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금
오늘날
오늘
현존
기존
존재
생존
d라이브러리
"
현재
"(으)로 총 11,77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2012 세상을 바꿀 빅데이터 5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에서는 2002년부터 이그리드를 전 세계에 걸쳐 건설했다.
현재
수천 명의 물리학자들이 이를 통해 LHC 데이터를 연구하고 있다. 이처럼 언제 어디서나 연구자들이 자료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 방식을 ‘e-사이언스(e-science)’라고 한다.2011년, LHC는 더욱 성능을 높여서 201 ... ...
물리학자가 우주상수에 집착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전기 전하, 플랑크 상수 등 세 가지 물리상수는 모두 값이 변할 가능성이 높다.그러니
현재
대다수 물리학자들은 웹 연구팀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다. 여전히 오류와 실수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심지어 웹 연구팀이 연구결과를 발표할 때 “그런 말을 하다니 당신들 배짱이 정말 ... ...
7T MRI로 더 선명하게, 더 깊게 본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이어져 대중화가 됐다고 볼 수 있지만 7T MRI는 전 세계적으로 약 40여대, 우리나라에는
현재
단 한 대만 보급된 상황이기 때문에 많은 연구가 뒤따라야 한다.MRI의 가장 큰 장점은 생명체가 살아있는 상태에서 내부 영상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이다. 병원에 있는 MRI가 병을 진단하거나 치료 후 경과를 ... ...
Intro. 타이타닉에서 크루즈까지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타이타닉이 잠든 바다 위를 누비고 있다. 과학의 눈으로 초호화 거대 여객선의 과거와
현재
를 함께 되짚어 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타이타닉에서 크루즈까지Part1. 초호화 여객선 타이타닉은 왜 침몰했을까Part2. 안전·환경·쾌적-크루즈, 보이지 않는 ... ...
“녹색 지구 만든 조류(藻類)의 비밀을 밝히고 싶습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포진해 있다. 윤 교수는 올해 본격적으로 성균관대 실험실을 꾸리고 있다.
현재
구성원은 석사과정에 입학한 대학원생 한 명과 며칠 전부터 출근하는 박사후연구원 두 명이 전부다. 그가 대학에 들어갔을 때 부성민 교수 실험실 상황이 연상된다.
현재
윤 교수는 농촌진흥청 차세대바이오그린 2 ... ...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 오류 논란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높아진다. 반면 신호발생기가 문제였다면 뉴트리노의 속도는 오히려 더 빨라져야 한다.
현재
연구소는 어느 쪽이 원인인지 밝히고 있다.새로운 실험 결과도 논란에 가세했다. 20일 뒤인 3월 16일, 같은 연구소의 다른 팀에서 따로 중성미자의 속도를 잰 뒤 ‘빛보다 빠르지 않다’는 결과를 발표했다. ... ...
100배 더 정확한 핵 시계 등장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개발했다고 ‘물리학 리뷰’ 최신호에 발표했다.연구진이 이번에 개발한 핵 시계는
현재
가장 수준 높은 정확도를 보이는 원자 시계보다 100배 가량 더 정확하다. 이를 활용하면 기초 물리 이론을 검증하는 실험의 정확도를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원자 시계는 원자 주위를 도는 전자를 ... ...
최종경선! 최초의 인류는 누구?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삼림이 남아있는 서아프리카에서는 나무 위에서 주로 생활한 유인원들이 살아남아
현재
의 침팬지와 고릴라로 진화했다는 것이죠. 삼림과 초목지대가 동시에 있는 동아프리카에서는 나무 위와 아래 평지를 모두 활동지역으로 삼을 수 있는 직립보행 유인원이 살아남아 인류로 진화했고요. 하지만 ... ...
낙엽의 재발견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섬유 구조를 봤을 때 한지와 비슷해서 뿌듯했다”며 종이를 들어보였다.자연사랑은
현재
진행형자연사랑반에는 정여진 학생처럼 환경과학자가 꿈이라 들어온 학생도 있고 임수영 학생처럼 건축가가 꿈이지만 생명과학이 좋아서 온 학생도 있었다.원래 확실한 꿈이 없었던 김희진 학생은 1학년 ... ...
통합과학 - 댐으로 배우는 과학의 원리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자연재해 앞에서 인간은 한없이 무력한 모습을 보이기도 하지만 축적된 과학기술의 힘을 빌려 예고된 재앙을 슬기롭게 극복해 나가기도 한다.
현재
세계에는 각 나라의 자연환경에 맞는 다양한 종류의 댐이 지어져있다. 이런 댐은 우리의 생활에 큰 도움을 준다. ...
이전
414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