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슴도치 섬에는 특별한 것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5호
흙을 멀리까지 가져올 수 있어 모래 갯벌이 발달했다. 한편 섬의 남쪽은물의 속도가 느려
작은
가루 입자들이 주로 쌓이면서 진흙 갯벌이 발달했다.갯벌도 밀물과 썰물이 만든다!바닷가의 갯벌도 밀물과 썰물이 있어야 만들어진다. 우리나라의 강들은 대부분 서해안으로 흘러들어간다. 강물은 ... ...
요리조리 꼼꼼 자연을 그린 그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5호
수직으로 이뤄진 풍경!는 프랑스 마르세이유 근처의 에스타크라는
작은
마을에서 본 바다의 경치를 그린 작품이에요. 소나무 너머로 보이는 바다는 희끄무레하고 밝은 청색으로, 파도도 일지 않고 배도 보이지 않는 바다는 짙은 청색으로 색칠했어요. 덕분에 선명한 수평선이 ... ...
해양 생물의 낙원 츄라우미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4호
나거든요. 그런데 장점도 있어요. 상어가 빠른 속도로 헤엄칠 수 있는 이유는 피부에 난
작은
돌기들 덕분이에요. 이 돌기가 물의 마찰 저항을 줄여 주기 때문이죠. 여기에 착안해서 전신 수영복도 나왔답니다. 불가사리 체험극피동물의 특징이 무엇일까요? 딱딱한 껍데기로 둘러싸여 있고, 몸은 ... ...
곰팡이에 대한 오해와진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4호
않고 남아 있다면 지구는 죽은 생물과 배설물로 뒤덮일 거야. 상상만 해도 끔찍하지?물론
작은
곤충이나 세균들도 우리와 비슷한 일을 해. 하지만 우리 곰팡이들은 곤충이나 세균 친구들이 분해하지 못하는 생물도 분해할 수 있고, 더 작게 분해한단다. 우리가 이렇게 분해한 생물은 다시 식물의 ... ...
대칭 vs 비대칭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3호
한 쌍? 항상 변화하는 비대칭 같은 사이? 친구들 생각은 어때?특집 한 걸음 더!몸 속
작은
세상에서의 대칭우리 몸 속에서 대칭을 이루는 물질에는 대표적으로 단백질로 이루어진 효소가 있다. 효소는 소화 같이 우리 몸의 중요한 일을 담당하는데, 일을 효율적으로 하기위해 같은 효소끼리 모여 ... ...
특종! 고슴도치 섬에 우주인이 나타났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3호
▲전라북도 부안군에 있는 섬 위도.왼쪽 끝이 고슴도치 입부분이고 그 아래쪽에 있는
작은
섬은 고슴도치 먹이라는 뜻의 ‘식도’예요.김현준 (위도고등학교 3학년) : 고산 형? 물론 봤지~! 나랑 악수도 했는걸? 와서 뭘 했냐고? 우리 위도 중·고등학교 전교생 스물 아홉 명과 만나 이야기를 들려 ... ...
'바다 위의 기상대’ 기상 1호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만든 첫 번째 관측선이지만 규모로 볼 때 아쉬움이 많다. 톤수로 보면 일본의 가장
작은
관측선과 비슷하다.3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는 우리나라에서 위험기상이 여러 지역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발생한다면 기상1호1척으로는 부족하다. 기상청은 “해역마다 1척의 관측선이 운영될 수 있도록 추가로 ... ...
조건 따지는 사랑도 본능!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다음 자기 태도를 결정한다.필자는 텔레비전으로 이 장면을 보다가 실소를 참지 못했다.
작은
게의 세상도 인간 세상과 조금도 다르지 않기 때문이었다. 요즘 일부 젊은 여성들이 외모, 돈, 학벌 등 남자의 외적인 조건만을 따진다는 이유로 사회적 매도의 대상이 되는 경우를 본다. 그런데 달랑게의 ... ...
통합적 추론 능력이 핵심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방출한다. 핵결합에너지가 제일 큰 질량수 56인 철을 기준으로 해 철보다 질량수가
작은
것들은 핵융합을 통해 질량수가 더 큰 안정한 핵을 만든다. 그 과정에서 많은 양의 에너지를 방출하고 그 에너지를 인류가 이용한다. 결국 핵분열과 핵융합 둘다 핵결합에너지가 큰, 조금 더 안정한 핵을 만들고 ... ...
쥐도 표정이 있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지도’를 만들었어요. 동물도 표정이 있는지 궁금했던 모길 교수는 쥐에게 두통 같은
작은
통증을 주고 얼굴 근육의 변화를 찍어 표정 분석 전문가인 크레이그 교수에게 보냈답니다. 크레이그 교수팀은 사람의 표정을 분석할 때 사용하는 기준과 쥐의 특징을 고려해 사진을 분석했어요. 그 결과 ... ...
이전
414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