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d라이브러리
"
크기
"(으)로 총 6,184건 검색되었습니다.
쌍안경으로 즐기는 가을 별밤
과학동아
l
199911
아마 쌍안경으로 볼 수 있는 전 하늘에서 가장 멋진 별무리일 것이다. 밝기는 4.0등급,
크기
는 약 30분으로 서로 비슷한 이 쌍둥이 성단은 7천광년 이상 먼 곳에 있다. 쌍안경 속에 겨우 보이는 어두운 별들이 실제로는 우리은하에서 가장 젊고 밝은 초거성들이라고 한다.4. 히아데스와 플레이아데스 ... ...
의학혁명 일으킨 방사선
과학동아
l
199910
어렵다.애매하지만 방사선을 특별하게 다루는 이유는 인체나 생물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알파선은 사람의 피부(피부를 덮고 있는 얇은 죽은 세포층이 보호막 역할을 함)를 뚫지 못할 정도로 약하다. 하지만 알파선을 내는 미세한 방사성물질이 음식물이나 호흡기관을 통해 ... ...
공룡탐사의 천국 몽골 고비사막
과학동아
l
199910
표본을 묶어 트럭으로 계곡 아래에서 위로 끌어올려야 했다. 석고 표본의
크기
는 화석의
크기
에 비례하므로 커다란 화석을 발굴할 경우 크레인과 같은 중장비를 동원하기도 한다.사막의 모래폭풍드디어 탐사팀이 우려했던 일이 벌어지고 말았다. 작업 도중 모래폭풍이 다가오기 시작한 것이다. ... ...
음악파일의 혁명 MP3
과학동아
l
199910
연주하도록 하면 소리는 들리지 않고 변환된 WAV파일이 생성된다. 이렇게 하면 다시 파일
크기
가 원래 CD음반처럼 커지므로 공 CD에 담게 되면 10곡 정도만 수록된다. 이를 CD 플레이어에 넣고 감상하면 된다.MP3 파일 찾는 법MP3에 관련해 늘 꼬리표처럼 저작권논쟁이 벌어지곤 한다. 기존 음반사들이 ... ...
2. 1백년 후 한국인 얼굴
과학동아
l
199910
명확치 않은 청소년들이 늘고 있는 이유가 이 때문이 아닐까.컴퓨터의 발달은 사람 뇌의
크기
를 줄일 가능성이 있다. 컴퓨터가 등장한 초창기에는 소수의 똑똑한 사람들만이 컴퓨터를 자유자재로 사용했다. 하지만 지금은 다르다. 마우스로 간단히 클릭만 하면 원하는 화면이 뜨기 때문에 컴퓨터를 ... ...
4. 1천만년 후의 한반도
과학동아
l
199910
이 동해가 미래 한반도의 모습을 알 수 있는 열쇠다. 1천만년이 지나면 동해는 현재보다
크기
가 줄어들 것이고, 한반도의 동쪽 해안은 격심한 지진과 화산활동의 무대가 될 가능성이 크다.동해는 평균 깊이가 수천m에 달하지만, 그저 밑밑하게 꺼져있는 바다가 아니다. 2천m 미만의 상대적으로 얕은 ... ...
태교는 과학인가
과학동아
l
199910
알게 된 결과다. 자동차소리나 공사장의 쿵쿵거리는 소리와 같은 소음은 그
크기
가 클수록, 그리고 오래 지속될수록 태아의 호흡 기능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만일 임신부가 주변이 시끄러운 곳에서 오랫 동안 지내면 태아의 호흡기능이 발달하는 속도가 늦어지고 호흡량이 감소할 것이기 때문에 ... ...
꼬리 묶은 어머니와 아들
과학동아
l
199910
이중성이다.3. 화로자리 Fornax대략위치: 적경= 2시 49분 적위= -32.3도자정남중: 11월 10일
크기
: 397.5도, 41위(0.964%)보이는 별 수: 12개고래자리와 에리다누스자리 사이에 있는 희미한 별들로 남쪽에 낮게 떠 있다. 화로자리는 1751년에서 1753년까지 남아프리카의 희망봉에서 프랑스 천문학자 니콜라스 루이스 ... ...
인간배아 복제 허용할 것인가
과학동아
l
199910
요구했다. 하지만 복제기술은 인간의 난치병 치료에 획기적인 해결책을 제공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과학계의 반발이 예상된다. 복제기술은 과연 어디까지 허용돼야 할까.“인간배아복제를 전면 금지하라.” 최근 세계적인 핫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생명복제에 대해 ‘평범한’ 시민들이 국내에서 ... ...
1. 20년 후 한국인 체형
과학동아
l
199910
단위보다 아무래도 일반인에게 친숙하게 느껴진다.한국인의 경우 전통적으로 높이나
크기
를 표현할 때 자신의 신체구조를 기준으로 삼는 경향이 강하다. 예를 들어 눈을 수평기준으로 잡고, 위쪽에 있으면 ‘높다’ 아래 있으면 ‘낮다’고 말한다. 또 어깨넓이를 기준으로 이보다 크면 ‘넓다’ ... ...
이전
414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