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취
출세
달성
완수
공로
훈공
공적
d라이브러리
"
성공
"(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2 한국 2020년이면 비구름을 부린다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위해 기체상태로 연소하는 장치인 요오드화은 연소탄을 개발해 인공강우 항공실험에
성공
했다. 이를 계기로 1950-1960년대 세계 곳곳에서 인공강우 실험이 진행됐고 1950년 기상조절학회(Weather Modification Association)가 창설됐다.1980년대 중반을 기점으로 인공강우 실험은 순수한 연구 차원보다 상업성을 ... ...
중금속 사냥에 나선 유전자변형 포플러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찾아냈다.노 박사팀은 식물 세포 배양을 통해 유전자가 삽입된 포플러를 만드는데
성공
했다. 중금속에 대한 저항성을 실험한 결과 역시 유전자가 없는 포플러에 비해 성장이 월등했다(그림 3). 노 박사는 유전자가 들어간 포플러는 불임이기 때문에 생태계로 번질 위험성이 거의 없다고 말한다. ... ...
인체 결합과 분리의 딜레마 샴쌍둥이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계속되면 자신들은 물론 가족들도 정서적으로 혼란을 겪게될 것이다. 분리 수술이
성공
한 후에도 부모는 자신의 아이들이 결합쌍생아로 태어났었다는 사실을 알리고 싶어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어떤 모습으로 태어났든지 모두 똑같은 인격체라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 ...
제2회 닮고싶고되고싶은 과학기술인 '끼,끈,꾀,꿈'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후에 알려질 수도 있어요. 그렇지만 절대 신념을 버려서는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그의
성공
비법과 노력, 집착, 끈기를 한 눈에 짐작케 하는 말이다. 소위 술술 잘 풀리는 운 덕분에 지금의 이상엽이 된 것이 결코 아니었다.미국에서 박사학위를 마쳤을 때는 막연하게 생물공학을 연구할 수 있는 ... ...
김치 고유의 유산균 확인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종들로 밝혀진 2종의 유산균에 대해 이들의 전체 염기서열과 중요 유전자를 해독하는데
성공
했다고 밝혔다.강 교수팀은 약 1백80만 염기쌍으로 구성돼 있는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의 전체 염기서열을 분석하고 1천4백개의 유전자를 밝혀냈다. 특히 이 유전자들 중 항균물질을 ... ...
짠맛 신맛 가려내는 전자혀 국내서 개발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는 조성인 교수의 지도 아래 짠맛과 신맛을 구별하는 전자혀를 개발하는데
성공
했다. 연구결과는 지난해 겨울 농공학분야 전문학술지인 ‘트랜스액션즈 오브 ASAE’(45권 5호)에 발표됐다. 전문지에 게재된 논문의 가치는 당시 일반인에게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그런데 지난 7월 30일 미국에서 개최된 ... ...
SF 작가의 공상에서 태어난 통신위성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구축한다는 것은 대담한 발상임에 분명하다. 1901년 마르코니가 대서양 횡단 무선전신에
성공
한지 1백년밖에 되지 않아 우린 통신과 위성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지구를 손안에 넣고 다니는 놀라운 세계에 살고 있는 것이다 ... ...
3 21세기 미라 냉동인간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장애 요인이 없을 것임을 시사해준다.세포수복 로봇 개발에 성패 달려인체 냉동보존술의
성공
을 위해 기본적으로 필요한 두번째 기술은 나노기술이다. 나노기술은 냉동 과정에서 손상된 세포를 해동한 뒤 수리할 때 필수불가결한 기술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인체는 수십조개의 세포로 이뤄져 ... ...
디지털 세상 최강의 방패 양자암호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상대방이 그 양자의 상태를 측정하기만 하면 된다. 수십km에 걸친 큐비트의 전송도 이미
성공
했으므로 양자암호 체계를 구축하는 기반은 이미 마련된 것으로 보인다.양자역학은 이미 지난 세기에 나왔지만 하나의 양자를 이용하는 장치는 아마 양자암호 체계가 처음이 될 것이다. 양자암호를 포함한 ... ...
원자핵마저 얼어붙는 극저온 실현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이후 폴란드의 로블레프스키와 올체프스키는 질소와 수소를 액체화시키는데
성공
했다. 질소기체는 77K(-1백96℃), 수소기체는 20K(-2백53℃)에서 액체로 바뀐다. 드디어 인간이 영하 2백53℃까지 극복한 셈이다.생화학 반응 정지하는 극저온의 세계한편 이때까지 액체화되지 못한 기체가 있었다. 바로 ... ...
이전
414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