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시작
최초
서두
초기
머리말
개시
d라이브러리
"
처음
"(으)로 총 8,210건 검색되었습니다.
1. 꿈틀거리며 잠깨는 공룡화석
과학동아
l
200507
어림하고 있었을 뿐이었다.그러나 2002년 경남 하동군에서 오리주둥이 공룡 이빨이
처음
발견되면서 이들 발자국의 주인이 좀더 진화한 오리주둥이 공룡이라는 사실을 알게 됐다. 이는 백악기말에 가장 번성한 오리주둥이 공룡이 아시아에서 기원했다는 사실을 뜻한다. 허 교수는 “한반도 공룡 ... ...
3. 날아라 고구려 공룡
과학동아
l
200507
수각류의 앞발은 공격용으로 다양하게 변하다 날개로 진화하기도 했다(새의 치골은
처음
에 앞으로 향하다 다시 뒤로 향하게 변했다). 조반류는 아래턱에 앞아래턱뼈가 진화했다. 모든 조반류 공룡은 초식성이며 방어와 자기과시, 먹이 습성에 따라 특이한 모양으로 진화했다.▼관련기사를 계속 ... ...
5. 중생대 한반도는 동식물의 낙원
과학동아
l
200507
코리아나오르니스 함안엔시스의 것으로 지금은 작고한 김봉균 서울대 교수가 1969년
처음
발견했다.전남 해남 우항리에서 발견된 물갈퀴가 달린 새발자국은 약 8000만년 전 것으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됐다고 추정되고 있다. 우항리쿠스로 명명된 이 새는 함께 발견된 황산이페스와 오리류가 신생대에 ... ...
아니수타인 박사를 모셔라
과학동아
l
200507
3일로, 동아일보가 아인슈타인 특집기사를 게재하던 즈음이었다. 아인슈타인의 일본행은
처음
이자 마지막 아시아 여행이었다. 그를 유럽의 반대쪽 일본에까지 끌어들인 사람은 ‘가이조’라는 잡지를 출판하는 야마모토 사네히코였다. 정부도 아닌 작은 신생 출판사의 사장이 엄청난 돈을 써서 ... ...
과학교사는 전문가다
과학동아
l
200507
한국가상캠퍼스에서 원격교육을 실시해 ‘베스트 티처’(Best Teacher)상을 받았다.“
처음
에는 ‘이론적으로 당연한 건데 실험 장치는 왜 만드나’하는 시각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물리현상의 본질적인 의미를 가르치기 위해선 실제로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죠. 연수 중에도 늘 실험 장치를 들고 다니며 ... ...
미국의 새 우주 무기 계획
과학동아
l
200507
결합돼 있는 초소형의 복합적 전자소자 1958년경 우주개발과 더불어 미국공군에 의해
처음
연구되었다생물의 유전을 관장하는 유전자의 본체로서 유전정보의 설계도와 같은 역할을 하며 유전공학의 주역이기도 하다한 개의 칩위에 집적한 소자의 수가 1천개에서 10만개 사이인 집적회로를 ... ...
당신의 가.로.본.능.을 밝힌다
과학동아
l
200507
왼쪽 눈으로 영화의 장면을 전체적으로 파악한 뒤 오른쪽 눈으로 자막을 읽기 때문에
처음
시작하는 지점보다 끝 지점을 더 인식하게 되고, 자연히 시선이 머무는 오른쪽에 자막을 넣은 것이다.지 교수는 “디자인을 할 때도 정보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흐르게 하면 보는 사람이 편안함을 ... ...
헤르츠의 전파검출 실험
과학동아
l
200507
일하던 중 리기 교수가 헤르츠의 전파실험을 재현하고 있는 것을 보고 전파라는 말을
처음
듣게 된다.1894년 알프스에서 휴가를 즐기며 전기에 관한 잡지를 보던 마르코니는 헤르츠의 실험에 대한 기사를 읽고 전파를 통신 수단으로 쓸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게 됐다.그는 각고의 노력 끝에 전파를 ... ...
앙코르 공연 - 줄기세포의 꿈
과학동아
l
200507
주사하고 영상장치로 촬영했어요. 실제로 혈관생성이 촉진돼 혈액 흐름이 원활해졌죠.
처음
주입한 줄기세포의 2~5%가 심장근육에 남아있다는 것도 확인했어요. 치료할 때 줄기세포를 얼마나 넣어야 하는지 알 수 있게 될 겁니다.이배아 : (혼잣말로) 김 소장, 역시 명성다운걸. 그런데유명세치고 정말 ... ...
계절마다 별의 위치가 다른 이유
과학동아
l
200507
있다. 그의 발표는 1842년 재관측 후에야 인정받았다.연주시차의 발견을 정리해보면,
처음
시차를 관측한 사람은 1833년 핸더슨이었다. 그러나 그가 발표한 것은 1839년이었으며 그나마 1842년에야 인정됐다. 스트루베는 1836년 관측해 1837년에 발표했으나 1839년 오차가 큰 값을 다시 발표하는 실수를 ... ...
이전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
423
다음
공지사항