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마귀
사항
얼룩
닷
포인트
지점
간반
d라이브러리
"
점
"(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의 비밀을 푸는 열쇠, 수학
수학동아
l
2013년 12호
중력이 균형을 이루기 때문에 어떤 쪽으로도 끌려가지 않고 안정된다. 따라서 라그랑주
점
은 우주 거주지나 먼 우주로 나아가기 위해 탐사선이 들렀다가는 경유지로 제안된다.우주 연구에서 빠지면 아쉬운 수학자 7일식의 날짜를 예측한 고대의 수학자 탈레스(기원전 625~547)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 ...
[교과연계수업] 가상화폐, 비트코인이 알고 싶다고?
수학동아
l
2013년 12호
다른 가상 화폐와 어떤 차이가 있는 걸까? 우선 가장 큰 차이는 사용 범위가 매우 넓다는
점
이다. 지난 2009년에 비트코인이 등장한 이후, 세계의 수많은 상품 판매자들이 비트코인을 결재 수단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현재 세계 최대 온라인 쇼핑몰인 ‘아마존’과 미국의 온라인 음식 주문 사이트인 ... ...
[Knowledge] 독수리 먹이는 몇 종류일까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첫 번째 문제의 답은 다음과 같다. 여기까지는 경로의 길이가 모두 1이다. 중간에 한
점
을 거쳐 가는, 경로의 길이가 2인 경우는 행렬 A와 A를 곱한 A2으로 나타낼 수 있다. 아래에 나타낸 A2에서 1행 1열의 성분 2가 의미하는 바는
점
1에서
점
1로 가는, 길이가 2인 경로가 두 개라는 뜻이다. 실제로
점 ...
Part 1_ 우주를 팽창시키는 힘, 암흑에너지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사이에 숨어 있는 표준자를 찾는 것이다. 표준자는 이미 길이를 알고 있는 대상으로 관측
점
에서 양쪽 끝을 잇는 직선 사이의 각도를 측정하면 그곳까지의 거리를 알 수 있다. 우주의 구조가 열쇠그러나 은하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만으로는 아직 암흑에너지와 수정중력 중 어느 것이 답인지 ... ...
과학동아 천문대 개관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주변은 시야가 많이 트여 있어서 별 보기가 좋습니다.다른 천문대와 비교했을 때 어떤 강
점
이 있나요?우리나라의 천문대 대부분은 시나 지자체에서 만든 공공천문대지요. 보통 그런 곳은 컨텐츠보다는 망원경이나 건물 크기 같은 외적인 면에 치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천문대는 망원경을 ... ...
러시아 운석우의 재구성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0℃ 이상으로 뜨겁게 가열됐을 것으로 추측했다. 유성체가 지상에서 30km 떨어져 있었다는
점
과 피부에 홍반이 생기기 위한 최소한의 복사열 값을 추정한 결과다. 태양 표면온도가 6000℃인만큼 유성체가 “태양보다 밝게 빛났다”는 사람들의 증언은 거짓말이 아닌 진짜였다.처음 대기권을 돌입했을 ... ...
PART1 김치를 만들고 나누는 문화 김장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1년을 먹을 김치를 만들어야 하기에 가족과 이웃집까지 동원된다. 유네스코는 이
점
에 주목했다. 유네스코에 등록한 신청서의 영문명도 ‘Kimjang: making and sharing Kimchi(김장: 김치를 만들고 나누는 문화)’이다.우리나라에 김치가 전해진 과정을 보면 유네스코가 ‘김치’가 아닌 ‘김장’에 주목한 ... ...
포경수술 좋다 vs 나쁘다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밝혔다. 그러나 성병 발생은 포경수술보다는 평소 성생활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는
점
을 고려해야 한다. 성적 능력에 끼치는 영향은 아직 검증되지 않았다. 현재로서는 포경수술이 성적 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지는 않는 것으로 보인다. 박남철 교수는 “포경수술이 성관계에 어떤 영향을 ... ...
시간여행이 만든 잔혹한 스릴러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위해 발버둥치다가
점점
CCTV 속 모습과 똑같이 변해간다. 미래를 본 것 때문에 현재가
점점
그 미래 속 모습처럼 변해가는 것이다. 인과율로 따지면 역시 모순이다.하지만 현대과학이 시간여행의 가능성을 명확히 밝혀내지 못하는 것처럼, 당장 내일 일이 어떻게 될지는 누구도 모른다. CCTV에 나오는 ... ...
하늘에서 가장 쎈 전투기는?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스텔스 기능과 고성능 레이더, 신개념 무기(레이저 등)의 장착을 예상하고 있다. 특이할
점
은 ‘네트워크’ 기능의 강화다. 적을 레이더로 추적하고 유도미사일을 쏘는 기초적인(?) 전자전 양상에서 벗어나 아군 레이더 기지와 조기경보기 등을 최대한 활용해 입체적인 전자전을 펼 수 있게 된다 ... ...
이전
414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