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시작
최초
서두
초기
머리말
개시
d라이브러리
"
처음
"(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치르치르의 응답하라 외계생명체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21호
977년 미국의 심해유인잠수정 앨빈 호가 갈라파고스 제도 근처 깊이 2500m 심해에서 저희를
처음
발견했어요. 빛도, 충분한 산소도 없는 데다 황화수소가 가득한 뜨거운 물을 뿜어내는 열수구 부근에도 다양한 생물이 산다는 사실이 과학자들에게 엄청 충격이었나 봐요. 저희로서 굳이 독성 가득한 ... ...
과학수사 전문요원, ‘몬지 잘모르게슈’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20호
넣어 두었던 유리상자에 지문이 찍혀 있었다.미션2 주황색 차를 밖으로 빼내라!“저는
처음
아무도모르계를 행사장에 설치할 때 유리상자 덮는 일을 도와준 것뿐이라고요.”알고 보니 지문의 주인공은 범인이 아니었다. 그때였다. 자동차 한 대가 쏜살같이 달려 나갔다. 몬지 요원이 소리를 질렀다 ... ...
눈으로 보는 공기의 힘! 진공 펌프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20호
627년에 영국에서 태어난 로버트 보일은 같은 온도에서 압력과 부피가 반비례하는 사실을
처음
으로 밝혀 냈어요.그의 이름을 따서 이 원리를 ‘보일의 법칙’이라고 부른답니다.섭섭박사가 만든 진공펌프도 이런 ‘보일의 법칙’을 이용했어요. 주사기 피스톤을 잡아당기면 플라스틱 병 안의 공기가 ... ...
세상에서 가장 황당한 연구, 2013 이그노벨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20호
황당한 연구나 일을 한 사람들에게 주는 상이에요. 그렇다고 우습게 보면 안 돼요.
처음
엔 사람들을 웃게 만들지만 곧 뭔가를 생각하게 만드는 연구거든요.실제로 개구리를 자석의 힘으로 공중에 뜰 수 있게 한 연구로 2000년에 이그노벨상을 수상한 과학자 가임 박사는 세계 최초로 그래핀을 발견한 ... ...
다산의 상징은 기린?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9호
전 세계 동물원에서 가장 새끼를 많이 낳은 기린이 됐거든요.장순이는 1990년
처음
출산한 이래 꾸준하게 새끼를 낳아 왔어요. 지난 9월 8일에는 18마리째 새끼를 낳아 동물원에 살고 있는 동물들의 정보를 관리하는 ‘국제 종 정보 시스템’에 가장 새끼를 많이 낳은 기린으로 등록됐지요. 27살이라는 ... ...
퍼즐탐정 썰렁홈즈, ‘드디어 어과동 편집장 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9호
사장님이 찾으세요~.”하루가 어떻게 갔는지 모르겠다. 어과동 편집부가 이렇게 바쁜지
처음
알았다. 그때였다. 다시 전화가 왔다.“감사합니다. 이벤트에 당첨되셔서 다음 달에 또 편집장으로…, 많이 당황하셨죠 ... ...
제9의 예술 만화에 빠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9호
잘 적응할 수 있다.”- 쿠르트 레빈(미국의 심리학자이자 과학자)만화로 공부를?만화를
처음
공부에 활용한 것은 독일의 한 고등학교라고 해. 라틴어를 배우는 데에 라틴어로 된 ‘아스트릭스’라는 만화를 활용한 거지. 만화를 교과서로 사용하면서 학생들은 라틴어를 더 열심히 배우게 됐어. ... ...
뉴칼레도니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7호
가지 열대어, 해삼 같은 해양생물을 볼 수 있었어. 이렇게 투명한 에메랄드 빛 바다는
처음
봤지?탐사대원들이 스노클링을 즐기는 사이 나는 넋을 잃고 바다를 바라봤지 뭐야.뉴칼레도니아에서 찾은 나만의 포트폴리오탐사대원들은 숙소로 돌아와서 포트폴리오를 만드는 시간을 가졌단다.탐사에 ... ...
반대루 방송국의 MC ‘머이리 헷갈리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7호
퍼즐을 맞히거나 사건을 해결하기는 했지만 이렇게 퀴즈 대회에서 우승을 한 적은
처음
이었다.“정…, 정말 제가 우승한 거예요? 그럼 황금 100톤?”너무 무거운 황금을 들고 갈 수 없어 택배로 받았다. 썰렁홈즈가 두근거리며 황금 상자를 풀었다. 그런데 이게 웬일? 상자에는 100톤짜리 돌과 편지가 ... ...
썰렁홈즈의 희한한 얼음 여행 앗! 세상에 이런 얼음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6호
언뜻 이해가 되지 않을 수 있지만, 놀랍게도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가
처음
이 현상을 기록했을 정도로 오래 전에 발견된 자연적인 현상이다. 뜨거운 물이 증발되면 양이 줄기 때문에 차가운 물보다 빨리 언다는 설명이 있다.또 뜨거운 물이 차가운 공기와 만나면 표면과 안쪽 물의 ... ...
이전
414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