책과는 많이 다르다. 우선 복잡한 공식이나 개념보다는 물 흐르듯 흘러가는 문장들로 이뤄져 있고, 곳곳에 컬러로 인쇄된 명화들이 나온다. 물론 그의 방 ... ...
무요일(無曜日)의 달력
과학동아
l
200912
‘그레고리 달력’은 교황 그레고리 13세가 1582년에 선포한 뒤 점차 전 세계로 전파됐다.
우리
나라는 갑오경장 이후부터 그레고리 달력을 사용했다. 그레고리 달력을 조금 더 과학적으로(?) 바꾸려는 시도는 프랑스 대혁명 직후에 있었다. 혁명정부는 7일 단위인 일주일을 십진법으로 바꾸려고 했다! ... ...
우주에도 거대한 장성(長城)이 있다고요?
과학동아
l
200912
은하군이나 은하단을 포함하는 커다란 집단도 있다. 이를 ‘초은하단’이라 부른다.
우리
은하를 포함한 국부은하군은 처녀자리 은하단과 함께 ‘국부 초은하단’을 구성한다. 국부 초은하단에는 은하군이나 은하단이 1억 광년 내에 적어도 100개 이상 무리 짓고 있다.은하들은 초은하단보다 더 큰 ... ...
오십보백보(五十步百步)와 근삿값
과학동아
l
200912
한이 없다. 그런데 이런 수치는 두 가지 특징이 있다.첫째, 이것은 측정값이라는 점이다.
우리
주변에는 측정이 필요한 수많은 대상이 있고, 인류는 이 양을 나타내기 위해 수를 생각해 냈다. 둘째, 측정값은 정확하지 않은 대강의 값인 근삿값이라는 점이다. 그런데 고사성어에도 ‘오십보백보 ... ...
방송, 이젠 오감을 만족시켜라
과학동아
l
200912
“쏴. 당신이 졌어, 미실.”왕위를 빼앗기 위해 계획했던 모든 일이 수포로 돌아가자 이성을 잃고 덕만 공주에게 활을 겨누는 미실. 그런 미실을 의연한 얼 ... 또한 꽃을 피울 것이기 때문이다. 젊은 전문가들이 만든 생생하고 실감나는 방송이 곧
우리
의 거실에서도 펼쳐지길 기대해 본다 ... ...
시대를 초월한 가치 ‘동의보감’
과학동아
l
200912
‘동의(東醫)’라고 정의했다. 구석진 동방의 의학이라고 표현한 듯하나 여기에는
우리
의학이 중국의 의학과 나란히 어깨를 견줄 만한 전통을 갖고 있다는 자부심이 담겨 있다. 되살아나는 동의보감의 가치 예전이나 요즘이나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받기는 쉽지 않은 모양이다. 허준이 살았던 1 ... ...
거울 속 우유 마시면 소화 안 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12
영국 작가 루이스 캐럴(본명 찰스 루트위지 도지슨)이 1872년 발표한 ‘거울 나라의 앨리스’는 1865년 발표한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의 속편이다. 영국 옥스퍼드대의 평범 ... 있는 셈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거울 속 우유 마시면 소화 안 되는 이유
우리
가 몰랐던 D-아미노산의 ... ...
도심에 출현한 멧돼지의 진실
과학동아
l
200912
공격하기 때문이다. 우제목(牛蹄目) 멧돼지과에 속하는 멧돼지(Sus scrofa , wild bore)는
우리
나라에는 단 1종이 서식한다. 멧돼지의 팔다리는 짧지만 몸이 굵고 길며, 주둥이는 긴 원통형이다. 아래턱 송곳니가 무척 예리해 적을 만날 때 무기로 사용한다. 갈기털은 목부터 엉덩이까지 3~5갈래로 갈라져 ... ...
건물 외벽에 뚫린 3000개 구멍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12
육중한 갈색 건물을 보게 된다. 무겁고 어두운 색으로 시야의 상당부분을 가린다는 점이
우리
로서는 썩 유쾌하지만은 않았다. 건물의 창이 커질수록 맞은편 건물의 모습이 더 크게 부각돼 보일 것이다. 그래서 외벽에 작고 동그란 구멍을 뚫어 거대한 교보타워가 조각으로 나뉘어 보이도록 했다. ... ...
지구온난화 주범 이산화탄소 붙잡아 가두려면
과학동아
l
200912
김준모 교수가 ‘지질과학연합학술발표회’에서 발표한 바에 따르면 경상분지를 비롯한
우리
나라 육상 퇴적분지에도 약 11억t 규모의 이산화탄소를 매장할 수 있다.혹시라도 매장된 이산화탄소가 유출되면 어떻게 될까. CCS 기술을 반대하는 이들은 1986년 아프리카 카메룬의 니오스 호수에서 일어난 ... ...
이전
414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