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직업
업무
사건
노동
작업
임무
일거리
d라이브러리
"
일
"(으)로 총 14,81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공진은 무서워?
과학동아
l
201109
몸을 구성하는 물 속에는 수소 원자핵이 있다. MRI의 전자기파가 수소 원자핵과 공진을
일
으키면 수소 원자핵이 진동한다. 그때 진동을 멈추고 수소 원자핵이 원래 상태로 돌아갈 때 나오는 신호를 측정한다. 자기나 마이크로파 공진을 이용해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기술도 현재 활발히 개발 ... ...
달에게 동생이 있었다
과학동아
l
201109
추석에 뜨는 보름달을 보며 사람들은 소원을 빈다. 그런데 달이 두 개라면 소원을 두 배로 빌 수 있을까. 지난 8월 4
일
자 ‘네이처’에는 재미있는 ... 모른다. 그러나 지구에도 여전히 우리가 가보지 못하는 장소와, 이해하지 못하는
일
이 많듯이 달도 아직 수수께끼로 가득 찬 미지의 세계다 ... ...
별과 생명체의 씨앗 우주먼지
과학동아
l
201109
됐다는 가설을 발표했다. 지금 생각하면 놀라운 선견지명이다.실제로 오늘날에도 매
일
100t이 넘는 우주먼지가 지구로 들어오고 있다. 1년이면 4만t이나 된다. 태양계가 형성되고 수억 년 동안에는 지금보다 훨씬 많은 혜성과 소행성, 운석, 우주먼지가 지구로 쏟아져 들어왔을 것이기 때문에 지구 ... ...
나비처럼 날아 애벌레같이 쏜다
과학동아
l
201109
지정한 ‘국가 기후변화 생물지표 100종’에 포함됐다.2005년 8월 15
일
부터 17
일
까지 동아사이언스 주최 ‘전국 자연 생태계 학습 탐사’가 횡성군 갑천면 어답산에서 열렸다. 필자는 중·고교 과학교사 10명의 지도교수로 참여했다. 탐사에 참가한 생물 교사 한 명이 암끝검은표범나비 수컷 1개체를 ... ...
스마트 그리드와 함께 멋진 인생
과학동아
l
201109
큰 스트레스 받지 않고 졸업할 수 있었다. 요즘처럼 정신 없이 바쁜 상황에서도 즐겁게
일
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 이런 유연한 인생 철학이 졸업 후 회사에서 다양한 업무를 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됐음은 물론이다. 필자는 졸업 후 현재 스마트 그리드 선도기업인 LS산전에 입사했다. 입사 후 ... ...
브랜드 키우는 기업형 대학 중국 칭화대
과학동아
l
201109
QS 대학평가 순위에서 세계 50위권이지만 과학기술 분야에서는 2010년 세계 11위로
일
본의 도쿄대(7위)에 이어 아시아에서는 두번째에 올라 있다. 교수 1명당 학생 비율은 12명으로 소수 정예 엘리트 교육이 기본 방침이다. [칭화대] 칭화대는 시험 성적이 100점 만점에 60점을 넘지 않으면 학점을 받지 ... ...
Incoming New Faces for the Internet
과학동아
l
201109
있다고 주장한다. ICANN은 도메인 주소체계의 변화를 곧 공식적으로 홍보하고 2012년 1월 12
일
부터 새 도메인 주소에 대한 등록신청을 받을 계획이다. 닷컴과 닷넷의 등록을 담당하는 베리사인은 지난 1/4분기동안 450만 개의 새 닷컴과 닷넷의 도메인 주소가 인터넷에 등록됐다고 밝혔다. 베리사인에 ... ...
Part 2. 게놈 클럽 신분증 직접 만들어보다
과학동아
l
201109
어렵다는 증거다. 이곳에서 직접 실험하며 게놈 신분증을 만드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
인지 느낄 수 있었다. 게놈 클럽은 과학자들의 노고로 만들어진 것이다. 진정한 게놈 클럽 회원은 바로 게놈 연구자들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웰컴 투 게놈 클럽Part1. 동물 1만 종 게놈 ... ...
INTRO. 폭우 도시를 삼키다
과학동아
l
201109
산사태가 나 큰 인명 피해를 냈다. 관악구와 광화문, 강남 등 서울의 주요 도심은 하루 종
일
물난리로 몸살을 앓았다. 가까이에서 이를 본 두 기자는 의문을 품게 됐다. 무엇이 이런 도심 재해를 불러왔을까. 예측하거나 막을 수는 없었을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폭우 도시를 삼키다PART 1. ... ...
PART 1. 산사태
과학동아
l
201109
건설하면 위험을 줄
일
수 있다.절개지 근처나 위는 사면이 불안정해 절개지 붕괴가
일
어날 가능성이 높다. 산 위에 조성한 인공호수는 사면의 수분량을 늘려 산사태가 나기 좋은 상태로 만든다. 식생 역시 변수다. 유철상 교수는 “나무나 풀 등 식생이 발달하면 작은 산사태는 막지만 큰 산사태는 ... ...
이전
414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