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줄
끈
현
라인
행렬
띠
끄나풀
d라이브러리
"
열
"(으)로 총 4,727건 검색되었습니다.
슈퍼빙산이 조류의 흐름을 알려줘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거대한 빙산 B-9를 아십니까.' 이 빙산의 크기는 미국뉴욕의 롱 아일랜드(섬) 만하다. 지금부터 1997년까지 세상 모든 사람들에게 하루에 물 두컵을 줄만 ... 연구원들은 B-9를 그곳까지 옮겨놓은 조류에 큰 관심을 갖고 있다. 이 조류가 남극대륙으로의
열
수송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 ...
1억년전 공룡의 뒷모습이 보인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0여 층준(層準)에서 3천개 이상의 발자국 화석이 발견됐다. 또 1백50개 이상의 선명한 족흔
열
(足痕列)을 찾아냈다. 형태에 따라 분류하면 두다리로 걷는 이족보행(二足步行) 9종, 사족보행(四足步行) 4종 등 모두 13종으로 구분된다.이들 공룡의 족흔을 조사하다가 우연히 새의 발자국화석을 발견한 것도 ... ...
감기와 독감은 「2란성 쌍둥이」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안정시에도 숨이 차는 등의 증상이 있을 때에는 반드시 의사의 진찰을 받아야 한다.
열
이 떨어진 뒤에도 1주일 정도는 피곤함이 계속되기 때문에 가능한한 증상이 완전히 좋아질 때까지 휴식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감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항생제 투여는 독감치료에 아무런 효과가 없다. ... ...
지구 최초의 음식을 밝혀낸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때문에 생명체의 존재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즉 지표면의 틈을 뚫고
열
이 새어나올 수만 있다면 톨린을 먹는 미생물이 득실거릴지도 모른다는 것.만약 타이탄에 미생물이 전혀 없다면 실험을 위해 지구에서 미생물을 수송할 수도 있다. 실제로 그러한 계획이 이미 진행되고 있다. 미국 ... ...
전자전의 첨병 군사위성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지상정지궤도가 아니기 때문에 목표 지역상공에 고정되어 있지않고 지구를 하루에
열
댓번씩 회전한다.위성들은 고도와 경사각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목표물 상공을 매일 같은 시간에 통과해 목표물의 활동상황과 그 주위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저고도로 궤도비행하는 위성은 ... ...
초음파로 암세포를 파괴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치료해야할 부위에 집중시킨다. 강한 초음파를 쏘인 종양조직은 순식간에 80℃까지
열
이 오르고 길이 1.5㎝ 직경 1.5㎜의 담배 모양으로 부풀어오르며 파괴된다.한 부위의 치료시간은 단 2초밖에 걸리지 않아 모든 종양조직이 다 파괴될 때까지 필요한 만큼 초음파 치료를 반복할 수 있다. 또 정확도가 ... ...
현대판 「지킬박사와 하이드」이야기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옮기거나 해도 그 전체 양은 변함이 없다는 법칙.이것은 가장 기본적인 물리법칙인데
열
역학 제1법칙이라고도 한다. 이 법칙은 19세기 중엽 독일의 헬름홀츠 마이어, 영국의 줄 등에 의해 확립됐는데 한때 베타파의 등장으로 심각한 붕괴국면을 맞기도 했다. 그러나 중성미자의 개념이 파울리에 의해 ... ...
허블 망원경이 찍은 대폭풍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아직 여러가지 일을 할 수 있으며 그 중 하나는 우주권으로부터 토성을 관측하여 먼지와
열
기로 가득한 대기권 밑으로부터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것 보다는 훨씬 상세한 사진을 제공한 것이다.허블천체망원경은 8월중에 토성을 일상적으로 관측하였으나 새로운 사실을 탐지하지는 못하였다. 아마도 ... ...
블랙홀·화이트홀·웜홀 우주의 세 구멍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팽창은 별이나 은하 같은 비균질한 덩어리를 만들어낸다. 아울러 이 덩어리가 내는
열
이 저온이 된 주위(팽창에 따른 냉각으로 인해)로 흐르게 된다. 다시 말해 엔트로피의 증가를 계속 일으키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주의 역사는 엔트로피가 보다 높은 상태로 진행되고 있는 셈이다.그러면 오늘날의 ... ...
장미꽃잎이 검게 물든 사연 식물도 스트레스를 받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생존하고 있으므로 냉각에 충분히 저항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열
대식물이나 아
열
대식물은 저항의 정도가 상이하기 때문에 과학자들은 냉각저항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을 찾아내려고 많은 시도를 했다. 일반적인 측정방법은 식물을 인위적으로 냉각온도에 일정한 시간 동안 노출시켜 그 ... ...
이전
414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